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불복종

연구분야 : B130104 사회과학 > 법학 > 법학일반 > 법정책학
B130201 사회과학 > 법학 > 공법 > 헌법

클래스 : 행위/활동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7083

한자 : 市民 不服從
영어 : civil disobedience

b01-01 행위/활동

행위자

시민 (市民)

행위대상(자)

정부 (政府)

목적_o3

저항 (抵抗)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저항권 [ 抵抗權 ]

RT (관련어)

 

 

시민불복종 운동

플라톤 『크리톤』의 번역과 이해의 문제: 기존 국역에 대한 비평과 대안을 중심으로

On Translation and Understanding of Plato’s Crito: Centering around the Critical Examination of Existing Korean Translations of the Dialogue and the Alternatives

철학연구 | 98 | 2012 | 철학

소크라테스적 시민성과 도덕과교육: '악법‘과 ’준법‘

Socratic Citizenship and Moral Subject Education: 'Bad Law' and 'Law-abiding'

도덕윤리과교육 | 32 | 2011 | 교육학

국가질서와 시민불복종의 연구 : 소로우(H. D. Thoreau)의 사상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Nation’s Order and Civil Disobedience : Focus on Thoreau’s Thought

한국공안행정학회보 | 20 | 4 | 2011 | 행정학

법률가로서의 간디

Gandhi as a Jurist

민주법학 | 45 | 2011 | 법학

로크, 에머슨, 그리고 자연: 쏘로의 초월주의적 사회계약론

Locke, Emerson, and Nature: Thoreau’s Transcendental Social Contract Theory

미국학 논집 | 42 | 3 | 2010 | 영어와문학

로크, 에머슨, 그리고 자연: 쏘로의 초월주의적 사회계약론

Locke, Emerson, and Nature: Thoreau’s Transcendental Social Contract Theory

미국학 논집 | 42 | 3 | 2010 | 영어와문학

시민불복종의 정당화 근거에 대한 고찰

An Inquiry into the Justificatory Grounds of Civil Disobedience

윤리교육연구 | 22 | 2010 | 윤리교육학

시민불복종의 정당화 근거에 대한 고찰

An Inquiry into the Justificatory Grounds of Civil Disobedience

윤리교육연구 | | 22 | 2010 | 윤리교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