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문학 여성주제어 사전』의 체제와 내용 -고전소설 분야를 중심으로-
The Compilation of a Dictionary of Feminist Theme Words in Korean Literature - Focused on Classical Korean Novels-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24 |
2012 |
한국어와문학
조선시대 필기·야담류에 나타난 귀신의 세 유형과 그 역사적 변모
The Types of Guishin(鬼神) and Its Historical Transformation in the Period of Joseon Dynasty
우리어문연구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시대 필기·야담류에 나타난 귀신의 세 유형과 그 역사적 변모
The Types of Guishin(鬼神) and Its Historical Transformation in the Period of Joseon Dynasty
우리어문연구 |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식민지시대 신문 연작시조 연구
A Study on Newspaper Shijo Series from the Colonial Period
민족문화연구 |
53 |
2010 |
기타인문학
식민지시대 신문 연작시조 연구
A Study on Newspaper Shijo Series from the Colonial Period
민족문화연구 |
|
53 |
2010 |
기타인문학
하이데거의 제2시원과 게르만 정신
Der Zweite Anfang bei M. Heidegger und das Ur-Germanentum
해석학연구 |
28 |
2011 |
철학
현상학적 몸: 김춘수의 「꽃」과 이청준의 귀향
Body in Phenomenology : Chunsoo Kim's "Flower" and Chungjoon Lee's Home-Coming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현상학적 몸: 김춘수의 「꽃」과 이청준의 귀향
Body in Phenomenology : Chunsoo Kim's "Flower" and Chungjoon Lee's Home-Coming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팝아트 이후, 현대미술의 소통가능성 : 아도르노와 보드리야르의 시각에서 팝아트와 미니멀리즘에 대한 비판적 이해를 중심으로
After Pop Art, the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in Contemporary Art : based on the critical understanding of pop art and minimalism from the perspective of Adorno and Baudrillard
현대미술학 논문집 |
15 |
1 |
2011 |
예술일반
냉전의 ‘이종적 연결망’으로서 ‘평화의 댐’ 사건: 행위자-연결망 이론을 통한 경험적 추적
‘Peace Dam’ as One of the Heterogeneous Network Affairs of the Cold War: Empirical Traces through ANT
동향과 전망 |
83 |
2011 |
사회과학일반
사물지능통신에 관한 입법론적 고찰
A Legislative Study of Intelligent M2M Communication
가천법학 |
4 |
3 |
2011 |
법학
‘지리산신사’에 대한 철학적 숙고 -하이데거 사유를 중심으로-
Die philosophische Besinnung über die Jirisansinsa
범한철학 |
60 |
1 |
2011 |
철학
The Poetry of Contact: William Carlos Williams’ Quest for American Mode of Verse
영어영문학연구 |
54 |
2 |
2012 |
영어와문학
<무진기행>의 정신분석적 독해 : ‘사랑’이라는 인간의 운명적 ‘증상’
A Study of on Psychoanalysis : 'Love', as a 'Symptom' of the Human
한국현대문학연구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무진기행>의 정신분석적 독해 : ‘사랑’이라는 인간의 운명적 ‘증상’
A Study of on Psychoanalysis : 'Love', as a 'Symptom' of the Human
한국현대문학연구 |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지구촌 시대의 존재사건과 통합적 시각의 필요성
Happening of Being in the Global Age and the Need for an Integrated View
현대유럽철학연구 |
24 |
2010 |
서양철학
지구촌 시대의 존재사건과 통합적 시각의 필요성
Happening of Being in the Global Age and the Need for an Integrated View
현대유럽철학연구 |
|
24 |
2010 |
서양철학
『노자』 無名論 新探
New Understanding on the Thought of Namelessness (Muming) in the Laozi
철학연구 |
91 |
2010 |
철학
『노자』 無名論 新探
New Understanding on the Thought of Namelessness (Muming) in the Laozi
철학연구 |
|
91 |
2010 |
철학
말과 사물: 브레히트의 경우
‘verbum’ und ‘res’ bei Brecht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
27 |
2012 |
독일어와문학
정신분석학에 나타난 이미지의 구조와 의미-표상의 대표자, 이미지, 스크린, S1을 중심으로
The meaning and structure of The Image in Psychoanalysis -Focus on Vorstellungsrepräsentanz, image, screen, S1
현대정신분석 |
12 |
1 |
2010 |
기타인문학
정신분석학에 나타난 이미지의 구조와 의미-표상의 대표자, 이미지, 스크린, S1을 중심으로
The meaning and structure of The Image in Psychoanalysis -Focus on Vorstellungsrepräsentanz, image, screen, S1
현대정신분석 |
12 |
1 |
2010 |
기타인문학
한국음식문화에 나타나는 융복합성 一考
A Study on the Convergence in Korean Food Culture
동아시아고대학 |
23 |
2010 |
기타인문학
한국음식문화에 나타나는 융복합성 一考
A Study on the Convergence in Korean Food Culture
동아시아고대학 |
|
23 |
2010 |
기타인문학
후설 현상학에서 노에마와 세계존재의 문제
das Noema und das Problem der Weltexistenz in der Husserlschen Phänomenologie
철학논총 |
62 |
4 |
2010 |
철학
후설 현상학에서 노에마와 세계존재의 문제
das Noema und das Problem der Weltexistenz in der Husserlschen Phänomenologie
철학논총 |
62 |
4 |
2010 |
철학
보드리야르의 초기 저서에 관한 연구
Etude sur les premiers ouvrages de Baudrillard
프랑스 문화 연구 |
21 |
2010 |
프랑스문화학
보드리야르의 초기 저서에 관한 연구
Etude sur les premiers ouvrages de Baudrillard
프랑스 문화 연구 |
|
21 |
2010 |
프랑스문화학
보드리야르: 사물이란 무엇인가?
Baudrillard : Qu’est-ce que l’objet?
프랑스 문화 연구 |
24 |
2012 |
프랑스문화학
하이데거의 철학에서 사물(事物) 개념
M. Heidegger’s Concept of the Thing
범한철학 |
66 |
3 |
2012 |
철학
영화에서 사물의 미학 - 로베르 브레송 영화를 중심으로
The aesthetic of the object in the movie
영상문화 |
16 |
2010 |
학제간연구
영화에서 사물의 미학 - 로베르 브레송 영화를 중심으로
The aesthetic of the object in the movie
영상문화 |
|
16 |
2010 |
학제간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