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數)

연구분야 :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79275

한자 : 數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상수 [ 象數 ]

중국 고대의 六藝 교육

Education of Liuyi (六藝) in the ancient China

윤리교육연구 | 22 | 2010 | 윤리교육학

중국 고대의 六藝 교육

Education of Liuyi (六藝) in the ancient China

윤리교육연구 | | 22 | 2010 | 윤리교육학

『洪範皇極內篇』에 나타난 蔡沈의 數本論과 그 세계관 - 宋代 象數易學의 사유지평을 중심으로

Cai Shen's Doctrine of Number Substance and Its World-view in Hong-fan-huang-ji-nei-pian - Focused upon a Horizon of Xiang-shu Changes in Song dynasty

유교사상문화연구 | 42 | 2010 | 유교학

『洪範皇極內篇』에 나타난 蔡沈의 數本論과 그 세계관 - 宋代 象數易學의 사유지평을 중심으로

Cai Shen's Doctrine of Number Substance and Its World-view in Hong-fan-huang-ji-nei-pian - Focused upon a Horizon of Xiang-shu Changes in Song dynasty

유교사상문화연구 | | 42 | 2010 | 유교학

장수왕의 외교정책: 고구려 “자주외교”의 두 얼굴

Foreign Policy of King Jangsu of Goguryeo: Two faces of Goguryeo's Independent Diplomacy

국제정치논총 | 50 | 2 | 2010 | 정치외교학

장수왕의 외교정책: 고구려 “자주외교”의 두 얼굴

Foreign Policy of King Jangsu of Goguryeo: Two faces of Goguryeo's Independent Diplomacy

국제정치논총 | 50 | 2 | 2010 | 정치외교학

『易學啓蒙』을 통해 본 易의 ‘數’개념과 수비학(numerology) -조셉 니덤의 易數이해에 대한 비판적 고찰-

‘Numeric’ of Yi(易) and Numerology

동양철학 | 33 | 2010 | 철학

『易學啓蒙』을 통해 본 易의 ‘數’개념과 수비학(numerology) -조셉 니덤의 易數이해에 대한 비판적 고찰-

‘Numeric’ of Yi(易) and Numerology

동양철학 | | 33 | 2010 | 철학

몽골에서 최근 발굴된 돌궐시대 벽화고분의 소개

Newly Excavated Mural Tomb at Shoroon Bumbagar in Mongolia

고구려발해연구 | 43 | 2012 | 한국고대사

商周시기 인칭대명사 용법의 변이양상과 유형학적 의미

The Change in the usage of personal pronouns in Shang-Zhou and its typological meaning

중국문학 | 64 | 2010 | 중국어와문학

商周시기 인칭대명사 용법의 변이양상과 유형학적 의미

The Change in the usage of personal pronouns in Shang-Zhou and its typological meaning

중국문학 | 64 | | 2010 | 중국어와문학

한국수화의 동사 유형과 수 표현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Verb Types and Number Expressions in Korean Sign Language

특수교육연구 | 17 | 1 | 2010 | 특수교육

한국수화의 동사 유형과 수 표현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Verb Types and Number Expressions in Korean Sign Language

특수교육연구 | 17 | 1 | 2010 | 특수교육

고대도시 長安城의 입지적 의미와 도시구조

The Location Characteristics and Urban Structure of Chang'an

한국도시지리학회지 | 14 | 1 | 2011 | 지리학

교육정책과 수의 지배: 신자유주의적 통치 양식으로서 수량화 비판

Governing the education policy by numbers: A critique of the quantification of education as the neo-liberal governmentality

교육사회학연구 | 22 | 1 | 2012 | 교육학

무상과 괴로움

The Impermanent and The Suffering

불교학보 | 55 | 2010 | 기타불교학

무상과 괴로움

The Impermanent and The Suffering

불교학보 | | 55 | 2010 | 기타불교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