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필

연구분야 : A100900 인문학 > 문학 > 산문

클래스 : 문학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6867

STNet ID : 1000517

한자 : 隨筆
영어 : essay

e01-01 문학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만문 () [ 漫文 ]

UF (비우선어)

 

 

에세이 [essay]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자조 문학 [ 自照文學 ]

isKindOf (상위 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교술 문학 [ 敎述文學 ]

isKindOf (상위 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산문 () [ 散文 ]

N1:종류

hasKind (종류)

 

 

중수필 () [ 重隨筆 ]

hasKind (종류)

 

 

경수필 () [ 輕隨筆 ]

R1:개념적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수필집 () [ 隨筆集 ]

RT (관련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수기 [ 手記 ]

R2:기능적

isProducedBy (생산/제작의 주체)

 

a01-06-01 인간(직업) 인간(직업)

수필가 [ 隨筆家 ]

김유정 문학의 향토성 재고(再考)-30년대 향토 담론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Reconsideration on the Locality Expressed in Kim Yu Jung’s Literature-Focused on comparison with discourse on locality in the 1930’s-

현대문학의 연구 | 41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유정 문학의 향토성 재고(再考)-30년대 향토 담론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Reconsideration on the Locality Expressed in Kim Yu Jung’s Literature-Focused on comparison with discourse on locality in the 1930’s-

현대문학의 연구 | | 41 | 2010 | 한국어와문학

1920년대 초중반 ‘거리(街)’의 문학적 표상화 과정 연구

A Study on Literary Representation Process of ‘Street’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1920s

배달말 | 50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자/한자어의 조선문학적 존재 방식 ― 이태준을 중심으로

The Joseon Literature-Style Existence Ways of Chinese Characters/Words ― Focusing on Lee Tae-jun

우리어문연구 | 40 | 2011 | 한국어와문학

흑구 한세광의 시 연구

A Study on Hukoo(흑구黑鷗), Han SeKwang(한세광韓世光)'s Poetry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흑구 한세광의 시 연구

A Study on Hukoo(흑구黑鷗), Han SeKwang(한세광韓世光)'s Poetry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장』 : 문학에서 문화로 -『문장』지 소재 수필의 양상-

『Munjang』; From Literature to Culture -The Aspect of Essays in Magazine 『Munjang』-

한국근대문학연구 | 22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장』 : 문학에서 문화로 -『문장』지 소재 수필의 양상-

『Munjang』; From Literature to Culture -The Aspect of Essays in Magazine 『Munjang』-

한국근대문학연구 | | 22 | 2010 | 한국어와문학

식민지 말기 수필문학의 양상과 문학장의 변화 ― 최초의 수필 전문지『박문』을 중심으로

The Aspect of Essay and Change of Literary Field in the Late Colonial Period - focusing on the first magazine B'akmoon specialized in essay

비평문학 | 36 | 2010 | 한국어와문학

식민지 말기 수필문학의 양상과 문학장의 변화 ― 최초의 수필 전문지『박문』을 중심으로

The Aspect of Essay and Change of Literary Field in the Late Colonial Period - focusing on the first magazine B'akmoon specialized in essay

비평문학 | | 36 | 2010 | 한국어와문학

1930년대 수필의 장과 장르의 역학

A Study on the Field of Essays and Genre Dynamics in the 1930s

반교어문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1930년대 수필의 장과 장르의 역학

A Study on the Field of Essays and Genre Dynamics in the 1930s

반교어문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