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화

연구분야 : B050000 사회과학 > 경영학
B120700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행정/경영학

클래스 : 기능/역할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74290

한자 : 組織化

b01-06 기능/역할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1:종류

hasKind (종류)

 

 

외부의존 조직화

hasKind (종류)

 

 

자생적 조직화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조직 문화 () [ 組織文化 ]

R2:기능적

hasMethod (방법/기법)

 

e02-01 모델/모형 모델/모형

조직화 모형 [ 組織化模型 ]

한국에서의 국가-자본의 노동 유연화 전략과 그 결과 : 노동시장과 조직화의 분절 및 비정규 노동 문제에의 함의

The Strategy for Labor Flexibility of the Capital and the State in Korea : Segmentation in Labor Market and Unionization and the Implication on the None-Regular Workers

한국정치학회보 | 44 | 3 | 2010 | 정치외교학

한국에서의 국가-자본의 노동 유연화 전략과 그 결과 : 노동시장과 조직화의 분절 및 비정규 노동 문제에의 함의

The Strategy for Labor Flexibility of the Capital and the State in Korea : Segmentation in Labor Market and Unionization and the Implication on the None-Regular Workers

한국정치학회보 | 44 | 3 | 2010 | 정치외교학

중학생의 학업성취 정도에 따른 자기조절학습의 차이 탐색

The Difference of Self-regulated Learning with respect to Achievement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중등교육연구 | 60 | 1 | 2012 | 교육학

창원지역 시민운동의 대두와 조직화 : ‘87년 6월 민주항쟁’ 이후

Organization of civil social movement in Changwon Region : since '87 democratization movement'

인문논총 | 27 | 2011 | 기타인문학

초등학교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의 문제점과 과제

Development and Challenges for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in Elementary School

초등상담연구 | 10 | 1 | 2011 | 교육학

SSM 진출규제에 따른 국제통상마찰 완화를 위한 소상공인 정책방향: 소상공인 조직화 결정요인 실증분석

Micro Enterprise Policy to Reduce Trade Conflict Due to SSM Enter Restriction :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Determinants of Micro Enterprise Organization

통상정보연구 | 13 | 1 | 2011 | 무역학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 관련된 자서전적 외상 기억의 조직화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autobiographical trauma memory organization associated with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한국심리학회지:일반 | 31 | 1 | 2012 | 심리과학

영세 소상공인 조직화에 대한 직능업종별 차이분석과 경영성과

An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Management Performance by BusinessCategories from the Perspective of Small Business Systematization

유통과학연구 | 9 | 2 | 2011 | 산업/서비스경제

한국 소상공인의 조직화와 체인 인식도에 관한 정책 지원 모델 연구

A Study on Policy Support Model for Korean Small Businessman’s Systematization and Chain Recognition

중소기업연구 | 32 | 3 | 2010 | 경영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