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전래동요의 수집과정과장르적 전범의 형성과정-애국계몽기~1920년대 미디어 소재 텍스트를 중심으로-
The Process of Collecting Korean Traditional Children’s Songs and the Process of Forming the Genre Model —With Focus on the Texts Contained in the Media From the Patriotic Enlightenment Period to the 1920s—
반교어문연구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 전래동요의 수집과정과장르적 전범의 형성과정-애국계몽기~1920년대 미디어 소재 텍스트를 중심으로-
The Process of Collecting Korean Traditional Children’s Songs and the Process of Forming the Genre Model —With Focus on the Texts Contained in the Media From the Patriotic Enlightenment Period to the 1920s—
반교어문연구 |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1950년대 잡지 『아리랑』과 명랑소설의 ‘명랑성’ :가족서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agazine 'Arirang' and the Brightness in the Humor Novels during the 1950"s
인문학연구 |
43 |
2012 |
기타인문학
일제강점기 여수수산학교의 수산교육
Fisheries Education of the Yeosu Fisheries School under the Imperial Japanese Rule
한국도서연구 |
23 |
1 |
2011 |
지역학
근대 대중지의 ‘역사’ 수용 방식과 글쓰기 전략 - 『별건곤』을 중심으로
The Pattern of Embracing ‘History’ and the Writing Strategies of Modern Popular Magazines
한국문학논총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 대중지의 ‘역사’ 수용 방식과 글쓰기 전략 - 『별건곤』을 중심으로
The Pattern of Embracing ‘History’ and the Writing Strategies of Modern Popular Magazines
한국문학논총 |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漢唐期 大豆 가공기술의 발달과 製粉業
在漢唐期上大豆加工技術的發達和製粉業
중국사연구 |
69 |
2010 |
동양사
漢唐期 大豆 가공기술의 발달과 製粉業
在漢唐期上大豆加工技術的發達和製粉業
중국사연구 |
|
69 |
2010 |
동양사
중앙아시아 고대 암각화와 고구려 고분벽화의 주제 및 양식 비교 연구
Comparative Research between the Ancient Petroglyph in Central Asia and the Ancient Tomb Mural in Koguryo in Terms of Theme and Style
중앙아시아연구 |
15 |
2010 |
역사학
중앙아시아 고대 암각화와 고구려 고분벽화의 주제 및 양식 비교 연구
Comparative Research between the Ancient Petroglyph in Central Asia and the Ancient Tomb Mural in Koguryo in Terms of Theme and Style
중앙아시아연구 |
15 |
|
2010 |
역사학
어휘의 문법성 변화 원인을 찾아서- ‘새’[新]와 ‘새로’의 문법사를 중심으로-
On the source of grammatical property change of lexeme: the historical grammar of sae and saero.
한국어학 |
48 |
2010 |
한국어와문학
어휘의 문법성 변화 원인을 찾아서- ‘새’[新]와 ‘새로’의 문법사를 중심으로-
On the source of grammatical property change of lexeme: the historical grammar of sae and saero.
한국어학 |
48 |
|
2010 |
한국어와문학
초대 교회는 공산주의적 공동체였나? 초대 교회의 경제적 삶에 대한 연구
Was the Early Church a Communistic Community? A Research on the Economic Life of the Early Church
한국교회사학회지 |
28 |
2011 |
기독교신학
朝鮮王室 胎室石函의 現況과 樣式變遷
Taesil Sekham Styles of the Joseon Royal Family
문화재 |
43 |
3 |
2010 |
역사학
朝鮮王室 胎室石函의 現況과 樣式變遷
Taesil Sekham Styles of the Joseon Royal Family
문화재 |
43 |
3 |
2010 |
역사학
동아시아 예술 운동 내부의 ‘양식의 정치화’ 현상에 대하여 : 20세기 후반 한국 민중가요운동의 사례를 중심으로
On ‘Politicization of Style’ Phenomenon inside East Asia’s Art Movement with Cases of Late 20th Century Korean Protest Song Movement
기억과 전망 |
23 |
2010 |
사회학
동아시아 예술 운동 내부의 ‘양식의 정치화’ 현상에 대하여 : 20세기 후반 한국 민중가요운동의 사례를 중심으로
On ‘Politicization of Style’ Phenomenon inside East Asia’s Art Movement with Cases of Late 20th Century Korean Protest Song Movement
기억과 전망 |
|
23 |
2010 |
사회학
관광객 경험의 진정성과 일상성에 관한 연구
Authenticity of Tourist Experience and Everyday life
인문학논총 |
29 |
2012 |
기타인문학
근대전환기 기행체 서사와 근대소설 양식의 상관성 고찰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ravel narrative in the transition period to modern era and the type of modern novel in Korea
우리어문연구 |
43 |
2012 |
한국어와문학
北宋代 勅授告身 試論
An Essay on Chishougaoshen in Northern Song Dynasty
태동고전연구 |
26 |
2010 |
기타인문학
北宋代 勅授告身 試論
An Essay on Chishougaoshen in Northern Song Dynasty
태동고전연구 |
26 |
|
2010 |
기타인문학
시편 49편의 편집사적 이해
A Redactional Understanding of Psalm 49
Canon&Culture(캐논앤컬처) |
5 |
2 |
2011 |
서양종교
허규 연출 ‘완판 창극’의 특징과 의의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Wanpan Changgeuk’ Written by Heogyu
공연문화연구 |
1 |
20 |
2010 |
기타예술일반
허규 연출 ‘완판 창극’의 특징과 의의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Wanpan Changgeuk’ Written by Heogyu
공연문화연구 |
1 |
20 |
2010 |
기타예술일반
근대 초기 시의 양식과 감각의 상관성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Style Choice and the Sense in the Early Modern Poetry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5 |
4 |
2011 |
한국어와문학
현대 예술에서 ‘양식’ 개념의 의미와 의의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Style’ in Contemporary Arts
미학예술학연구 |
34 |
2011 |
기타예술체육
5~6世紀小加耶樣式土器設定
Establishing the Concept of ‘Sogaya type pottery’ of the 5th and 6th century
한국고고학보 |
76 |
2010 |
역사학
5~6世紀小加耶樣式土器設定
Establishing the Concept of ‘Sogaya type pottery’ of the 5th and 6th century
한국고고학보 |
|
76 |
2010 |
역사학
희곡 <웰컴 투 동막골>의 텍스트 전략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Text's Strategy Of Drama Welcome To DongmakGol
한국극예술연구 |
34 |
2011 |
예술체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