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분 제도

연구분야 : B081100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계층/계급

클래스 : 사회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7207

STNet ID : 1000551

한자 : 身分制度

d02-01 사회제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계급제 [ 階級制 ]

UF (비우선어)

 

 

신분제 [ 身分制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D02 제도(체제) 제도(체제)

제도 (체계) [ 制度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전계 소설 () [ 傳系小說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양천제 [ 良賤制 ]

hasInstance (사례)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골품제 [ 骨品制 ]

hasInstance (사례)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카스트 제도 [ --制度 ]

족보 기록을 통해 본 朝ㆍ淸의 嫡庶 의식 비교

A Comparison of Understandings of Legitimate and Illegitimate Children in Choson and Qing China as Found in Genealogical Records

백산학보 | 87 | 2010 | 역사학

족보 기록을 통해 본 朝ㆍ淸의 嫡庶 의식 비교

A Comparison of Understandings of Legitimate and Illegitimate Children in Choson and Qing China as Found in Genealogical Records

백산학보 | | 87 | 2010 | 역사학

고려와 조선왕조의 관리등용제도 변화 연구: 음서제를 중심으로

A Study on institutional changes of government officials recruiting in Koryo and Chosun Dynasty: Focused on ‘Eumseoje’

한국행정사학지 | 27 | 2010 | 행정사

고려와 조선왕조의 관리등용제도 변화 연구: 음서제를 중심으로

A Study on institutional changes of government officials recruiting in Koryo and Chosun Dynasty: Focused on ‘Eumseoje’

한국행정사학지 | | 27 | 2010 | 행정사

조선시대 회화의 해학 속에 숨겨진 신분제도에 대한 풍자와 비판 -김명국의 <탐매도>·<기려도>와 전 윤두서의 <낙려도>를 중심으로-

Satire and Criticism on Status System Hidden in Humor of Joseon Period Paintings - Focused on and of Kim Myeongguk and 정 연경Younkyoung Cheung 경기대학교 예술대학 미술경영학과Kyonggi University, Department of Management of Art of the putative Yun Duseo -

기초조형학연구 | 13 | 1 | 2012 | 예술일반

표트르 시기 러시아 절대국가의 형성과 귀족 및 농민 신분의 제도화

The Formation of the Russian Absolutist State an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Nobility and the Peasantry under Peter the Great

역사학보 | 208 | 2010 | 역사학

표트르 시기 러시아 절대국가의 형성과 귀족 및 농민 신분의 제도화

The Formation of the Russian Absolutist State an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Nobility and the Peasantry under Peter the Great

역사학보 | | 208 | 2010 | 역사학

근대 신분제도의 변동과 일상생활의 재편 -형평운동과 백정들의 일상-

Changes in Modern Status System and the Reorganization of Daily Lives - Social Equality Movement and the Daily Lives of Butchers -

동양학 | 47 | 2010 | 기타인문학

근대 신분제도의 변동과 일상생활의 재편 -형평운동과 백정들의 일상-

Changes in Modern Status System and the Reorganization of Daily Lives - Social Equality Movement and the Daily Lives of Butchers -

동양학 | | 47 | 2010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