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사

연구분야 : A020311 인문학 > 역사학 > 동양사 > 일본근세사

클래스 : 인위적공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7212

한자 : 神社

e04-01 인위적공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 廟 ]

R1:개념적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신사 참배 거부 운동 [ 神社參拜拒否運動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7-03 건축물/시설물명 건축물/시설물명

아카마 신궁 [ 赤間神宮 ]

hasInstance (사례)

 

y07-03 건축물/시설물명 건축물/시설물명

야스쿠니 신사 [ 靖國神社 ]

明代 福建 新縣의 社會ㆍ文化的 變化 ― 縣城을 중심으로 ―

The Sociocultural Change of New District in Ming Fujian : Focus on the Walled District City

명청사연구 | 35 | 2011 | 역사학

디킨즈의 신사되기 : 『위대한 유산』에 나타난 핍의 사회적 성장 분석

Dickens' Gentlemanship: The Image of Pip' Growth in Great Expectations

인문학연구 | 43 | 2012 | 기타인문학

『위대한 유산』, 동양철학으로 다시읽기* - 신사와 군자의 개념을 중심으로

Gentleman vs. Great Man: Re-reading Great Expectations through Eastern Philosophy

비교문학 | 55 | 2011 | 인문학

詠物詩의「不卽不離」的 창작기법에 관한 小考

중국학논총 | 33 | 2011 | 중국문화학

히로시게『명소에도백경』속에 담긴「신불(神仏)」표현의 특징과 의미 고찰

Consideration on the features and significance of Shinbutsu's expression in Hiroshige’s Meisho Edo Hyakkei

日本思想 | 19 | 2010 | 철학

히로시게『명소에도백경』속에 담긴「신불(神仏)」표현의 특징과 의미 고찰

Consideration on the features and significance of Shinbutsu's expression in Hiroshige’s Meisho Edo Hyakkei

日本思想 | | 19 | 2010 | 철학

日帝强占期 일본어교과서에 나타난 天皇像 -朝鮮總督府 編纂 『國語讀本』을 중심으로-

日本語文學 | 1 | 54 | 2012 | 일본어와문학

군사중국어의 축약어에 대한 연구

A Study of Abbreviations in the Chinese Military

한국군사학논집 | 68 | 1 | 2012 | 군사이론

한중일 삼국의 ‘사(士)’ 개념 비교 고찰 — 선비⋅신사⋅무사 개념의 형성을 중심으로 —

韓中日三國の「士」槪念の比較考察 – ソンビ⋅紳士⋅武士概念の形成を中心に

동양철학연구 | 65 | 2011 | 철학

문화적 관점에서 본 전통 한국과 중국의 관료제 비교:조선조와 청조

Comparison of the Traditional Bureaucracies of Korea and China from a Cultural Perspective: The Chosun and Ching Dynasties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 22 | 4 | 2012 | 행정학

신사(神思)와 상상

'ShenSi(神思)' and Imagination

철학탐구 | 31 | 2012 |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