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시민 교육

연구분야 :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73769

한자 : 民主市民敎育
영어 :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영어 : democratic civic education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se (우선어)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시민 교육 () [ 市民敎育 ]

정치언어학의 철학: 정치언어 연구의 문제층위와 정치언어의 작동양상

Philosophy of Polito-linguistics-Problematique Level and Operative Mode of Political Language

철학연구 | 95 | 2011 | 철학

독일의 정치교육을 통해 본 한국 통일교육의 방향 정립

대한정치학회보 | 18 | 2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독일의 정치교육을 통해 본 한국 통일교육의 방향 정립

대한정치학회보 | 18 | 2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남북한 통합을 위한 시민교육의 과제

The Task of Citizenship Education for South-North Korean Integration

윤리연구 | 1 | 80 | 2011 | 학제간연구

21세기 통일교육의 방향성 : 현행 체제에 대한 평가와 지향

Directions of Education for Unification in 21st Century: Evaluations and Goals for the Current System

평화학연구 | 12 | 3 | 2011 | 정치외교학

지역사회 통일교육 현황과 활성화 방안: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The Activation and Present Condi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in Korea Regional Society:Case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한국동북아논총 | 17 | 3 | 2012 | 사회과학일반

한국 민주시민교육 활성화를 위한 평생교육의 역할

A Study on the Role of Lifelong Education for Revitalization of Democratic Civic Education

한국동북아논총 | 16 | 4 | 2011 | 사회과학일반

유럽연합의 정체성과 시민교육네트워크(NECE)에 대한 고찰

Identity of European Union and Networking European Citizenship Education (NECE)

한독사회과학논총 | 20 | 4 | 2010 | 지역학

유럽연합의 정체성과 시민교육네트워크(NECE)에 대한 고찰

Identity of European Union and Networking European Citizenship Education (NECE)

한독사회과학논총 | 20 | 4 | 2010 | 지역학

초등사회과 교과서에서의 자국상 형성 논리 - 통일교육을 사례로 -

The Formation of Self-Portrait of Own Country in the Primary School Textbook of Social Studies in Korea: In the Case of “Education for Unification”

사회과교육 | 51 | 3 | 2012 | 교육학

통일교육의 세 가지 차원에 대한 탐색 : 민족화해교육, 분단의식 극복교육, 민주시민교육 - 프레이리 이론을 중심으로

Three dimensions of reunification education: national reconciliation, deconstruction of divided consciousness, and democracy education

한국교육 | 37 | 4 | 2010 | 교육학

통일교육의 세 가지 차원에 대한 탐색 : 민족화해교육, 분단의식 극복교육, 민주시민교육 - 프레이리 이론을 중심으로

Three dimensions of reunification education: national reconciliation, deconstruction of divided consciousness, and democracy education

한국교육 | 37 | 4 | 2010 | 교육학

한국 정당과 정당연구소의 민주시민교육 실태와 대안

An Essay on Korean Political Parties and Their Research Institutes’ Civic Education and Recommendations for Improvement

분쟁해결연구 | 9 | 3 | 2011 | 기타사회과학일반

프랑스 학교의 역사-지리-민주시민교육 연구

L'Étude sur les programmes scolaires de l'Histoire-Géographie-Éducation civique à l'école, au collège et au lycée français.

프랑스 문화 연구 | 23 | 2011 | 프랑스문화학

로컬 매니페스토 운동과 민주시민교육

Local Manifesto Campaign and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국제정치연구 | 13 | 1 | 2010 | 사회과학

로컬 매니페스토 운동과 민주시민교육

Local Manifesto Campaign and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국제정치연구 | 13 | 1 | 2010 | 사회과학

청소년의 민주시민교육과 봉사학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dolescent's Democratic Civic Education and Service Learning

청소년학연구 | 17 | 1 | 2010 | 기타사회과학

청소년의 민주시민교육과 봉사학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dolescent's Democratic Civic Education and Service Learning

청소년학연구 | 17 | 1 | 2010 | 기타사회과학

민주시민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Civic Education Programs

아태연구 | 18 | 1 | 2011 | 사회과학일반

남북한 통일에 대비한 민주시민교육의 문제점과 극복방안

Problems and Solutions of Civic Education Preparing for South-North Korea Unification

한국동북아논총 | 15 | 1 | 2010 | 사회과학일반

남북한 통일에 대비한 민주시민교육의 문제점과 극복방안

Problems and Solutions of Civic Education Preparing for South-North Korea Unification

한국동북아논총 | 15 | 1 | 2010 | 사회과학일반

정치적 리더십과 민주시민교육 : 독일수상 앙겔라 메르켈 사례연구

Democratic Civic Education and Political Leadership: Case of the German Chancellor Angela Merkel

인문사회과학연구 | 33 | 2011 | 학제간연구

민주시민교육과 투표참여: 제17대 대통령 선거를 중심으로

Civic Education and Voter Turnout: Empirical Analyses of the 17th Presidential Election of Korea

인문사회과학연구 | 35 | 2012 | 학제간연구

한국과 독일에 있어서 수요자 중심의 민주시민교육- ‘비판적 사고’(Critical Thinking) 모델

An den Empfänger orientierte politische Erziehung in Korea und Deutschland:‘Critical Thingking’Modell

한독사회과학논총 | 21 | 4 | 2011 | 지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