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교육자치제도

연구분야 : B120700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행정/경영학

클래스 : 정치/법률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74320

STNet ID : 1002401

한자 : 地方敎育自治制度
영어 : local educational autonomy system

d02-02 정치/법률제도

목적_o1

지방 교육 자치 (地方敎育自治)

관련법률/제도명

지방 교육 자치에 관한 법률 (地方敎育自治--關--法律)

목적_t

교육의 자주성 및 전문성을 보장

목적_t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Property (특성/속성)

 

d01-02 원칙/법칙 원칙/법칙

교육의 자주성 [ 敎育-- 自主性 ]

S:동의

UF (비우선어)

 

 

교육자치제 [ 敎育自治制 ]

R1:개념적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지방 자치제 [ 地方自治制 ]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지방 분권 [ 地方分權 ]

한국 평생학습도시 조성사업에 대한 반성 : 사업에 대한 주요 영향 요소의 비판적 분석

A Reflection on the Lifelong Learning City Policy Project in Korea: A Critical Analysis of Major Factors Impacting on the Policy Project

Andragogy Today: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IJACE) | 13 | 4 | 2010 | 교육학

한국 평생학습도시 조성사업에 대한 반성 : 사업에 대한 주요 영향 요소의 비판적 분석

A Reflection on the Lifelong Learning City Policy Project in Korea: A Critical Analysis of Major Factors Impacting on the Policy Project

Andragogy Today: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IJACE) | 13 | 4 | 2010 | 교육학

교육감 선거제도의 규범적 타당성 및 사실적 실효성 진단 연구

A Study on the 'Norm validity' and 'Actual effectiveness' at the election system of the Superintendent

교육법학연구 | 22 | 2 | 2010 | 교육학

교육감 선거제도의 규범적 타당성 및 사실적 실효성 진단 연구

A Study on the 'Norm validity' and 'Actual effectiveness' at the election system of the Superintendent

교육법학연구 | 22 | 2 | 2010 | 교육학

지방교육자치제도 개정에 관한 논의- 민주주의·지방자치·교육자주 및 제도 원리 관점 -

The Reform of Local Educational Autonomy System- Focus on the Democracy, Local autonomy, Independency of education, and Principle of system etc. -

지방자치법연구 | 10 | 2 | 2010 | 법학

지방교육자치제도 개정에 관한 논의- 민주주의·지방자치·교육자주 및 제도 원리 관점 -

The Reform of Local Educational Autonomy System- Focus on the Democracy, Local autonomy, Independency of education, and Principle of system etc. -

지방자치법연구 | 10 | 2 | 2010 | 법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