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학궤범

연구분야 : G020301 예술체육 > 음악학 > 음악사학 > 한국음악사

클래스 : 문헌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7517

한자 : 樂學軌範

y02-01 문헌명

저작자

성현 (成俔)

시대1

조선 전기 (朝鮮前期)

저작년_t

1493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악서 () [ 樂書 ]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y02-01 문헌명 문헌명

정동방곡 [ 靖東方曲 ]

hasComponent (구성요소)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납씨가 [ 納氏歌 ]

hasComponent (구성요소)

 

y03-03 행사/축제명 행사/축제명

교방가요 [ 敎坊歌謠 ]

hasComponent (구성요소)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동동 [ 動動 ]

hasComponent (구성요소)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유황곡 [ 維皇曲 ]

R1:개념적

isAffectedBy (영향요인)

 

y02-01 문헌명 문헌명

율려신서 [ 律呂新書 ]

RT (관련어)

 

e01-05 공연예술 공연예술

당악 정재 [ 唐樂呈才 ]

조선시대 왕실음악의 시공간과 향유의 특징 -조선전기 用樂의 差等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ime-Space Conception and the Aspect of Enjoyment of the Royal Court Music and Dance in Jeoseon Dynasty -Focused on the case of the differential music performance in the early of Jeseon era-

동양예술 | 18 | 2012 | 기타미술

『樂學軌範』에서 12律名의 의미가 갖는 생명인식 - 12地支․12節氣․12卦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

The Recognition of Life as the Meaning of 12 Yuleo(律呂: Rhythm) in Akhakguebeom(『樂學軌範』) - Focused on the relationship with 12 Sexagenary Cycle(地支), 12 Subdivisions of Seasons(節氣), and 12 Divination Sign(卦) -

양명학 | 28 | 2011 | 철학

조선시대 지방 교방 춤 종목 연구

A Study on Types of Local Gyobang Dance in the Joseon Period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 31 | 1 | 2012 | 기타인문학

조선시대 지방 교방 춤 종목 연구

A Study on Types of Local Gyobang Dance in the Joseon Period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 31 | 1 | 2012 | 기타인문학

『樂學軌範』에서 12律名의 의미가 갖는 생명인식 - 12地支․12節氣․12卦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

The Recognition of Life as the Meaning of 12 Yuleo(律呂: Rhythm) in Akhakguebeom(『樂學軌範』) - Focused on the relationship with 12 Sexagenary Cycle(地支), 12 Subdivisions of Seasons(節氣), and 12 Divination Sign(卦) -

양명학 | 28 | 2011 | 철학

『악학궤범』<봉래의> 여민락 무의 이동구조 탐색

A Study on the Movement Structure of Yeominlak Dance of “Bonglaeeui” in Akhakguebeom: Useonhwaemu

무용역사기록학 | 23 | 2011 | 무용

조선후기 진주 교방의 정재 공연양상 -敎坊歌謠를 중심으로-

Performing Aspects of Court Dance at Chinju Kyobang in the Late Chosŏn Period -On the Basis of Kyobang Kayo-

한국음악사학보 | 46 | 2011 | 음악학

현행 正樂大笒과 中國 笛子의 運指法 비교

Comparison of Fingering of Current Jeongak Daegeum and Chinese Jeokja

동양예술 | 17 | 2011 | 기타미술

문헌별 홀기해석에 의한 포구락 진행절차 비교분석

Analyze and Comparison with order in progress about Pogurak by Interpretation of eath Litertures dn Dance Natation

한국무용연구 | 28 | 1 | 2010 | 기타무용

문헌별 홀기해석에 의한 포구락 진행절차 비교분석

Analyze and Comparison with order in progress about Pogurak by Interpretation of eath Litertures dn Dance Natation

한국무용연구 | 28 | 1 | 2010 | 기타무용

「樂書孤存」에서 茶山의 樂器論(II) -塤을 중심으로-

Research about Dasan's(茶山) instruments from Akseogojon(樂書孤存)(II) -based on Hoon(塤)-

남북문화예술연구 | 10 | 2012 | 기타예술일반

『악학궤범』 처용무 작대(作隊)의 의미 조명

A Study on Cheoyong Dance Composition Shown in Akhakgwebeom (Musical Canon)

한국사상사학 | 36 | 2010 | 역사학

『악학궤범』 처용무 작대(作隊)의 의미 조명

A Study on Cheoyong Dance Composition Shown in Akhakgwebeom (Musical Canon)

한국사상사학 | | 36 | 2010 | 역사학

궁중무용에서 본 남북한 무용의 분화와 특성

The Specialization and Characteristics of North and South Korean Dance through the Royal Court Dance

한국무용연구 | 28 | 2 | 2010 | 기타무용

궁중무용에서 본 남북한 무용의 분화와 특성

The Specialization and Characteristics of North and South Korean Dance through the Royal Court Dance

한국무용연구 | 28 | 2 | 2010 | 기타무용

『악학궤범』 처용무 작대(作隊)의 의미 조명

A Study on Cheoyong Dance Composition Shown in Akhakgwebeom (Musical Canon)

한국사상사학 | 36 | 2010 | 역사학

『악학궤범』 처용무 작대(作隊)의 의미 조명

A Study on Cheoyong Dance Composition Shown in Akhakgwebeom (Musical Canon)

한국사상사학 | | 36 | 2010 | 역사학

『악학궤범』<봉래의> ‘치화평무’의 복원 및 재현을 위한 고무보(古舞譜) 고찰

Examination on Ancient Dance Scores(古舞譜) to Restore and Reconstruct Chihwapyeongmu of “Bonglaeeui” in Akhakguebeom

무용역사기록학 | 25 | 2012 | 무용

『악학궤범』 속악 7조 기본음(궁)의 성립 배경

Background to the Establishment of Sogak 7 Keys of Akhak kwebŏm

한국음악사학보 | 48 | 2012 | 음악학

조선시대 왕실음악의 시공간과 향유의 특징 -조선전기 用樂의 差等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ime-Space Conception and the Aspect of Enjoyment of the Royal Court Music and Dance in Jeoseon Dynasty -Focused on the case of the differential music performance in the early of Jeseon era-

동양예술 | 18 | 2012 | 기타미술

朝鮮朝 鄕樂呈才의 性理學的 談論 − 宗廟佾舞와 五方處容舞를 中心으로 −

A Neo-Confucian Discourse on Joseon Hyangakjeongjae (royal feast dance and music) - Focused on Jongmyoilmu (Royal Shrine Dance) and Obangcheoyongmu (Five-Direction Cheoyong Dance)

한국사상과 문화 | 63 | 2012 | 한국어와문학

『樂學軌範』권1에 나타난 중국 음악이론의 주체적 수용 양상에 대한 고찰 - ‘時用’을 중심으로 -

A study on independent acceptance of the musical theory (樂律論) in Akhak kwebŏm (樂學軌範) Vol.1 - focusing on Siyong (時用) –

유교사상문화연구 | 47 | 2012 | 유교학

『악학궤범』<봉래의> 여민락 무의 이동구조 탐색

A Study on the Movement Structure of Yeominlak Dance of “Bonglaeeui” in Akhakguebeom: Useonhwaemu

무용역사기록학 | 23 | 2011 | 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