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도

연구분야 : B101101 사회과학 > 지역학 > 동아시아 > 한국

클래스 : 지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6771

한자 : 松島

X01 지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SpatiallyIncludedIn (공간적 전체)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충청남도 [ 忠淸南道 ]

isSpatiallyIncludedIn (공간적 전체)

 

 

주교면 () [ 舟橋面 ]

19세기 한강 이북 도읍의 문학적 형상화와 의미

The literary figuration of capitals on the north of the Han river in the nineteenth century and its meaning

동방학 | 24 | 2012 | 기타인문학

회고시조 감상의 지평 -송도 배경 작품을 대상으로 하여-

A prospect of appreciating reflective Sijo

우리문학연구 | 33 | 2011 | 한국어와문학

일제강점기 역사지리서에 반영된 울릉도 및 독도 인식

Perception of Ulleungdo and Dokdo in Historical Geography Books from the Time of Japanese Imperial Rule over Korea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67 | 2011 | 역사학

Songdo Free Economic Zone in South Korea: A Mega-project Reflecting Globalization?

인천 송도 경제자유구역 개발 특성 -세계화를 반영한 거대 프로젝트인가?-

대한지리학회지 | 46 | 5 | 2011 | 지리학

‘다문화사회’와 『崧陽耆舊傳』

‘Muliticultural-Society’ and Soongyang-Kigu-Jeon

코기토 | 68 | 2010 | 기타인문학

‘다문화사회’와 『崧陽耆舊傳』

‘Muliticultural-Society’ and Soongyang-Kigu-Jeon

코기토 | 68 | | 2010 | 기타인문학

일본의 독도 인식에 관한 연구 -「일로청한 명세신도」에 그려진 국경과 독도의 귀속을 중심으로 한 고찰-

A Study on Dokdo Recognition of Japan - Focused on the Dokdo Attribution and Border Drawn in the 「New Map of Japan, Russia, China, and Korea(日露淸韓明細新圖)」-

한국지도학회지 | 10 | 1 | 2010 | 지도학

일본의 독도 인식에 관한 연구 -「일로청한 명세신도」에 그려진 국경과 독도의 귀속을 중심으로 한 고찰-

A Study on Dokdo Recognition of Japan - Focused on the Dokdo Attribution and Border Drawn in the 「New Map of Japan, Russia, China, and Korea(日露淸韓明細新圖)」-

한국지도학회지 | 10 | 1 | 2010 | 지도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