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보호

연구분야 : B120600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심리학

클래스 : 행위/활동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73398

한자 : 過保護
영어 : overprotection

b01-01 행위/활동

행위자

부모 (父母)

행위대상(자)

아동 (兒童)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affects (영향)

 

b02-02 강화(증가/확장/신장) 강화(증가/확장/신장)

청소년 발달 () [ 靑少年發達 ]

affects (영향)

 

b02-02 강화(증가/확장/신장) 강화(증가/확장/신장)
b02-02 강화(증가/확장/신장) /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성격 발달 [ 性格發達 ]

isCausedBy (원인)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양육 행동 [ 養育行動 ]

isCausedBy (원인)

 

C02 심리 심리

양육 태도 [ 養育態度 ]

isPhenomenonOf (현상의 대상개념)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자녀 교육 [ 子女敎育 ]

isPhenomenonOf (현상의 대상개념)

 

X03 관계/상호작용 관계/상호작용

부모 자녀 관계 [ 父母子女關係 ]

isPhenomenonOf (현상의 대상개념)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자녀 교육 실태 [ 子女敎育實態 ]

isPhenomenonOf (현상의 대상개념)

 

b01-06 기능/역할 기능/역할

부모 역할 [ 父母役割 ]

resultsIn (산물/결과)

 

a01-08-03 신체(장애/질병) 신체(장애/질병)

인격 장애 () [ 人格障碍 ]

방임, 과보호가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사교육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Parental Neglect and Overprotection on Youth’s Psychosocial Adjustment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Private Tutoring-

한국아동복지학 | 37 | 2012 | 사회복지학

방임, 과보호, 사교육이 유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parental neglect, overprotection and private tutoring on development in early childhood

유아교육연구 | 32 | 4 | 2012 | 교육학

부모의 과보호가 성인 자녀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따른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Parental Overprotection on Depression: The Mediation Effect of Ego-Resilience According to Gender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 30 | 3 | 2011 | 심리과학

대학생의 과보호 및 부모화 경험이 내현적 자기애 성향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Overprotection and Parentification on Covert Narcissism of University Students

청소년학연구 | 19 | 4 | 2012 | 기타사회과학

어머니의 과보호적 양육태도와 청소년 불안의 관계에서 부정적 인지의 매개 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Negative Cognition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Overprotective Parenting Attitudes and Adolescents Anxiety.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 22 | 2 | 2010 | 심리과학

어머니의 과보호적 양육태도와 청소년 불안의 관계에서 부정적 인지의 매개 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Negative Cognition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Overprotective Parenting Attitudes and Adolescents Anxiety.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 22 | 2 | 2010 | 심리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