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초기의 ‘征伐’: 천명, 시계, 달력, 그리고 화약무기
The Logic of Zhengfa: Warfare, Calendar, Clock, and Firearm Weapon in 15th-Century Chosŏn
역사와 문화 |
21 |
2011 |
문화사(역사학)
宋代 東亞 海域上 漂流民의 發生과 送還
宋代東亞海域上漂流民的發生與送還(The Birth and Return of the Castaway at Sea during the Song Dynasty in East Asia)
중국사연구 |
65 |
2010 |
동양사
宋代 東亞 海域上 漂流民의 發生과 送還
宋代東亞海域上漂流民的發生與送還(The Birth and Return of the Castaway at Sea during the Song Dynasty in East Asia)
중국사연구 |
|
65 |
2010 |
동양사
조선후기 對馬島 求貿의 개념과 실태
朝鮮後期に於ける対馬による求貿の概念及びその実態
한일관계사연구 |
36 |
2010 |
역사학
조선후기 對馬島 求貿의 개념과 실태
朝鮮後期に於ける対馬による求貿の概念及びその実態
한일관계사연구 |
|
36 |
2010 |
역사학
在釜日本人社會에서의 ‘神社化’와 그 의미 -대마도민의 사당(祠)에서 일본인의 神社로의 변화, 참여 주체 및 제도의 영향을 중심으로-
Shinto-shrinization and meaning of Japanese-society in Busan
일어일문학 |
54 |
2012 |
일본어와문학
愼懼堂 李侙의 國權回復을 위한 義兵活動
Activities in loyal troops for the National Rights of Sin Gu Dang, Lee Sik
한국인물사연구 |
15 |
2011 |
역사학
고초도 위치 비정에 대한 재검토
A review of regulations Gocho-do location
한일관계사연구 |
41 |
2012 |
역사학
조선후기 대일공무역과 公木
The Official Trade with Japan and Gongmok(公木) in the Later Joseon Dynasty
한일관계사연구 |
42 |
2012 |
역사학
10~13세기 漂流民 送還體制를 통해 본 동아시아 교통권의 구조와 특성
From 10 until 13th century drift one the repatriation setup which pushes structure and quality of the East Asia traffic circle which tries to lead
석당논총 |
50 |
2011 |
기타인문학
조선전기 한일관계사 연구의 학설사적 검토
A Study on the Historiography of Korean-Japanese Relations in Early Joseon Dynasty
전북사학 |
38 |
2011 |
역사학
憲宗代 오사카(大坂)역지통신 교섭과 조선의 대응책
The Osaka(大坂) Reverse Communications Negotiation and Choson's Countermeasure During the Reign of King Heonjong(憲宗)
한일관계사연구 |
35 |
2010 |
역사학
憲宗代 오사카(大坂)역지통신 교섭과 조선의 대응책
The Osaka(大坂) Reverse Communications Negotiation and Choson's Countermeasure During the Reign of King Heonjong(憲宗)
한일관계사연구 |
|
35 |
2010 |
역사학
중근세 일본인의 조선에 대한 경계인식 고찰
A Study on Japanese cognition of boundary sector about Joseon in the Medieval age and the Modern age
한일관계사연구 |
39 |
2011 |
역사학
1945~1951년 미소·한일의 대마도 인식과 정책
The Allied Powers, Korea, and Japan's View and Policy on the Tsushima Island after World War II
한국근현대사연구 |
59 |
2011 |
역사학
근대한일교류 분석을 통한 대마도 영토권원
Research about the Original Land Title of Susima through analysis of the interchange between Korean and Japan of the modern age
백산학보 |
87 |
2010 |
역사학
근대한일교류 분석을 통한 대마도 영토권원
Research about the Original Land Title of Susima through analysis of the interchange between Korean and Japan of the modern age
백산학보 |
|
87 |
2010 |
역사학
雨森芳洲의 一考察
A Study on the education of Amemorihousiu
일본어문학 |
49 |
2010 |
일본어와문학
雨森芳洲의 一考察
A Study on the education of Amemorihousiu
일본어문학 |
|
49 |
2010 |
일본어와문학
국제재판사례 분석을 통한 대마도 영토권 회복방안 연구
A Study on The Retrocession of Tsushima's Territorial Sovereignty through the Analysis of International Tribunal Case
백산학보 |
93 |
2012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