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 수업

연구분야 : B120300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수이론/교육방법/교수법

클래스 : 교수/학습법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74428

한자 : 討論授業
영어 : classroom discussion

d04-03 교수/학습법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토론식 수업

UF (비우선어)

 

 

토의식 수업 [ 討議式授業 ]

N1:종류

hasKind (종류)

 

a04-06 도구/수단 도구/수단

리소스패널 [Resource Panel]

R1:개념적

RT (관련어)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논쟁 문제 [ 論爭 問題 ]

RT (관련어)

 

e02-01 모델/모형 모델/모형

CEDA 토론모델 [ --討論-- ]

RT (관련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키케로 주의 [ --主義 ]

RT (관련어)

 

x03-06-02 교환/교류/교제 교환/교류/교제

상호 작용적 커뮤니케이션 [ 相互作用的-- ]

RT (관련어)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집단지도

R2:기능적

isAppliedTo (적용 대상)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면대면 토론 [ 面對面討論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효과적인 토론 수업 방안-모국어 화자와 한국어 학습자 토론 담화 분석을 중심으로-

An Effective Way of Classroom Debate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Result from Debate Discourse Analysis-

국제어문 | 48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효과적인 토론 수업 방안-모국어 화자와 한국어 학습자 토론 담화 분석을 중심으로-

An Effective Way of Classroom Debate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Result from Debate Discourse Analysis-

국제어문 | | 48 | 2010 | 한국어와문학

공적 시민성의 육성을 위한 사회과교육의 방안 - 시민사회의 활성화 측면에서 -

A Method of Social Studies Education for Cultivating Public Citizenship

사회과교육연구 | 19 | 3 | 2012 | 사회교육학

법학전문대학원 시대의 철학교육

Die Eerziehung der Philosophie im Zeitalter der Law school

동서철학연구 | 61 | 2011 | 철학

구성주의적 학습을 위한 토론 수업

Debate Education for Constructivistic Learning

인문사회과학연구 | 28 | 2010 | 학제간연구

구성주의적 학습을 위한 토론 수업

Debate Education for Constructivistic Learning

인문사회과학연구 | | 28 | 2010 | 학제간연구

토론형 한국어 수업 구성 방안 - ‘4대강 사업’을 논제로 -

A Discussion Type Korean Language Lesson Plan: For the Theme of “The Four Rivers Project”

언어과학연구 | 53 | 2010 | 언어학

토론형 한국어 수업 구성 방안 - ‘4대강 사업’을 논제로 -

A Discussion Type Korean Language Lesson Plan: For the Theme of “The Four Rivers Project”

언어과학연구 | | 53 | 2010 | 언어학

예비교사의 구성주의적 토론수업 경험에 관한 연구

A Story Investigation of Pre-teachers Appeared in Discussion Class Based on Constructivism View

유아교육학논집 | 14 | 3 | 2010 | 교육학

예비교사의 구성주의적 토론수업 경험에 관한 연구

A Story Investigation of Pre-teachers Appeared in Discussion Class Based on Constructivism View

유아교육학논집 | 14 | 3 | 2010 | 교육학

토론수업에서 학습자의 협동적, 경쟁적 학습스타일과 자기주도성이 동료평가와 토론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students' collaborative, competitive learning style and self-direction on peer-evaluation and satisfaction in discussion class

열린교육연구 | 18 | 1 | 2010 | 교육학

토론수업에서 학습자의 협동적, 경쟁적 학습스타일과 자기주도성이 동료평가와 토론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students' collaborative, competitive learning style and self-direction on peer-evaluation and satisfaction in discussion class

열린교육연구 | 18 | 1 | 2010 | 교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