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복지

연구분야 : B121105 사회과학 > 교육학 > 분야교육 > 평생교육

클래스 : 사회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73478

한자 : 敎育福祉
영어 : educational welfare

d02-01 사회제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사회 복지 () [ 社會福祉 ]

N1:종류

hasKind (종류)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지역평생교육체제 [ 地域平生敎育體制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교육기본권 [ 敎育基本權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교육 복지 투자 우선 지역 () [ 敎育福祉投資優先地域 ]

RT (관련어)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농촌 교육 [ 農村 敎育 ]

R2:기능적

isSolutionFor (대상 문제/이슈)

 

x03-06-03 참여/중재 참여/중재

교육 격차 해소 () [ 敎育隔差解消 ]

복지국가와 평생학습권의 실현

Welfare State and Realizing the Right of Lifelong Learning

공법연구 | 39 | 2 | 2010 | 법학

복지국가와 평생학습권의 실현

Welfare State and Realizing the Right of Lifelong Learning

공법연구 | 39 | 2 | 2010 | 법학

지역교육네트워크의 진화과정 분석 : 노원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a Regional Education Network : Case of Nowon Region

평생교육학연구 | 16 | 3 | 2010 | 교육학

지역교육네트워크의 진화과정 분석 : 노원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a Regional Education Network : Case of Nowon Region

평생교육학연구 | 16 | 3 | 2010 | 교육학

좋은 농촌학교 특성에 관한 사례 연구

A Study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an Efficient Rural School

교육의 이론과 실천 | 17 | 2 | 2012 | 교육철학/사상

지역교육 네트워크 리더십 분석

An Analysis on the Leadership of Local Education Network

평생학습사회 | 8 | 1 | 2012 | 교육학

청소년 미혼모의 대안학교 경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Experiences of the Unmarried Adolescent Mother's Attending in Alternative Schools

한국가족복지학 | 33 | 2011 | 사회복지학

초등학교 돌봄교실의 효율적 운영 방안

A Plan for efficient management of Edu-Care room in elementary school

동양문화연구 | 10 | 2012 | 기타인문학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역할수행 장애요인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Obstacles in the Community Education Specialists' Role Performing

초등교육연구 | 24 | 1 | 2011 | 교육학

고령화 사회의 평생학습체제 구축을 위한 법적ㆍ제도적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lifelong learning system in the advanced-age society by the respect of law and politics

법과정책연구 | 10 | 3 | 2010 | 법학

고령화 사회의 평생학습체제 구축을 위한 법적ㆍ제도적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lifelong learning system in the advanced-age society by the respect of law and politics

법과정책연구 | 10 | 3 | 2010 | 법학

학생스포츠복지를 위한 ‘복지’의 개념 분석 -사회복지, 교육복지, 그리고 스포츠복지를 중심으로

A Conceptualization of ʻWelfareʼ for Student Sport Welfare-Focused on Social Welfare, Educational Welfare, and Sport Welfare

체육과학연구 | 23 | 3 | 2012 | 체육

농산어촌 연중돌봄학교 육성사업의 추진내용과 성과 분석

A Study on the Outcome of Yearlong Total Care School Program

교육행정학연구 | 30 | 2 | 2012 | 교육학

미국과 영국의 방과후학교 성과평가 동향 분석

Study on the performance evaluations of 'after-school programs' in the United States and United Kingdom

교육종합연구 | 8 | 1 | 2010 | 교육학

미국과 영국의 방과후학교 성과평가 동향 분석

Study on the performance evaluations of 'after-school programs' in the United States and United Kingdom

교육종합연구 | 8 | 1 | 2010 | 교육학

학력부진학교 개선을 위한 미국 연방정부의 지원정책과 책무성 확보방안: NCLB하의 Title Ⅰ을 중심으로

A Study on Federal Government's Supporting and Accountability System for Improving Underachieving Schools

비교교육연구 | 21 | 2 | 2011 | 교육학

코메니우스의 교육복지 사상의 교육적 시사

A Study on the Implication of Comenius’ Ideas on Educational Welfare

교육사상연구 | 25 | 1 | 2011 | 교육학

발달장애아동을 위한 독일의 특별지원서비스 현황 및 한국에서의 시사점

Germany's Special Support Programs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 Implication in Korea

발달장애연구 | 14 | 2 | 2010 | 특수교육

발달장애아동을 위한 독일의 특별지원서비스 현황 및 한국에서의 시사점

Germany's Special Support Programs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 Implication in Korea

발달장애연구 | 14 | 2 | 2010 | 특수교육

학교사회복지분야에서의 사회복지 현장실습교육의 실태와 과제 -학교상주형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chool Social Work Field Placement in Schools

학교사회복지 | 20 | 2011 | 사회복지학

프랑스 “시테”(Cité)지역 교육 불평등 사례 연구

Study on the Educational Inequality in the French “Cités”

교육사회학연구 | 20 | 1 | 2010 | 교육학

프랑스 “시테”(Cité)지역 교육 불평등 사례 연구

Study on the Educational Inequality in the French “Cités”

교육사회학연구 | 20 | 1 | 2010 | 교육학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지원 인력의 핵심 직무와 역량 탐색

Exploring Core Jobs and Competencies of Practitioners Working for the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Plan

한국교육 | 38 | 3 | 2011 | 교육학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 사업 관계자간의 갈등: 그 현상과 본질

he Conflict between Persons concerned with Education Welfare Priority Zone Plan: Its Phenomena and essence

교육사회학연구 | 21 | 1 | 2011 | 교육학

교육복지 실천현장에서 서비스 이용 행동을 결정하는 요인 연구 -Aday, Anderson, and Newman의 행동모델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Factor Analysis of Service Utilizing Behavior in the Practice Field of Education Welfare -With a Focus on the Behavioral Model from Aday, Anderson, and Newma

한국아동복지학 | 31 | 2010 | 사회복지학

교육복지 실천현장에서 서비스 이용 행동을 결정하는 요인 연구 -Aday, Anderson, and Newman의 행동모델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Factor Analysis of Service Utilizing Behavior in the Practice Field of Education Welfare -With a Focus on the Behavioral Model from Aday, Anderson, and Newma

한국아동복지학 | | 31 | 2010 | 사회복지학

교육소외와 격차 해소를 위한 교육복지정책의 과제

Tasks of Education Welfare Policy for Eliminating Educational Alienation and Disparity

한국사회정책 | 17 | 1 | 2010 | 의료/복지/사회정책

교육소외와 격차 해소를 위한 교육복지정책의 과제

Tasks of Education Welfare Policy for Eliminating Educational Alienation and Disparity

한국사회정책 | 17 | 1 | 2010 | 의료/복지/사회정책

교육복지실의 의미에 드러난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역할: D고 사례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the Roles of the Community Educator in the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Zone Project

학교사회복지 | 21 | 2011 | 사회복지학

아동ㆍ청소년의 행복 보장을 위한 독일의 교육복지 개념 고찰

A Study of Geman Educational Welfare Concept for Children and Youths

한독사회과학논총 | 21 | 2 | 2011 | 지역학

교육복지 지표 개발 모형 설계 및 지표 개발-초・중등교육을 중심으로-

A Study on Developing Education Welfare Indicators- Focusing on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

한국교육 | 38 | 2 | 2011 | 교육학

교육복지 프로그램 효과 간 관계분석

Analyzing the relation between effects of education welfare program

평생교육학연구 | 17 | 1 | 2011 | 교육학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 사업 효과분석

Effects analyses of education welfare investment priority zone plan

교육연구논총 | 32 | 1 | 2011 | 교육사회학

교육복지재정의 방향과 과제

Direction and Task of Educational Welfare Finance

교육재정경제연구 | 21 | 1 | 2012 | 교육학

교육복지 실천을 위한 포괄적 접근방식 - 미국의 학교개혁 사례(KIPP)와 비교해 본 포괄적 접근 사례(HCZ)의 의의와 원리 -

The comprehensive approach for education welfare practice - ‘The Harlem Children’s Zone(HCZ)’ as the case of comprehensive approach compared with the ‘KIPP charter school’ as the case of school reform focused approach -

평생교육학연구 | 18 | 2 | 2012 | 교육학

교육기본권 실현을 위한 전제로서의 교육복지

Education welfare as a prerequisite for the realization of educational fundamental rights

헌법학연구 | 18 | 3 | 2012 | 헌법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지원사업 프로젝트조정자의 직무만족 영향 요인

Factors Influencing on Job Satisfaction of Project Coordinators for the Supportive Project for the Priority Region of Education Welfare Investment(SPPREWI)

학교사회복지 | 19 | 2010 | 사회복지학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지원사업 프로젝트조정자의 직무만족 영향 요인

Factors Influencing on Job Satisfaction of Project Coordinators for the Supportive Project for the Priority Region of Education Welfare Investment(SPPREWI)

학교사회복지 | 19 | | 2010 | 사회복지학

교감의 교육복지에 대한 인식 유형 연구 - Q 방법론적 접근

A Study on Perception of Vice principle's concerning the Educational Welfare: Focusing on a Q-Methodology Approach

교육종합연구 | 9 | 2 | 2011 | 교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