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유학

연구분야 :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7241

한자 : 新儒學
영어 : Neo-Confucianism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se (우선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성리학 () [ 性理學 ]

R1:개념적

RT (관련어)

 

 

이기 논변 [ 理氣論辯 ]

유학신학(儒學神學)의 가능성에 대한 조직신학적 성찰: 『천주실의』(天主實義)의 재발견

A Hermeneutical Reflection on the Possibility of the Confucian Theology: Based on the The True Meaning of the Lord of Heaven(Tien Chu Shihi)

신학과철학 | 17 | 2010 | 기타가톨릭신학

유학신학(儒學神學)의 가능성에 대한 조직신학적 성찰: 『천주실의』(天主實義)의 재발견

A Hermeneutical Reflection on the Possibility of the Confucian Theology: Based on the The True Meaning of the Lord of Heaven(Tien Chu Shihi)

신학과철학 | | 17 | 2010 | 기타가톨릭신학

世祖의 ‘樂章’ 革新運動과 그 守成의 美學

A Study on the aesthetics of The guard(守成) and a reform movement of the movement(樂章) for The klng Sae-jo(世祖)

동방한문학 | 50 | 2012 | 한국어와문학

17세기 西人 내부의 陽明學 이해와 現實主義 政治論

Accetion of Yangming philosophy and the theory of Adaptability inside Seo-in(西人) in 17century

동국사학 | 48 | 2010 | 역사학

17세기 西人 내부의 陽明學 이해와 現實主義 政治論

Accetion of Yangming philosophy and the theory of Adaptability inside Seo-in(西人) in 17century

동국사학 | | 48 | 2010 | 역사학

북송 거비파 산수화에 대한 유가적 고찰

Confucian consideration about Monumental Landscape of North Song

동양예술 | 19 | 2012 | 기타미술

효를 주제로 한 서사의 소통-조선전기까지의 서사를 중심으로

Circulation of the ‘Hyo(孝)’ subject narrative in the age of the Koryeo and the early Morning Calm Dynasty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57 | 2010 | 한국어와문학

효를 주제로 한 서사의 소통-조선전기까지의 서사를 중심으로

Circulation of the ‘Hyo(孝)’ subject narrative in the age of the Koryeo and the early Morning Calm Dynasty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 57 | 2010 | 한국어와문학

海叟 金禹鼎의 經學에 관한 일고찰 - 17세기 해수의 「中庸章句」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

A Study on Confucian Classics of Haesu Kim U-jeong.

동남어문논집 | 1 | 33 | 2012 | 기타국어학

程明道의 天理思想 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rmation of Cheng Ming-Dao's Thought of the 'Tien Li'

한글판<유교문화연구> | 1 | 17 | 2010 | 유교학

程明道의 天理思想 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rmation of Cheng Ming-Dao's Thought of the 'Tien Li'

한글판<유교문화연구> | 1 | 17 | 2010 | 유교학

동아시아 우주론의 해체와 통합 — 동아시아 전통 우주론의 구성 원리인 상관적 사유를 계승한 대안적 우주론의 모색 —

The Deconstruction and Integration of East Asian Cosmology

동양고전연구 | 44 | 2011 | 기타인문학

한국전통철학과 경전개념구조 컴퓨터전산 파악법 - 성리학의「근사록」「도체편」 분석을 중심으로 -

Korean Traditional Philosophy And The Concepts-Structure of Great Classics by Computation Process Method - Focus on Chapter 1. tocheppyeon in Reflections On Things at Hand -

동서철학연구 | 56 | 2010 | 철학

한국전통철학과 경전개념구조 컴퓨터전산 파악법 - 성리학의「근사록」「도체편」 분석을 중심으로 -

Korean Traditional Philosophy And The Concepts-Structure of Great Classics by Computation Process Method - Focus on Chapter 1. tocheppyeon in Reflections On Things at Hand -

동서철학연구 | | 56 | 2010 | 철학

괴테와 중국철학

Goethe and Chinese Philosophy

철학논총 | 69 | 4 | 2012 | 철학

조선 예학사상의 근대적 해석에 관한 小考 − 호르크하이머의 사회철학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the Modern Interpretation of the Study of Rites in the Joseon Dynasty - With Focus on the Social Philosophy of Adorno and Horkheimer

동양철학연구 | 64 | 2010 | 철학

조선 예학사상의 근대적 해석에 관한 小考 − 호르크하이머의 사회철학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the Modern Interpretation of the Study of Rites in the Joseon Dynasty - With Focus on the Social Philosophy of Adorno and Horkheimer

동양철학연구 | | 64 | 2010 | 철학

조선시대 구곡문화의 전승과 이상정의 고산구곡 경영

The Introduction of 'Nine River Bend Culture' into Korea and Lee Sang Jeong's Management of 'Kosan Seven River Bend' in Joseon Dynasty

문화역사지리 | 23 | 3 | 2011 | 인문지리학

마테오 리치의 리기관(理氣觀)

Matteo Ricci's View of Li and Chi

철학논총 | 60 | 2 | 2010 | 철학

마테오 리치의 리기관(理氣觀)

Matteo Ricci's View of Li and Chi

철학논총 | 60 | 2 | 2010 | 철학

조선 사회의 유교화(儒敎化)와 여성의 위상 — 15·16세기 족보를 중심으로 —

The confucian transformation of Choson dynasty and the social status of women — Related with the genealogical records on the family of 15·16 century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48 | 2011 | 원불교학

조선시대 유학 교육과정의 변천과 그 특징

朝鲜时代儒学课程的变迁及其特征

한국교육사학 | 33 | 3 | 2011 | 교육학

에도시대 ‘민’의 정치적 각성과 그 역설

The Political Evolution of 'People' and Its Paradox in Edo Period of Japan

日本思想 | 22 | 2012 | 철학

宋代新儒學家的领导教育初探

Leadership Education of Neo-Confucianists during the Song Dynasty

한국사상과 문화 | 51 | 2010 | 한국어와문학

宋代新儒學家的领导教育初探

Leadership Education of Neo-Confucianists during the Song Dynasty

한국사상과 문화 | | 51 | 2010 | 한국어와문학

격물치지론의 도덕교육적 함의

The Implications of the Theory of Ko-Wu Chih-Chih for Moral Education

도덕교육연구 | 22 | 2 | 2011 | 교육학

儒学的现代意义及核心价值

동양철학 | 34 | 2010 | 철학

儒学的现代意义及核心价值

동양철학 | | 34 | 2010 | 철학

性理學과 山水畵의 발전에 관한 연구 - 송대를 중심으로-

Research of the Neo-Confucianism and the development of Landscape painting in Song Dynasty

한국철학논집 | 32 | 2011 | 한국철학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