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國 歷史敎科書上의 韓國 關聯 敍述 內容 變化에 대한 檢討 -最近 初級中學 『中國歷史』 敎科書를 中心으로-
Change of Historical Narrations on Korea in Chinese History Textbooks of China - especially in Zhongguolishi Textbooks of Junior middle School in China-
중국사연구 |
69 |
2010 |
동양사
中國 歷史敎科書上의 韓國 關聯 敍述 內容 變化에 대한 檢討 -最近 初級中學 『中國歷史』 敎科書를 中心으로-
Change of Historical Narrations on Korea in Chinese History Textbooks of China - especially in Zhongguolishi Textbooks of Junior middle School in China-
중국사연구 |
|
69 |
2010 |
동양사
『이재난고』를 통해 본 황윤석의 한국 고대사 서술 유형 분석
An Analysis of Hwang Yun-seok's Description Type about Korean Ancient History through Ijaenango
전북사학 |
40 |
2012 |
역사학
An Introductory Study of the “Annals of Koguryŏ” in the Samguk Sagi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
15 |
1 |
2012 |
한국어와문학
톰 스토파드의 『말퀴스트 경과 미스터 문』에 나타난 History / His Story를 중심으로
History and His Story in Tom Stoppard's Lord Malquist & Mr Moon
영어권문화연구 |
4 |
2 |
2011 |
기타영문학
중국에는 역사가 없는가? — 지나사, 동양사에서 중국사에 이르기까지 —
Does Our Country Have no History? ― The Historical Descriptions of the History of Shina, Oriental History and Chinese History ―
개념과 소통 |
8 |
2011 |
역사학
한나 아렌트의 방법론: 이론으로서의 ‘이야기 하기’
Hannah Arendt's Method: Storytelling as a Theory
인문연구 |
58 |
2010 |
기타인문학
한나 아렌트의 방법론: 이론으로서의 ‘이야기 하기’
Hannah Arendt's Method: Storytelling as a Theory
인문연구 |
|
58 |
2010 |
기타인문학
한국에 대한 영국의시선 -영국역사교과서내한국관련 서술을중심으로
English Perspectives on Korea -Narratives on Korea in English history textbooks
역사교육연구 |
13 |
2011 |
역사교육
노동의 서사화: 브레히트 서사극과 그 이후
Narrativierung von Arbeit in Literatur: Brechts episches Theater und danach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
23 |
2010 |
독일어와문학
역사적 서사 유형 연구 -1950년대 장편 농민소설을 중심으로-
A Study on Historic Narrative Types - Focusing 1950's Nongmin(Peasant) novels -
어문학 |
113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나 아렌트의 역사서술과 이해의 문제
Hannah Arendt's Historiography and the Question of Understanding
담론201 |
13 |
3 |
2010 |
사회학
한나 아렌트의 역사서술과 이해의 문제
Hannah Arendt's Historiography and the Question of Understanding
담론201 |
13 |
3 |
2010 |
사회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