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도르노

연구분야 : A030405 인문학 > 철학 > 서양철학 > 서양근대독일철학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7409

STNet ID : 1000574

한자 :
독일어 : Adorno
독일어 : Th. W. Adorno
독일어 : Adorno, Theodor Wiesengrund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a01-06-01 인간(직업) 인간(직업)

사상가 [ 思想家 ]

R1:개념적

isAffectedBy (영향요인)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지그프리트 크라카우어 [Kracauer, Siegfried]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막스 호르크하이머 [Horkheimer, Max]

RT (관련어)

관련 인물

d02-03 경제경영제도 경제경영제도

문화 산업 () [ 文化産業 ]

RT (관련어)

친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발터 벤야민 (1892-1940) [Benjamin, Water]

현대 숭고 개념의 헤겔적 기원 연구

Untersuchung zum Hegelschen Ursprung des gegenwärtigen Begriffs des Erhabenen

미학예술학연구 | 35 | 2012 | 기타예술체육

전자음악에 대한 매체철학적 연구 -쇤베르크의 한계를 넘어서-

Media-philosophical Study on the Electronic Music

시대와 철학 | 22 | 3 | 2011 | 철학

아도르노 미학의 진리내용(Wahrheitsgehalt)에 관하여

Zum Wahrheitsgehalt in Adornos Ästhetik

미학예술학연구 | 33 | 2011 | 기타예술체육

숨겨진 인용을 통한 두 세계의 병존과 대위: 헬무트 락헨만 《아칸토》(Accanto, 1975/76)의 경우

Coexistence and Counterpoint of Two Musical Dimensions through Hidden Quotation: in the Case of Accanto by Helmut Lachenmann

서양음악학 | 14 | 3 | 2011 | 음악학

화해의 이념으로서 유토피아와 감성

Sensibility and Utopia as Idea of Reconciliation

범한철학 | 61 | 2 | 2011 | 철학

자연미의 의미와 예술 - 칸트와 아도르노 미학을 중심으로 -

Die Bedeutung des Naturschönen und die Kunst -Im Zusammenhang mit der Ästhetik Kants und Adornos-

범한철학 | 61 | 2 | 2011 | 철학

아버지를 살해한 혁명 - 프랑크푸르트학파와 68혁명 (1)

Die Revolution, die ihre Väter fraß - Die Frankfurter Schule und die 68er Revolution (1)

뷔히너와 현대문학 | 37 | 2011 | 독일어와문학

근대 독일의 지식인 담론에 나타난 아메리카 이미지 -아도르노와 미국을 중심으로

Das Amerkabild im deutschen Intellektuellen-Diskurs des 20. Jahrhunderts unter besonderer Berücksichtigung von Adornos Verhältnis zu Amerika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 26 | 2012 | 독일어와문학

무용창작에서 ʻ새로움ʼ에 대한 철학적 고찰 - 미셀 포킨의 발레개혁을 중심으로

Philosopical Study of ʻNoveltyʼ in Dance Work - A Focus on the Michel Fokineʼs Ballet Reform

무용역사기록학 | 19 | 2010 | 무용

무용창작에서 ʻ새로움ʼ에 대한 철학적 고찰 - 미셀 포킨의 발레개혁을 중심으로

Philosopical Study of ʻNoveltyʼ in Dance Work - A Focus on the Michel Fokineʼs Ballet Reform

무용역사기록학 | 19 | | 2010 | 무용

파시즘 트라우마 - 프랑크푸르트학파와 ’68혁명(2) -

Faschismustrauma - Frankfurter Schule und 68er Revolution(2) -

독일언어문학 | 54 | 2011 | 독일어와문학

아도르노의 개념 비판-사회와 예술의 영역에서 이루어진 동일화 사고 비판-

Adornos Kritik von Begriffen -Die Kritik am Identifizierenden Denkenin der Gesellschaft und Kunst-

철학연구 | 42 | 2011 | 철학

현대독일사회철학과 마르크스와의 관계 II ― ‘이론과 실천’ 개념을 중심으로 ―

Das Verhältnis zwischen der gegenwärtigen deutschen Sozialphilosophie und Karl Marx II ― in Bezug auf den Begriff 'Theorie-Praxis' ―

철학논집 | 25 | 2011 | 철학

현대미술의 문화산업에 관한 연구 -아도르노의 예술론을 중심으로-

A Study on Cultural Industry of Modern Art -Focusing on Adorno's Art Theory-

조형미디어학 | 14 | 1 | 2011 | 기타미술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의 동물해방론

Überlegungen zur Befreiung der Tiere bei Horkheimer und Adorno

환경철학 | 9 | 2010 | 과학/자연철학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의 동물해방론

Überlegungen zur Befreiung der Tiere bei Horkheimer und Adorno

환경철학 | | 9 | 2010 | 과학/자연철학

사랑의 비판이론 - 호르크하이머ㆍ아도르노를 중심으로 -

Kritische Theorie der Liebe im Denken Horkheimers und Adornos

철학논총 | 61 | 3 | 2010 | 철학

사랑의 비판이론 - 호르크하이머ㆍ아도르노를 중심으로 -

Kritische Theorie der Liebe im Denken Horkheimers und Adornos

철학논총 | 61 | 3 | 2010 | 철학

변증법적 미학에 있어서 형식과 내용 - 헤겔과 아도르노의 형식과 내용을 중심으로 -

A Study of Form and Matter in dialectical Aesthetics

동서철학연구 | 63 | 2012 | 철학

주체의 형성과 타자, 그리고 자기보존 -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의 [계몽의 변증법]을 중심으로 -

Die Entstehung der Subjektivität, das Andere und die Selbsterhaltung

범한철학 | 65 | 2 | 2012 | 철학

아도르노: 사회비판으로서 음악비판

Musikkritik als Gesellschaftskritik bei Adorno

철학논총 | 66 | 4 | 2011 | 철학

글쓰기의 철학과 ‘좋은’ 글쓰기를 위한 전략 -아도르노의 비동일적 글쓰기를 중심으로-

Philosophie des Schreibens und Strategie für das gute Schreiben bei Adorno

범한철학 | 58 | 3 | 2010 | 철학

글쓰기의 철학과 ‘좋은’ 글쓰기를 위한 전략 -아도르노의 비동일적 글쓰기를 중심으로-

Philosophie des Schreibens und Strategie für das gute Schreiben bei Adorno

범한철학 | 58 | 3 | 2010 | 철학

아도르노의 예술과 사회의 매개문제

Vermittlung der Kunst zur Gesellschaft bei Adorno

철학∙사상∙문화 | 12 | 2011 | 기타인문학

아도르노의 부정적 역사철학

Adornos negative Geschichtsphilosophie

동서철학연구 | 61 | 2011 | 철학

고통과 도덕 없는 사회를 위한 부정적 도덕철학 - 아도르노의 도덕에 관한 사회철학적 비판을 중심으로 -

Adornos moralphilosophische Überlegungen zur Gesellschaft ohne Leiden und Moral

사회와 철학 | 20 | 2010 | 철학일반

고통과 도덕 없는 사회를 위한 부정적 도덕철학 - 아도르노의 도덕에 관한 사회철학적 비판을 중심으로 -

Adornos moralphilosophische Überlegungen zur Gesellschaft ohne Leiden und Moral

사회와 철학 | | 20 | 2010 | 철학일반

아도르노 철학의 유토피아적 모티브

Die utopische Motive der Philosophie Theodor W. Adornos

동서철학연구 | 65 | 2012 | 철학

셸링과 아도르노에 있어서 이성의 근거와 타자

Reason and the Other in the later Schelling's and Adorno's Philosophy

헤겔연구 | 30 | 2011 | 철학

아도르노의 사회비판의 논리에 대한 일고찰 ―그의 음악이론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 Adorno's logic of Social Critique - Focusing on Adorno' Musical Theory

인문학연구 | 38 | 3 | 2011 | 기타인문학

Adorno and Critical Perspectives on the Culture Industry and Film

아도르노의 문화산업과 영화에 관한 비판적 관점

영상문화 | 19 | 2012 | 학제간연구

아도르노의 미학이론과 베케트 —‘부정사유’와 ‘자율적 예술의 정치성’

Adorno's Aesthetic Theory and Beckett: ‘Negative Thinking' and the ‘Politics of Autonomous Art'

현대영미드라마 | 23 | 1 | 2010 | 현대영미희곡

아도르노의 미학이론과 베케트 —‘부정사유’와 ‘자율적 예술의 정치성’

Adorno's Aesthetic Theory and Beckett: ‘Negative Thinking' and the ‘Politics of Autonomous Art'

현대영미드라마 | 23 | 1 | 2010 | 현대영미희곡

아도르노의 미학에서 추의 변증법 : 『미학 이론』의 한 해석

Die Dialektik des Häßlichen in der Ästhetik Adornos : Eine Analyse von Ästhetische Theorie

미학예술학연구 | 35 | 2012 | 기타예술체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