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분야 : A020201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한국고대사
B101101 사회과학 > 지역학 > 동아시아 > 한국
클래스 : 시대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75409
한자 : 高句麗
x02-01 시대
용어관계 |
관련용어 |
|||
유형 |
관계명 |
관계속성 |
클래스명 |
용어명 |
고대 중국 건축의 8각 요소 검토 -고구려 8각 불탑의 조망을 위하여-
A Study on Octagonal Angled Elements of the Ancient Chinese Architecture-For the view of Gogurye's octagonal angled pagodas
한국사상사학 | 36 | 2010 | 역사학
몽골에서 최근 발굴된 돌궐시대 벽화고분의 소개
Newly Excavated Mural Tomb at Shoroon Bumbagar in Mongolia
고구려발해연구 | 43 | 2012 | 한국고대사
堤上의 未斯欣 구출과정과 신라의 성장
Process of Saving Misahun by Jesang and Growth of Silla
신라사학보 | 25 | 2012 | 역사학
3-4세기 고구려 횡혈식 무덤의 등장과 확산
On the appearance and diffusion of horizontally - buried tomb of Koguryo from mid- 3th century to late- 4th century
역사문화연구 | 40 | 2011 | 역사학
광개토대왕대 고구려의 군사발전과 성장
Military Development and Growth of the Goguryeo during the Reign of King Gwangato
군사 | 77 | 2010 | 역사학
광개토대왕대 고구려의 군사발전과 성장
Military Development and Growth of the Goguryeo during the Reign of King Gwangato
군사 | | 77 | 2010 | 역사학
판타지 장르의 원천 콘텐츠로서의 고전설화 연구 - 고전설화 '만파식적'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lassic Tale as an Original Fantasy Contents Source - Focused on Classic Tale 'Manpasikjuk'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16 | 3 | 2010 | 디자인
판타지 장르의 원천 콘텐츠로서의 고전설화 연구 - 고전설화 '만파식적'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lassic Tale as an Original Fantasy Contents Source - Focused on Classic Tale 'Manpasikjuk'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16 | 3 | 2010 | 디자인
北方故土意識의推移에관한고찰Ⅰ- 발해멸망~조선후기 -
A Study on Changes of Northern Native Land Awareness Ⅰ -from the Fall of Balhae to the late Joseon period-
고구려발해연구 | 42 | 2012 | 한국고대사
한국 고대의 축제와 사면
韓國古代の祝祭と赦免
한국고대사연구 | 59 | 2010 | 한국고대사
한국 고대의 축제와 사면
韓國古代の祝祭と赦免
한국고대사연구 | | 59 | 2010 | 한국고대사
한국 고대의 축제와 사면
韓國古代の祝祭と赦免
한국고대사연구 | 59 | 2010 | 한국고대사
한국 고대의 축제와 사면
韓國古代の祝祭と赦免
한국고대사연구 | | 59 | 2010 | 한국고대사
任那諸國內 ‘加羅聯盟’의 勢力 變遷과 對外 關係
The Transition of Power of the ‘Union of Garah(加羅聯盟)’ and its Foreign Relations in the States of Imnah(任那)
백산학보 | 86 | 2010 | 역사학
任那諸國內 ‘加羅聯盟’의 勢力 變遷과 對外 關係
The Transition of Power of the ‘Union of Garah(加羅聯盟)’ and its Foreign Relations in the States of Imnah(任那)
백산학보 | | 86 | 2010 | 역사학
百濟 始祖 溫祚 說話에 대한 檢證
Verification of the Tale of Onjo(溫祚), the Founder of Baekje
한국사상사학 | 36 | 2010 | 역사학
百濟 始祖 溫祚 說話에 대한 檢證
Verification of the Tale of Onjo(溫祚), the Founder of Baekje
한국사상사학 | | 36 | 2010 | 역사학
영산강유역 前方後圓形墳의 축조와 그 주체
Background and Main agents of the construction of the Keyholeshaped Mounds in the Yeongsan River Basin
역사와 담론 | 56 | 2010 | 역사학
영산강유역 前方後圓形墳의 축조와 그 주체
Background and Main agents of the construction of the Keyholeshaped Mounds in the Yeongsan River Basin
역사와 담론 | | 56 | 2010 | 역사학
公山城 出土 漆甲의 性格에 대한 再檢討
Re-Examin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Lacquered Armor Discovered at Gongsan Fortress
인문학논총 | 28 | 2012 | 기타인문학
영어권 중국사 개설서에 보이는 한국 관련 지도의 실태 분석
An Examination of Korea-Related Maps Seen in the Survey Books of Chinese History Written in English
동북아역사논총 | 27 | 2010 | 역사학
영어권 중국사 개설서에 보이는 한국 관련 지도의 실태 분석
An Examination of Korea-Related Maps Seen in the Survey Books of Chinese History Written in English
동북아역사논총 | | 27 | 2010 | 역사학
고조선과 고구려 건국신화의 구조주의적 분석
A Study on the National Birth Myth of Old Choson and Koguryo With the Structural View
국학연구 | 18 | 2011 | 기타인문학
발해 연화문 와당의 문양 변화와 시기적 변천
The Changes of the Design and Times of the Roof-end Tiles with Lotus Design of Balhae
백산학보 | 87 | 2010 | 역사학
발해 연화문 와당의 문양 변화와 시기적 변천
The Changes of the Design and Times of the Roof-end Tiles with Lotus Design of Balhae
백산학보 | | 87 | 2010 | 역사학
【기획논문】 백제의 가야 진출과 倭國- 소위 ‘397년 체제’의 성립과 전개를 중심으로 -
Expansion of Baekie to Kaya, and Wa -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The Year 397 System’ -
지역과 역사 | 29 | 2011 | 역사학
중국 고대 정권찬탈자들의 重譯來庭論 -朝貢·冊封 질서에 대한 새로운 해석의 단서를 찾아서-
中國古代政權簒奪者與重譯來庭
역사학보 | 213 | 2012 | 역사학
德興里 壁畵古墳의 墨書와 圖像검토를 통해 본 鎭의 國籍 -앞방벽화를 중심으로-
Jin’s nationality by examine DeokHeung-Ri Ancient tomb writing and paint
동국사학 | 52 | 2012 | 역사학
中國 河南省 南陽 麒麟崗漢墓 硏究
The Study of Han Dynasty Relief Sculpture Tomb at Qilingang, Nanyang, Henan
고구려발해연구 | 38 | 2010 | 한국고대사
中國 河南省 南陽 麒麟崗漢墓 硏究
The Study of Han Dynasty Relief Sculpture Tomb at Qilingang, Nanyang, Henan
고구려발해연구 | 38 | | 2010 | 한국고대사
扶餘의 國勢變動相認識에 關한 試論
A new consideration of changing sphere of Puyo’s national powers
고구려발해연구 | 39 | 2011 | 한국고대사
古代 安邊地域의 歷史文化에 대한 검토 - 북한지역 향토사 정리를 위한 하나의 시도 -
On the Ancient History and Culture of Anbyeon(安邊)
민족문화논총 | 48 | 2011 | 기타인문학
古代 安邊地域의 歷史文化에 대한 검토 - 북한지역 향토사 정리를 위한 하나의 시도 -
On the Ancient History and Culture of Anbyeon(安邊)
민족문화논총 | 48 | 2011 | 기타인문학
唐律에 보이는 ‘化外人’에 대하여
關於唐律中所見的‘化外人相犯(About ‘Hua wai ren(化外人, forieners)’ through the Tanglü (唐律, Tang Code)
중국사연구 | 65 | 2010 | 동양사
唐律에 보이는 ‘化外人’에 대하여
關於唐律中所見的‘化外人相犯(About ‘Hua wai ren(化外人, forieners)’ through the Tanglü (唐律, Tang Code)
중국사연구 | | 65 | 2010 | 동양사
발해성곽의 구조와 형식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structure and type of Palhae’s castles
고구려발해연구 | 42 | 2012 | 한국고대사
百濟 西海岸地域 竹幕洞祭祀遺蹟에서 發見된 倭人의 痕迹과 그 意味
Traces of Wa People found in the Chungmakdong Ritual Site of West Coast Paekche and Its Signification
선사와 고대 | 33 | 2010 | 역사학
百濟 西海岸地域 竹幕洞祭祀遺蹟에서 發見된 倭人의 痕迹과 그 意味
Traces of Wa People found in the Chungmakdong Ritual Site of West Coast Paekche and Its Signification
선사와 고대 | | 33 | 2010 | 역사학
계보위축변천과정, 왕호신구 토픽 그리고 『환단고기』 신 진위검토방법(2) -환인환국-환웅대인국-삼조선병행 계보-
The Topos called both New and Old Titles of the King and Deflation Interpretation of Dynasty’s Lineages and New Evaluative Method for HwandanGogi. -Successors of (1) Hwanin, (2) Hwanwung Giant, and (3) Gojocheon-
仙道文化 | 10 | 2011 | 기타철학일반
조선조 지식인들의 신라인식과 시적 형상화
Recognition about Silla and poetic imagery by intelligentsia in Chosun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1 | 2010 | 한문비평
조선조 지식인들의 신라인식과 시적 형상화
Recognition about Silla and poetic imagery by intelligentsia in Chosun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1 | | 2010 | 한문비평
張保皐 활동지역을 중심으로 한 고구려・백제 遺民과 신라인들의 佛事活動
以张宝皋活动地域为中心看高句丽, 百济,新罗人的佛事活动
신라사학보 | 18 | 2010 | 역사학
張保皐 활동지역을 중심으로 한 고구려・백제 遺民과 신라인들의 佛事活動
以张宝皋活动地域为中心看高句丽, 百济,新罗人的佛事活动
신라사학보 | | 18 | 2010 | 역사학
한국 고대 피리의 연원(淵源)에 관한 소고(小考) - 문헌기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Origin of Ancient Korean Piri: -On the Basis of Literature -
민족문화논총 | 45 | 2010 | 기타인문학
한국 고대 피리의 연원(淵源)에 관한 소고(小考) - 문헌기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Origin of Ancient Korean Piri: -On the Basis of Literature -
민족문화논총 | | 45 | 2010 | 기타인문학
徐熙(942~998)의 외교담판에 담긴 의미와 그 영향 - 현대 韓中關係에 가로놓인 ‘歷史論爭'의 극복과 관련하여 -
The understanding of and research into SeoHee's diplomatic negotiations.
민족문화 | 39 | 39 | 2012 | 기타인문학
中國 吉林省 集安의 東臺子 遺蹟 再檢證
Re-Verification of the Remains of Tundaeja, Jilinsung Jian, China
경주사학 | 35 | 2012 | 기타인문학
한중간 역사문제의 현황과 대응방안
The Counterplan and the Present of the Historical Problem between Korea and China
중국사연구 | 73 | 2011 | 동양사
唐律에 보이는 ‘化外人’에 대하여
關於唐律中所見的‘化外人相犯(About ‘Hua wai ren(化外人, forieners)’ through the Tanglü (唐律, Tang Code)
중국사연구 | 65 | 2010 | 동양사
唐律에 보이는 ‘化外人’에 대하여
關於唐律中所見的‘化外人相犯(About ‘Hua wai ren(化外人, forieners)’ through the Tanglü (唐律, Tang Code)
중국사연구 | | 65 | 2010 | 동양사
『翰苑』 蕃夷部의 注文構成에 대하여
Basic Study on “Hanwon” Beonibu
백제문화 | 45 | 2011 | 한국고대사
한국 고대 목간문화의 기원에 대하여
On the Origin of Wooden Tablet Culture of Ancient Korea
진단학보 | 113 | 2011 | 역사학
中國 吉林省 集安의 東臺子 遺蹟 再檢證
Re-Verification of the Remains of Tundaeja, Jilinsung Jian, China
경주사학 | 35 | 2012 | 기타인문학
한중간 역사문제의 현황과 대응방안
The Counterplan and the Present of the Historical Problem between Korea and China
중국사연구 | 73 | 2011 | 동양사
감시권역 분석을 통해본 경기북부지역 보루의 사용주체와 기능
The user and the function of forts in northern Gyeonggi-do from surveillance zone analysis
고구려발해연구 | 37 | 2010 | 한국고대사
감시권역 분석을 통해본 경기북부지역 보루의 사용주체와 기능
The user and the function of forts in northern Gyeonggi-do from surveillance zone analysis
고구려발해연구 | 37 | | 2010 | 한국고대사
재갈을 통해 본 高句麗와 前燕의 교류양상
A study on the interchange between Koguryo and Upper Yan through the bits.
역사문화연구 | 39 | 2011 | 역사학
백제 의자왕대의 정치와 對中外交 성격 검토
Diplomatic policy toward China of King Uija's Reign in Baekje
백제문화 | 1 | 47 | 2012 | 한국고대사
고대 동해안 지역의 정치적 동향과 우산국
신라문화 | 39 | 2012 | 역사학
五胡時期 北燕(407~436)의 建國과 君主權 ― 高雲ㆍ馮跋의 天王 즉위와 ‘二十三人結謀者’의 권력계층 構成을 중심으로 ―
五胡时期北燕(407—436)的建国及其君权 —以高云、冯跋“称天王”以及“二十三人结谋者”构成统治阶层为中心—
중국고중세사연구 | 25 | 2011 | 역사학
한국 고대 전통음식의 형성과 발달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Ancient Korean Traditional Food
단군학연구 | 23 | 2010 | 기타역사학
고조선・부여・고구려의 역사적 계승관계 연구
A Study on Historical Inheritance Relationships of Gojoseon, Puyeo, and Goguryo
史叢(사총) | 74 | 2011 | 기타역사일반
재갈을 통해 본 高句麗와 前燕의 교류양상
A study on the interchange between Koguryo and Upper Yan through the bits.
역사문화연구 | 39 | 2011 | 역사학
금석문 목간 자료를 활용한 국어학계의 연구동향과 과제
活用金石文、木简资料的韩国语学界的研究动向和课题
한국고대사연구 | 57 | 2010 | 한국고대사
금석문 목간 자료를 활용한 국어학계의 연구동향과 과제
活用金石文、木简资料的韩国语学界的研究动向和课题
한국고대사연구 | | 57 | 2010 | 한국고대사
고대 일본의 渡日 韓人集團에 대한 정책
Ancient Japan’s Policy toward Korean Immigrants
史叢(사총) | 73 | 2011 | 기타역사일반
Contending Perspectives on Koguryo: A Fresh Look at China’s Northeast Project
동북공정을 둘러싼 고구려 역사논쟁의 재검토
동국사학 | 50 | 2011 | 역사학
豊潤 高麗鋪村의 유래 고찰
The historical study of Fengrun(豊潤) Gaolipu cun(高麗鋪)
한국실학연구 | 20 | 2010 | 역사학
豊潤 高麗鋪村의 유래 고찰
The historical study of Fengrun(豊潤) Gaolipu cun(高麗鋪)
한국실학연구 | | 20 | 2010 | 역사학
東アジアにおける高句麗?渤海文化の特徵- 都管七國六瓣銀盒の鳥羽冠人物像を通して -
The Characteristics of Koguryo and Balhae Culture in East Asia
고구려발해연구 | 38 | 2010 | 한국고대사
東アジアにおける高句麗?渤海文化の特徵- 都管七國六瓣銀盒の鳥羽冠人物像を通して -
The Characteristics of Koguryo and Balhae Culture in East Asia
고구려발해연구 | 38 | | 2010 | 한국고대사
豊潤 高麗鋪村의 유래 고찰
The historical study of Fengrun(豊潤) Gaolipu cun(高麗鋪)
한국실학연구 | 20 | 2010 | 역사학
豊潤 高麗鋪村의 유래 고찰
The historical study of Fengrun(豊潤) Gaolipu cun(高麗鋪)
한국실학연구 | | 20 | 2010 | 역사학
魏毌丘儉紀功碑와 관련하여
魏毌丘儉紀功碑と関して
한국학논총 | 34 | 2010 | 역사이론
魏毌丘儉紀功碑와 관련하여
魏毌丘儉紀功碑と関して
한국학논총 | 34 | | 2010 | 역사이론
中國吉林省 集安東台子遺蹟再考
Re-examining the Jian Toungtaiz site of Jilin, China
한국고고학보 | 75 | 2010 | 역사학
中國吉林省 集安東台子遺蹟再考
Re-examining the Jian Toungtaiz site of Jilin, China
한국고고학보 | | 75 | 2010 | 역사학
고구려 國內城 지역의 건물유적과 都城의 공간구조
The Building sites found in the "Guk'nae-seong/國內城Capital Vestige" of Koguryo, and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apital city
한국고대사연구 | 66 | 2012 | 한국고대사
발해‘중경’의 의미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Jungkyung” of Balhae
고구려발해연구 | 37 | 2010 | 한국고대사
발해‘중경’의 의미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Jungkyung” of Balhae
고구려발해연구 | 37 | | 2010 | 한국고대사
羅濟同盟의 結成 背景과 高句麗의 對外關係
The Origin of the Silla-Packche Alliance and the Foreign Relations of Koguryo
대구사학 | 105 | 2011 | 역사학
고대 동아시아 상장미술의 표현
The expression of the old East Asian funeral art
단군학연구 | 25 | 25 | 2011 | 기타역사학
고구려 전기의 사면령
A Decree of Amnesty in the Early Years Political History of Koguryo
민족문화 | 34 | 34 | 2010 | 기타인문학
고구려 전기의 사면령
A Decree of Amnesty in the Early Years Political History of Koguryo
민족문화 | 34 | 34 | 2010 | 기타인문학
발해의 종족적 연원
The Tribal Origin of the Balhae People
동북아역사논총 | 33 | 2011 | 역사학
남한에서 확인되는 고구려의 시·공간적 정체성
A Consideration of the Koguryo’s Identity in Southern Korea
고고학 | 10 | 2 | 2011 | 역사학
高句麗 淸巖里土城 주변 출토 金銅冠의 系譜와 用途
The Genealogy and Owner of Gilt Bronze Crowns Excavated Near the Cheongam-ri Earthen Fortresses of Koguryo
동북아역사논총 | 34 | 2011 | 역사학
일제강점기 고구려 발해 유적조사와 그 의미 : 서울대학교 박물관 소장품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search of Koguryo & Balhae Sites in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고구려발해연구 | 38 | 2010 | 한국고대사
일제강점기 고구려 발해 유적조사와 그 의미 : 서울대학교 박물관 소장품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search of Koguryo & Balhae Sites in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고구려발해연구 | 38 | | 2010 | 한국고대사
발해‘중경’의 의미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Jungkyung” of Balhae
고구려발해연구 | 37 | 2010 | 한국고대사
발해‘중경’의 의미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Jungkyung” of Balhae
고구려발해연구 | 37 | | 2010 | 한국고대사
新羅 麻立干時期 對倭戰爭의 影響 -對外關係의 變化와 國防政策의 强化를 중심으로-
Influences in War with Wae(倭) at the Times of the Maripgan(麻立干) Kings of Silla(新羅) -with Special Focus on Changes in Foreign Relations and Bolstering the Military-
한국사연구 | 150 | 2010 | 역사학
新羅 麻立干時期 對倭戰爭의 影響 -對外關係의 變化와 國防政策의 强化를 중심으로-
Influences in War with Wae(倭) at the Times of the Maripgan(麻立干) Kings of Silla(新羅) -with Special Focus on Changes in Foreign Relations and Bolstering the Military-
한국사연구 | | 150 | 2010 | 역사학
용해구역 고분 발굴에서 드러난 발해국의 성격
Reviewing the excavation report on Longhai royal family tombs in Chinese Jilin Province
고구려발해연구 | 38 | 2010 | 한국고대사
용해구역 고분 발굴에서 드러난 발해국의 성격
Reviewing the excavation report on Longhai royal family tombs in Chinese Jilin Province
고구려발해연구 | 38 | | 2010 | 한국고대사
東アジアにおける高句麗?渤海文化の特徵- 都管七國六瓣銀盒の鳥羽冠人物像を通して -
The Characteristics of Koguryo and Balhae Culture in East Asia
고구려발해연구 | 38 | 2010 | 한국고대사
東アジアにおける高句麗?渤海文化の特徵- 都管七國六瓣銀盒の鳥羽冠人物像を通して -
The Characteristics of Koguryo and Balhae Culture in East Asia
고구려발해연구 | 38 | | 2010 | 한국고대사
4세기-5세기 초 高句麗와 慕容‘燕’의영역확장과 지배방식 비교
Expansion of Territories of the Koguryo/高句麗dynasty and the Murong/慕容‘Yan/燕’ in the 4th and early 5th centuries,and a Comparison made between their methods of ruling their territories
한국고대사연구 | 67 | 2012 | 한국고대사
高句麗와 新羅 미술이 공존하는 榮州 順興의 邑內里壁畵古墳과 台庄里 於宿墓
Eumnae-ri (邑內里) Mural Tomb and Taejang-ri (台庄里) Tomb of Eosuk (於宿墓) in Sunheung, Yeongju Where Goguryeo and Silla Fine Arts Co-exist
미술자료 | 79 | 2010 | 미술사
신라의 태자 책봉제 수용 과정 고찰
The Implementation of the Crown Prince Installation System(太子冊封制) in the Silla Kingdom
한국고대사연구 | 64 | 2011 | 한국고대사
발해의 종족적 연원
The Tribal Origin of the Balhae People
동북아역사논총 | 33 | 2011 | 역사학
高句麗의 太王號 제정과 國岡型 왕릉입지의 성립
The establishment of the Tae-wang'ho(太王號) titles in Koguryo and the Gukgang-type(國岡型) locations for royal mausoleums
역사문화연구 | 35 | 2010 | 역사학
高句麗의 太王號 제정과 國岡型 왕릉입지의 성립
The establishment of the Tae-wang'ho(太王號) titles in Koguryo and the Gukgang-type(國岡型) locations for royal mausoleums
역사문화연구 | | 35 | 2010 | 역사학
An Introductory Study of the “Annals of Koguryŏ” in the Samguk Sagi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 15 | 1 | 2012 | 한국어와문학
장수왕의 외교정책: 고구려 “자주외교”의 두 얼굴
Foreign Policy of King Jangsu of Goguryeo: Two faces of Goguryeo's Independent Diplomacy
국제정치논총 | 50 | 2 | 2010 | 정치외교학
장수왕의 외교정책: 고구려 “자주외교”의 두 얼굴
Foreign Policy of King Jangsu of Goguryeo: Two faces of Goguryeo's Independent Diplomacy
국제정치논총 | 50 | 2 | 2010 | 정치외교학
고구려 王號제도에 관한 몇 가지 추론
有关高句丽王号制度的几点推测
한국고대사연구 | 67 | 2012 | 한국고대사
高句麗 初期의 王位繼承原理와 古鄒加
The Royal Succession in the Early Days of Koguryo(高句麗), and the Role of Gochuga(古鄒加)
동방학지 | 150 | 2010 | 기타인문학
高句麗 初期의 王位繼承原理와 古鄒加
The Royal Succession in the Early Days of Koguryo(高句麗), and the Role of Gochuga(古鄒加)
동방학지 | | 150 | 2010 | 기타인문학
고구려의 한강유역 지배방식에 대한 검토
A Review of Goguryeo Dominance in the Han River Basin
고고학 | 9 | 1 | 2010 | 역사학
고구려의 한강유역 지배방식에 대한 검토
A Review of Goguryeo Dominance in the Han River Basin
고고학 | 9 | 1 | 2010 | 역사학
최근 한강 이남에서 발견된 고구려계 고분
A Study on the Newly Discovered Koguryo-style Tombs in the South Region of the Han River
고구려발해연구 | 36 | 2010 | 한국고대사
최근 한강 이남에서 발견된 고구려계 고분
A Study on the Newly Discovered Koguryo-style Tombs in the South Region of the Han River
고구려발해연구 | 36 | | 2010 | 한국고대사
남한 내 고구려 성곽의 구조와 성격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 of the Goguryeo fortresses in South Korea
고구려발해연구 | 36 | 2010 | 한국고대사
남한 내 고구려 성곽의 구조와 성격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 of the Goguryeo fortresses in South Korea
고구려발해연구 | 36 | | 2010 | 한국고대사
冬壽의 出自로 본 高句麗의 낙랑군지배
Goguryeo's Nakranggun(樂浪郡) Governance through the Analysis on Dong-su(冬壽)'s Background
백산학보 | 88 | 2010 | 역사학
冬壽의 出自로 본 高句麗의 낙랑군지배
Goguryeo's Nakranggun(樂浪郡) Governance through the Analysis on Dong-su(冬壽)'s Background
백산학보 | | 88 | 2010 | 역사학
高句麗 壁畵古墳의 編年에 관한 檢討
Study on chronology of Koguryo mural tombs
선사와 고대 | 33 | 2010 | 역사학
高句麗 壁畵古墳의 編年에 관한 檢討
Study on chronology of Koguryo mural tombs
선사와 고대 | | 33 | 2010 | 역사학
중국의 고구려 역사문화 관광개발의 현황과 문제점
中國的高句麗歷史文化旅游開發現狀與問題点
고구려발해연구 | 36 | 2010 | 한국고대사
중국의 고구려 역사문화 관광개발의 현황과 문제점
中國的高句麗歷史文化旅游開發現狀與問題点
고구려발해연구 | 36 | | 2010 | 한국고대사
발해 연화문 와당의 고구려 계승성 검토
A Study on the Connection between the Roof-end Tiles with Lotus Design of Balhae and Koguryo
고구려발해연구 | 36 | 2010 | 한국고대사
발해 연화문 와당의 고구려 계승성 검토
A Study on the Connection between the Roof-end Tiles with Lotus Design of Balhae and Koguryo
고구려발해연구 | 36 | | 2010 | 한국고대사
長壽王代 北燕民 刷還에 대한 一檢討
The Repatriation of the Bukyeon(北燕)'s People in the Reign of Koguryo's King Changsu(長壽王)
백산학보 | 86 | 2010 | 역사학
長壽王代 北燕民 刷還에 대한 一檢討
The Repatriation of the Bukyeon(北燕)'s People in the Reign of Koguryo's King Changsu(長壽王)
백산학보 | | 86 | 2010 | 역사학
鴨綠江 中·上流域 出土 高句麗 遺物 檢討
A Study on the Goguryeo Relics in the Middle and Upper area of the Yalu-river(鴨綠江)
단군학연구 | 22 | 2010 | 기타역사학
鴨綠江 中·上流域 出土 高句麗 遺物 檢討
A Study on the Goguryeo Relics in the Middle and Upper area of the Yalu-river(鴨綠江)
단군학연구 | 22 | | 2010 | 기타역사학
『광개토왕릉비』에 나타난 광개토왕의 왕릉관리
Maintenance of King Kwanggaeto’s royal tomb shown in the tombstone of King Kwanggaeto’s royal tomb
고구려발해연구 | 39 | 2011 | 한국고대사
고구려 광개토왕(廣開土王)의 백제 정벌(征伐)이 가진 의미에 대하여 -392년~394년을 중심으로-
The Meaning of Invading Baekje by King Gwanggaeto of Goguryo -Focusing on between 392 A.D.~394 A.D. -
대한정치학회보 | 19 | 2 | 2011 | 기타사회과학일반
5世紀 前後 國際情勢와 高句麗 平壤遷都의 배경
The international landscape of around the 5th century and the transfer of capital to Pyongyang(平壤) by Koguryo(高句麗)
한국고대사연구 | 61 | 2011 | 한국고대사
고구려 벽화의 장식 문양과 錦帳의 표현
Pictorial Representation and Function of Embroidery Curtains in Koguryo Murals
고구려발해연구 | 43 | 2012 | 한국고대사
고구려 음식의 추이와 식재료 연구
A Study on the Food Progress and Materials Of Goguryeo
한국학논총 | 38 | 2012 | 역사이론
고구려 國內城 지역의 건물유적과 都城의 공간구조
The Building sites found in the "Guk'nae-seong/國內城Capital Vestige" of Koguryo, and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apital city
한국고대사연구 | 66 | 2012 | 한국고대사
高句麗 瓦當의 毁棄와 그 象徵的 意味139
A Study of Damaged Roof-end Tiles of Goguryeo Kingdom and the Symbolic Meaning of the Damage
한국고대사연구 | 66 | 2012 | 한국고대사
4세기-5세기 초 高句麗와 慕容‘燕’의영역확장과 지배방식 비교
Expansion of Territories of the Koguryo/高句麗dynasty and the Murong/慕容‘Yan/燕’ in the 4th and early 5th centuries,and a Comparison made between their methods of ruling their territories
한국고대사연구 | 67 | 2012 | 한국고대사
고구려 광개토왕 시기 慕容鮮卑와의 관계 및 문화교류
高句麗廣開土王時期和慕容鮮卑的關係和文化交流
한국고대사연구 | 67 | 2012 | 한국고대사
廣開土大王碑에 나타난 高句麗 文化藝術 考察
The Consideration of Koguryo’s Culture and Art of Great King ‘Gwang Gae To’s Epitaph
仙道文化 | 12 | 2012 | 기타철학일반
新羅 移住 高句麗人의 歷史 編纂
Study on the History Compilation by Immigrants from Koguryŏ in Shilla
韓國史學史學報 | 25 | 2012 | 역사학
아차산 고구려 보루의 구조 및 성격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 of the Koguryo fortresses in Acha Mountain
고문화 | 79 | 2012 | 역사학
高句麗의 郵驛制와 交通路 - 國內城시기를 중심으로 -
Studies on the Koguryeo postal system and road - In Kukne Age-
한국고대사연구 | 63 | 2011 | 한국고대사
발해 인동문계 와당의 계통과 고구려 연관성 검토
The Genealogy of the roof-end tiles with honeysuckle design in Balhae and the influences of Koguryo
동아시아고대학 | 21 | 2010 | 기타인문학
발해 인동문계 와당의 계통과 고구려 연관성 검토
The Genealogy of the roof-end tiles with honeysuckle design in Balhae and the influences of Koguryo
동아시아고대학 | | 21 | 2010 | 기타인문학
고구려 始祖神話에 나타나는 ‘夫餘出自’의 의미
高句麗始祖神話所述的‘出身夫餘’之意義
동아시아고대학 | 22 | 2010 | 기타인문학
고구려 始祖神話에 나타나는 ‘夫餘出自’의 의미
高句麗始祖神話所述的‘出身夫餘’之意義
동아시아고대학 | | 22 | 2010 | 기타인문학
650년대 중반 고구려의 대외전략과 대신라공세對新羅攻勢의 배경
Foreign strategy of Koguryo in Middle 650s and background of Shilla attack
국학연구 | 17 | 2010 | 기타인문학
650년대 중반 고구려의 대외전략과 대신라공세對新羅攻勢의 배경
Foreign strategy of Koguryo in Middle 650s and background of Shilla attack
국학연구 | | 17 | 2010 | 기타인문학
거란성에 대한 초보 연구
Fundamental research on Khi Tai castle
동아시아고대학 | 26 | 2011 | 기타인문학
고구려 고분벽화에 대한 도상학적 해석과 동아시아적 성찰 (門田誠一, 2011, 『高句麗壁畵古墳と東アジア』, 思文閣出版)
An iconological interpretation of and An East Asian Introspection on Koguryeo Mural Painting
한국사연구 | 154 | 2011 | 역사학
1990년대 이후 고구려 문자자료의 출토현황과 연구동향
Written Koguryo materials newly found since the 1990s, and current studies about them
한국고대사연구 | 57 | 2010 | 한국고대사
1990년대 이후 고구려 문자자료의 출토현황과 연구동향
Written Koguryo materials newly found since the 1990s, and current studies about them
한국고대사연구 | | 57 | 2010 | 한국고대사
帶金具 副葬 高句麗 古墳의 考古學的 含意
The Archaeologⅰcal meanⅰng of the metal belt burⅰed ⅰn Koguryo Tombs
한국고대사연구 | 59 | 2010 | 한국고대사
帶金具 副葬 高句麗 古墳의 考古學的 含意
The Archaeologⅰcal meanⅰng of the metal belt burⅰed ⅰn Koguryo Tombs
한국고대사연구 | | 59 | 2010 | 한국고대사
高句麗 瓦當의 毁棄와 그 象徵的 意味139
A Study of Damaged Roof-end Tiles of Goguryeo Kingdom and the Symbolic Meaning of the Damage
한국고대사연구 | 66 | 2012 | 한국고대사
중국의 고구려 역사문화 관광개발의 현황과 문제점
中國的高句麗歷史文化旅游開發現狀與問題点
고구려발해연구 | 36 | 2010 | 한국고대사
중국의 고구려 역사문화 관광개발의 현황과 문제점
中國的高句麗歷史文化旅游開發現狀與問題点
고구려발해연구 | 36 | | 2010 | 한국고대사
廣開土王의 遼西地方 進出에 대한 고찰
Political Climate of the Liaoxi(遼西) Region and the Western Advance of Koguryo
한국고대사연구 | 67 | 2012 | 한국고대사
高句麗 平原王代 南進과 遣倭使
Declining Northern Qi and Koguryo Sent a Envoy to Wa(倭)
역사와 세계 | 41 | 2012 | 기타역사일반
高句麗初期積石墓의 出現과 形成過程
The emergence and formation process of early Goguryo stone mound tombs
고구려발해연구 | 43 | 2012 | 한국고대사
650년대 중반 고구려의 대외전략과 대신라공세對新羅攻勢의 배경
Foreign strategy of Koguryo in Middle 650s and background of Shilla attack
국학연구 | 17 | 2010 | 기타인문학
650년대 중반 고구려의 대외전략과 대신라공세對新羅攻勢의 배경
Foreign strategy of Koguryo in Middle 650s and background of Shilla attack
국학연구 | | 17 | 2010 | 기타인문학
6세기 말∼7세기 고구려 지배세력의 대외인식과 대외정책
The foreign relations realization of Koguryo governing power between the late 6th and 7th centuries
민족문화 | 37 | 37 | 2011 | 기타인문학
통구고분군 적석총의 군집양상 연구
An Inquiry into the Clustering Pattern of Stone-Mound Tombs in Tonggu Tomb Complex
고구려발해연구 | 37 | 2010 | 한국고대사
통구고분군 적석총의 군집양상 연구
An Inquiry into the Clustering Pattern of Stone-Mound Tombs in Tonggu Tomb Complex
고구려발해연구 | 37 | | 2010 | 한국고대사
廣開土王代의 南方 政策과 韓半島 諸國 및 倭의 動向
Goguryeo's policy of advance into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movement of kingdoms in it and Japan under the rule of the Great Gwanggaeto
한국고대사연구 | 67 | 2012 | 한국고대사
韓國古代瓦當의 毁棄樣相 檢討
A Study of Aspects of Intentionally Damaged Ancient Roof-end Tiles
韓國史學報 | 43 | 2011 | 역사학
고구려 광개토왕 시기 慕容鮮卑와의 관계 및 문화교류
高句麗廣開土王時期和慕容鮮卑的關係和文化交流
한국고대사연구 | 67 | 2012 | 한국고대사
百濟의 加耶 進出과 ‘泗沘會議’
The Advance of Baekje into Gaya and‘Conference of Sabi’
백제연구 | 55 | 2012 | 역사학
고구려 王號제도에 관한 몇 가지 추론
有关高句丽王号制度的几点推测
한국고대사연구 | 67 | 2012 | 한국고대사
中國學界의‘唐征高句麗論’과 歷史認識의 諸問題
Various problems in Chinese Academia’s perception of history and historical theory of Tang Dynasty to conquest Koguryeo
고구려발해연구 | 36 | 2010 | 한국고대사
中國學界의‘唐征高句麗論’과 歷史認識의 諸問題
Various problems in Chinese Academia’s perception of history and historical theory of Tang Dynasty to conquest Koguryeo
고구려발해연구 | 36 | | 2010 | 한국고대사
고구려 장안성의 성벽 축조 과정에 대한 재검토
Reexamination on the Construction Process used in the Ramparts of The Goguryeo Jangan Castle
동북아연구 | 25 | 1 | 2010 | 국제관계/협력
고구려 장안성의 성벽 축조 과정에 대한 재검토
Reexamination on the Construction Process used in the Ramparts of The Goguryeo Jangan Castle
동북아연구 | 25 | 1 | 2010 | 국제관계/협력
고구려 시대 무용총 여자무용수 복식의 재현
The Reproduction of female dancer’s Wear in Muyongchong
한국디자인포럼 | 35 | 2012 | 디자인
高句麗 초기 積石墓의 기원과 築造集團의 계통
The Origin of the Piled-stone tombs in the early days of the Koguryo dynasty, and the Nature of the faction that was responsible for constructing them
역사문화연구 | 39 | 2011 | 역사학
고구려 남도․북도와 고구려 산성의 축성
The Koguryo north and south routes and fortification of Koguryo mountain fortresses
동국사학 | 50 | 2011 | 역사학
발해 건국집단의 역사적 정체성
The Historical Identity of the Founding Peoples of the Balhae Kingdom
역사학보 | 210 | 2011 | 역사학
中國古墳繪畵의 淵源硏究-戰國時代∼漢代楚文化를 중심으로-
The Beginning of Funerary Paintings in Chinese Tombs
고구려발해연구 | 40 | 2011 | 한국고대사
4~6세기 북한강 유역 고분의 특징과 축조배경 고찰
Consideration about features and construction supports of ancient tombs around North Han River in 4~6 century
고구려발해연구 | 37 | | 2010 | 한국고대사
6세기 말∼7세기 고구려와 백제의 관계 연구 - 단계적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
The relation between Koguryo and Backje in the late 6th and 7th ceuturles
서울과 역사 | 79 | 2011 | 역사학
고구려 지배계층의 신분구성에 관한 試論 - 복식·관제 기사 검토를 중심으로-
Attempting paper about the Status composition of Koguryeo’s ruling classes
전북사학 | 39 | 2011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