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선

연구분야 : B101101 사회과학 > 지역학 > 동아시아 > 한국

클래스 : 도시/구/동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77934

STNet ID : 9008081

한자 : 旌善

x01-03 도시/구/동명

위치

강원도 (江原道)

면적_t

1219.93

인구_t

35980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2:부분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사북읍 [ 舍北邑 ]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고한읍 [ 古汗邑 ]

朝鮮時代 南漢江 實景山水畵 硏究

The Real Scenery Landscape Paintings of the Namhanggang River in the Joseon Period

온지논총 | 26 | 2010 | 기타인문학

朝鮮時代 南漢江 實景山水畵 硏究

The Real Scenery Landscape Paintings of the Namhanggang River in the Joseon Period

온지논총 | | 26 | 2010 | 기타인문학

北宋 六賢과 조선후기의 聖賢故事帖

Northen Sung Six Confucian Scholar and The Album of Sage as Historical Figures

동양고전연구 | 47 | 2012 | 기타인문학

謙齋 鄭敾과 少論系 문인들의 후원과 교류(Ⅰ)

Gyeomjae Jeong Seon and Relationship with Literati of Soron Party (Ⅰ)

온지논총 | 29 | 2011 | 기타인문학

정선(鄭敾)의 《신묘년풍악도첩(辛卯年楓嶽圖帖)》: 1711년 금강산 여행과 진경산수화의 형성

True-View of Mount Geumgang: Jeong Seon’s (1676-1759) Album of Mount Geumgang in the Autumn of the Year of Sinmyo (1711) and the Formation of his Real-Scenery Landscape Painting

미술사와 시각문화 | 11 | 2012 | 미술

겸재 정선의 화훼영모화 - 花卉翎毛에 있어 그의 位相과 쯍境

Flower and Animal Paintings of Jeong Seon(1676-1759)

미술자료 | 80 | 2011 | 미술사

정선의 그림 수요 대응 및 작화방식

Chŏng Sŏn’s Responses to Painting Commissions

동악미술사학 | 11 | 2010 | 기타예술체육

정선의 그림 수요 대응 및 작화방식

Chŏng Sŏn’s Responses to Painting Commissions

동악미술사학 | | 11 | 2010 | 기타예술체육

鄭敾의 寫意 산수화의 전통계승과 혁신

Tradition and Innovation in Jeong Seon’s Idealized Landscape Painting

미술사연구 | 25 | 2011 | 미술

왜관수도원 소장 정선《화첩》의 <행단고슬>

Haengdangoseul by Jeong Seon Collected in Waegwan monastry

미술사학보 | 35 | 2010 | 미술

왜관수도원 소장 정선《화첩》의 <행단고슬>

Haengdangoseul by Jeong Seon Collected in Waegwan monastry

미술사학보 | | 35 | 2010 | 미술

정선이 그린 정호⋅정이 고사인물화

Jeong Seon’s Narrative Paintings of JeongHo and JeongE

동방학 | 20 | 2011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