박인환의 미국 서부 기행과 아메리카니즘
Park In-hwan's Journey to the American West and Americanism
동악어문학 |
59 |
2012 |
한국어와문학
과학으로서의 문학 개념의 형성과 ‘知’의 표준화 - 주요 ‘문학개론서’를 중심으로 -
Formation of Literature Concept as Science and Standardization of ‘Knowledge’
동방학지 |
150 |
2010 |
기타인문학
과학으로서의 문학 개념의 형성과 ‘知’의 표준화 - 주요 ‘문학개론서’를 중심으로 -
Formation of Literature Concept as Science and Standardization of ‘Knowledge’
동방학지 |
|
150 |
2010 |
기타인문학
잡지 『신천지』의 매체 전략과 문학
Media Strategy and literature of a journal 『Shincheonji』
한국문학연구 |
39 |
2010 |
한국어와문학
잡지 『신천지』의 매체 전략과 문학
Media Strategy and literature of a journal 『Shincheonji』
한국문학연구 |
|
39 |
2010 |
한국어와문학
1950년대 대학과 ‘교양’ 독자
University and “Cultured” Readers in the 1950s
현대문학의 연구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1950년대 대학과 ‘교양’ 독자
University and “Cultured” Readers in the 1950s
현대문학의 연구 |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진주탈춤한마당의 지역화와 세계화에 관한 연구
Regionality and Globality of Jinju Talchum Hanmadang
글로벌문화콘텐츠 |
7 |
2011 |
기타인문학
근대초기 지식편제와 교양으로서의 소설 - 최남선과 <소년>을 중심으로
「The formation of knowledge and Project of ‘Buildung’- focusing on Choi Nam-seon」
한국문학연구 |
41 |
2011 |
한국어와문학
세계성, 민족성, 지방성 —일제 말기 로컬 상상력의 층위—
Cosmopolitanism, Nationality, Locality — The Sphere of Imagination about ‘Local’ in the late stage of Imperial Japan —
한국근대문학연구 |
25 |
2012 |
한국어와문학
왜 글로컬문화콘텐츠인가
Why Glocal Cultural Contents?
인문콘텐츠 |
20 |
2011 |
기타인문학
신동엽 시의 원전비평과 코스모폴리타니즘-「이야기하는 쟁기꾼의 대지」 ‘투고본’을 중심으로
Dong-Yeop Shin’s Poetry of Textual Criticism and Cosmopolitanism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20 |
2 |
2012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