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문 일치

연구분야 : A110200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클래스 : 상태/상황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7736

STNet ID : 1000600

한자 : 言文一致

c03-01 상태/상황

e03-01 언어/문자

언어(학)구분

표준사용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Subject (주제)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한글 () [Hangeul]

S:동의

UF (비우선어)

 

 

어문 일치 [ 語文一致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언어 정책 () [ 言語政策 ]

isKindOf (상위 유형)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e03-01 언어/문자 / x03-02 비교/차이 비교/차이

일치 [ 一致 ]

R1:개념적

RT (관련어)

 

A02 기관/조직 기관/조직

어문 교육 연구 기관

RT (관련어)

 

 

어문 교육 연구 [ 語文敎育硏究 ]

RT (관련어)

 

 

어문 교육 [ 語文敎育 ]

RT (관련어)

 

 

어문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2-01 문헌명 문헌명

서유견문 () [ 西遊見聞 ]

Victor Hugo et la traduction de Ch’oe Namson - la double-traduction et la trans-formation de l’ écriture moderne du coréen

빅토르 위고와 최남선의 번역: 중역과 근대 글쓰기의 전환

통번역학연구 | 16 | 2 | 2012 | 통역번역학

1910년대 초, 한일 “실용작문”의 경계

The Topography of “Practical Composition” between Korea and Japan in Early 1910s

어문논집 | 61 | 2010 | 한국어와문학

1910년대 초, 한일 “실용작문”의 경계

The Topography of “Practical Composition” between Korea and Japan in Early 1910s

어문논집 | | 61 | 2010 | 한국어와문학

선교사들의 교육 사업 계획과 실천, 1884~1906

The Educational Projects and Practices by Protestant Missionaries in Korea, 1884~1906

교육사학연구 | 21 | 1 | 2011 | 교육사학

절대적 보편과 형상에 대한 신념 -김억의 언어 인식과 시학-

絶対的普遍性とその形象への信念: 金億の言語認識と詩学

현대문학의 연구 | 45 | 2011 | 한국어와문학

근대 유학생 잡지의 문체와 한글체 소설의 형성 과정-『여자계』를 중심으로-

The Role of Modern Korean Magazine YeoJaGae in the Formation of the Korean Narrative-Focus on Shifts in Writing Style-

현대문학의 연구 | 41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 유학생 잡지의 문체와 한글체 소설의 형성 과정-『여자계』를 중심으로-

The Role of Modern Korean Magazine YeoJaGae in the Formation of the Korean Narrative-Focus on Shifts in Writing Style-

현대문학의 연구 | | 41 | 2010 | 한국어와문학

新文化運動 시기 語文改革論의 연원 고찰 - 梁啓超를 중심으로 -

新文化運動時期語文改革論之淵源考察 - 以梁啓超爲中心 -

중국어교육과 연구 | 11 | 2010 | 중국어와문학

新文化運動 시기 語文改革論의 연원 고찰 - 梁啓超를 중심으로 -

新文化運動時期語文改革論之淵源考察 - 以梁啓超爲中心 -

중국어교육과 연구 | | 11 | 2010 | 중국어와문학

표준어의 이념과 ‘사투리’의 탄생 - 1920년대 문학에서 표준어와 방언의 문제 -

The idea of standard Language and the birth of ‘dialect'

어문학 | 117 | 2012 | 한국어와문학

근대 계몽기 언문일치의 본질과 국한문체의 유형

The Essentials of 'Unification of Written' and 'the Mixed style of writing Korean with Chinese characters' in Modern Enlightenment Period

어문학 | 114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