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효

연구분야 : A110299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기타국문학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73243

STNet ID : 1002334

한자 : 申在孝
호(號) : 동리(桐里)

y01-01 실존인물

출생지

고창군 (高敞郡)

저작

광대가 (廣大歌)

직업

국악인 (國樂人)

생몰년_t

1812 - 1884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a01-06-01 인간(직업) 인간(직업)

작가 () [ 作家 ]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이론가 () [ 理論家 ]

R1:개념적

affects (영향)

 

 

진채선

RT (관련어)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흥보가 [ 興甫歌 ]

한일 구비연행서사시의 희곡화(戱曲化)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for Dramatization of the Oral Epics on Korean and Japanese

비교민속학 | 48 | 2012 | 역사학

전주대사습놀이의 전통과 콘텐츠의 확장

The Tradition and Development Potential of Chunjoo Daesaseup Nori

한국학연구 | 37 | 2011 | 기타인문학

전주대사습놀이의 전통과 콘텐츠의 확장

The Tradition and Development Potential of Chunjoo Daesaseup Nori

한국학연구 | 37 | 2011 | 기타인문학

판소리 전통과 최명희의 혼불

The Tradition of P’ansori and by Choe Myung-hee

판소리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판소리 전통과 최명희의 혼불

The Tradition of P’ansori and by Choe Myung-hee

판소리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동래정씨(東萊鄭氏) 문중(門中) 내 판소리 문화 향유의 일양상

The Enjoyment Aspect of P‘ansori Culture in the Tongnae Chŏng Clan

판소리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동래정씨(東萊鄭氏) 문중(門中) 내 판소리 문화 향유의 일양상

The Enjoyment Aspect of P‘ansori Culture in the Tongnae Chŏng Clan

판소리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申在孝 판소리 사설에 나타난 物慾의 表出 樣相과 그 意味

Expression and the meanings of Shin Jaehyo's earthly desire shown in the pansori texts

어문연구(語文硏究) | 40 | 3 | 2012 | 한국어와문학

신재효 판소리 사설에 나타난 관(官)․민(民) 의식과 사회적 지향

Consciousness of the Government and the People and Social Aim Shown in Pansori Literature by Sin Jae-Hyo

한국언어문학 | 82 | 2012 | 한국어와문학

신재효의 사설 개작과 가사 창작의 의미

The Meaning of Adaptation of Pansori and Production of Kasa in Jaehyo Shin's Works

한국시가문화연구 | 29 | 2012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