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자아

연구분야 : B210100 사회과학 > 심리과학 > 심리학이론/심리학사

클래스 : 개념(정의)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74382

한자 : 超自我
영어 : superego

d01-04 개념(정의)

주창자

프로이트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isAffectedBy (영향요인)

 

X03 관계/상호작용 관계/상호작용

부모 자녀 관계 [ 父母子女關係 ]

isAffectedBy (영향요인)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칭찬 [ 稱讚 ]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C02 심리 심리

자아 개념 [ 自我槪念 ]

originatesFrom (기원/근원)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정신분석 이론 () [ 精神分析理論 ]

『마지막 한잔』: 상징계의 분열과 타락한 주체

『One for the Road』: The splitting of the Symbolic and the fallen subject

영미어문학 | 100 | 2011 | 영어와문학

‘Yes’를 즐겨라!: 영화 <예스 맨>에 나타난 외설적 초자아와 자기계발 주체의 긍정의 양태

Enjoy ‘Yes!’: The Obscene Superego and the Mode of Affirmation of Self-Improvement Subjects in the Film Yes Man

비평과이론 | 15 | 2 | 2010 | 영어와문학

‘Yes’를 즐겨라!: 영화 <예스 맨>에 나타난 외설적 초자아와 자기계발 주체의 긍정의 양태

Enjoy ‘Yes!’: The Obscene Superego and the Mode of Affirmation of Self-Improvement Subjects in the Film Yes Man

비평과이론 | 15 | 2 | 2010 | 영어와문학

1950년대 손창섭 소설에 나타난 죄의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nse of guilt in Sohn Chang-sup's Works of the 1950's

한국학논집 | 41 | 2010 | 기타인문학

1950년대 손창섭 소설에 나타난 죄의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nse of guilt in Sohn Chang-sup's Works of the 1950's

한국학논집 | | 41 | 2010 | 기타인문학

Jackson Pollock의 <초상화와 꿈>에 나타난 자아분열의 이미지

Images of Ego Split in Jackson Pollock's Painting Portrait and a Dream

미술치료연구 | 17 | 5 | 2010 | 심리과학

Jackson Pollock의 <초상화와 꿈>에 나타난 자아분열의 이미지

Images of Ego Split in Jackson Pollock's Painting Portrait and a Dream

미술치료연구 | 17 | 5 | 2010 | 심리과학

천양희 초기시의 우울 연구 -상실의 의미화 작용을 중심으로-

A Study on Depression in Cheon, Yang-hee's Early Poetry -With a focus on the signification mechanism of loss-object

여성문학연구 | 25 | 2011 | 한국어와문학

조선시대 필기·야담류에 나타난 귀신의 세 유형과 그 역사적 변모

The Types of Guishin(鬼神) and Its Historical Transformation in the Period of Joseon Dynasty

우리어문연구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시대 필기·야담류에 나타난 귀신의 세 유형과 그 역사적 변모

The Types of Guishin(鬼神) and Its Historical Transformation in the Period of Joseon Dynasty

우리어문연구 |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법/초자아에서 사랑으로—허먼 멜빌의『빌리 버드』에 나타나는 법, 폭력, 그리고 사랑의 가능성

From Law/Superego to Love: Law, Violence, and the Possibility of Love in Herman Melville’s Billy Budd, Sailor

영어영문학 | 57 | 5 | 2011 | 영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