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보

연구분야 : A120202 인문학 > 중국어와문학 > 중문학 > 중국시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75063

STNet ID : 1002442

한자 : 杜甫
기타 : Du Fu
호(號) : 노두(老杜)
호(號) : 공부(工部)
호(號) : 소릉(少陵)

y01-01 실존인물

출생지

허난성 궁현 (河南省 鞏縣)

저작

북정

추흥

삼리삼별

직업

시인 (詩人)

생몰년_t

712 - 770

성별2

남자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시성 [ 詩聖 ]

R1:개념적

affects (영향)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유소입두 [ 由蘇入杜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강서시파 [ 江西詩派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두시 () [ 杜詩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이백 (701-762) [ 李白 ]

치원(巵園) 황상(黃裳)의 시(詩)에 미친 다산 시(茶山詩)의 영향

A study Chi-won's Seosasi[敍事詩; Epic Poetry] under the influence of Da-san's poetical style

국제언어문학 | 22 | 2010 | 기타동양어문학

치원(巵園) 황상(黃裳)의 시(詩)에 미친 다산 시(茶山詩)의 영향

A study Chi-won's Seosasi[敍事詩; Epic Poetry] under the influence of Da-san's poetical style

국제언어문학 | | 22 | 2010 | 기타동양어문학

치원(巵園) 황상(黃裳)의 시(詩)에 미친 다산 시(茶山詩)의 영향

A study Chi-won's Seosasi[敍事詩; Epic Poetry] under the influence of Da-san's poetical style

국제언어문학 | 22 | 2010 | 기타동양어문학

치원(巵園) 황상(黃裳)의 시(詩)에 미친 다산 시(茶山詩)의 영향

A study Chi-won's Seosasi[敍事詩; Epic Poetry] under the influence of Da-san's poetical style

국제언어문학 | | 22 | 2010 | 기타동양어문학

儒家의 自然觀

The Confucian View of Nature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儒家의 自然觀

The Confucian View of Nature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 문인들의 陳與義 시가의 수용 양상연구

동악어문학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 문인들의 陳與義 시가의 수용 양상연구

동악어문학 |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西陂 柳僖의 江西詩派 수용 양상에 대하여

In Regard to the Acceptance Phase of Jiangxishipa of Seopa Ryu-Hee

漢文古典硏究 | 20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西陂 柳僖의 江西詩派 수용 양상에 대하여

In Regard to the Acceptance Phase of Jiangxishipa of Seopa Ryu-Hee

漢文古典硏究 | 20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兩美人曲에 投影된 杜甫의 詩

The adaptation of Doobo’s poetry into Yangmiingok

어문학 | 114 | 2011 | 한국어와문학

19세기 朝․淸 문인들의 唱和詩集 『秋懷唱和詩』 연구 -서지 및 편찬배경을 중심으로-

A Study on ChuHoeChangWhaShi (秋懷唱和詩) written by Korean-Chinese scholars in 19th century

한중인문학연구 | 36 | 2012 | 한국어와문학

兩美人曲에 投影된 杜甫의 詩

The adaptation of Doobo’s poetry into Yangmiingok

어문학 | 114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국 문인들의 陳與義 시가의 수용 양상연구

동악어문학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 문인들의 陳與義 시가의 수용 양상연구

동악어문학 |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朝鮮 世宗朝에 간행된 唐人 別集類 略考

Personal Collected Works of Tang(唐) Dynasty published during the Sejong(世宗) Period in Chosun(朝鮮)

중국어문논총 | 52 | 2012 | 중국어와문학

宋代詩話李白論-以李白杜甫優劣論爲主-

The View on Li-Bai in Song Dynasty(宋代) Poetry Talks(詩話) - Focus on the Superiority Dispute over Li-Bai and Du-Fu

중국어문학 | 57 | 2011 | 중국어와문학

朝鮮後期 朴泰淳의 唐詩 和韻詩 硏究 ― 杜甫와 李商隱 詩에 대한 和韻詩를 중심으로

The verse in response to Tang dynasty poetry by Park Taeso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 focused on a verse in response to Dufu(杜甫) and Lishangyin(李商隱)

중국학논총 | 34 | 2011 | 중국어와문학

杜甫의 <戱爲六絶句> 제1首에 대한 論析

A Study on ShouCi by WuWenYing in Southern Song

중국인문과학 | 44 | 2010 | 중국어와문학

杜甫의 <戱爲六絶句> 제1首에 대한 論析

A Study on ShouCi by WuWenYing in Southern Song

중국인문과학 | | 44 | 2010 | 중국어와문학

杜詩 「同谷七歌」의 韓國的 受容의 한 樣相

An aspect of the acceptance of Donggokchilga (同谷七歌) in Korean poems

한어문교육 | 24 | 2011 | 국어교육

맥락적 지식 중심의 한시 교육 - 두보의 「春望」을 중심으로 -

Teaching Chinese Poetry, ‘ChunMang (春望)’, Based on Contextual knowledge

우리말글 | 53 | 2011 | 한국어와문학

杜詩 「同谷七歌」의 韓國的 受容의 한 樣相

An aspect of the acceptance of Donggokchilga (同谷七歌) in Korean poems

한어문교육 | 24 | 2011 | 국어교육

<茅屋爲秋風所破歌> 수사법 연구 - 원문과 언해문 비교를 중심으로 -

<茅屋爲秋風所破歌>修辭格硏究 - 從原文與譯文比較的視角 -

중국학연구 | 60 | 2012 | 중국어와문학

退溪 李滉 시에 나타난 杜詩 수용 양상

A Study on the Influence of Du Fu Poetry about Toegye Lee hwang Poetry

한국사상과 문화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退溪 李滉 시에 나타난 杜詩 수용 양상

A Study on the Influence of Du Fu Poetry about Toegye Lee hwang Poetry

한국사상과 문화 |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두보시 「北征」의 수용 양상과 그 의미에 대한 일고찰

The Aspect and Meaning of Du Fu's Beizheng(北征)

동양한문학연구 | 33 | 33 | 2011 | 한국어와문학

杜甫 前後期 七律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f Du-Fu's Seven Characters Regulated Verse between the Former and the Latter Period

중국어문논총 | 47 | 2010 | 중국어와문학

杜甫 前後期 七律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f Du-Fu's Seven Characters Regulated Verse between the Former and the Latter Period

중국어문논총 | | 47 | 2010 | 중국어와문학

조선전기 두시(杜詩) 이해의 지평과 『두시언해(杜詩諺解)』간행의 문학사적 의미

Prospect of Understanding Dubo's poem and Meaning of Literature History of publication in the Early Joseon Dynasty

동악어문학 | 58 | 2012 | 한국어와문학

두보시 「北征」의 수용 양상과 그 의미에 대한 일고찰

The Aspect and Meaning of Du Fu's Beizheng(北征)

동양한문학연구 | 33 | 33 | 2011 | 한국어와문학

茶山 丁若鏞의 杜甫詩 收容樣相

茶山丁若鏞的杜甫詩收容樣相

동아인문학 | 18 | 2010 | 기타인문학

茶山 丁若鏞의 杜甫詩 收容樣相

茶山丁若鏞的杜甫詩收容樣相

동아인문학 | | 18 | 2010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