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기

연구분야 : G021100 예술체육 > 음악학 > 악기학/음악박물관학

클래스 : 도구/수단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7507

한자 : 樂器
영어 : musical instrument

a04-06 도구/수단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1:종류

hasKind (종류)

 

a04-06 도구/수단 도구/수단

민족 악기 [ 民族樂器 ]

hasKind (종류)

 

a04-06 도구/수단 도구/수단

타악기 [ 打樂器 ]

hasKind (종류)

 

a04-06 도구/수단 도구/수단

현악기 () [ 絃樂器 ]

hasKind (종류)

 

a04-06 도구/수단 도구/수단

고대 악기 [ 古代樂器 ]

hasKind (종류)

 

a04-06 도구/수단 도구/수단

건반 악기 [ 鍵盤樂器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a01-06-01 인간(직업) 인간(직업)

연주가 [ 演奏家 ]

R2:기능적

isAppliedTo (적용 대상)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연주법 [ 演奏法 ]

CLT:참조용어

CCType_ST (구분 해당용어)

 

 

당악기 () [ 唐樂器 ]

『源氏物語』の光源氏の音楽論と女楽 -禮楽思想を媒介に-

光源氏의音樂論과 女樂 ー예악사상을 매개로ー

Journal of korean Culture | 21 | 2012 | 현대시(국문학)

억양기반의 확장이 시각장애아동의 언어습득에 미치는 긍정성

Building Intonation Base Affects to Language Acquisition for Visually Impaired Children

언어치료연구 | 19 | 4 | 2010 | 교육학

억양기반의 확장이 시각장애아동의 언어습득에 미치는 긍정성

Building Intonation Base Affects to Language Acquisition for Visually Impaired Children

언어치료연구 | 19 | 4 | 2010 | 교육학

「翰林別曲」의 美的 特質과 民族禮樂思想

A Study for Aesthetic of 「Hallimbyolgok」

어문연구(語文硏究) | 39 | 4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국 고대 피리의 연원(淵源)에 관한 소고(小考) - 문헌기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Origin of Ancient Korean Piri: -On the Basis of Literature -

민족문화논총 | 45 | 2010 | 기타인문학

한국 고대 피리의 연원(淵源)에 관한 소고(小考) - 문헌기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Origin of Ancient Korean Piri: -On the Basis of Literature -

민족문화논총 | | 45 | 2010 | 기타인문학

「翰林別曲」의 美的 特質과 民族禮樂思想

A Study for Aesthetic of 「Hallimbyolgok」

어문연구(語文硏究) | 39 | 4 | 2011 | 한국어와문학

『여씨춘추』와 『예기』 「악기」에서 “음악은 천지의 조화[和]”가 갖는 의미 비교

The Concept of Cosmic Harmony of Music in Lüshi chunqiu and “Yueji” of Liji

철학사상 | 43 | 2012 | 철학

1711년 조선통신사 ‘등성행렬도’의 취타수 연구

Study on Chitasu Shown in "Deungseonghaengryeoldo"

진단학보 | 113 | 2011 | 역사학

『여씨춘추』와 『예기』 「악기」에서 “음악은 천지의 조화[和]”가 갖는 의미 비교

The Concept of Cosmic Harmony of Music in Lüshi chunqiu and “Yueji” of Liji

철학사상 | 43 | 2012 | 철학

陳暘 『樂書』 禮樂論의 易理的 硏究

A Study on the Yin-Yang theory of Rites and Music in Chen Yang's Yue Shu

한국사상과 문화 | 57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