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일본의 상징천황제와 기억의 전승
Emperor as a symbol of the unity of the people and succession of memory
일본근대학연구 |
37 |
2012 |
일본문화학
김기림 초기시의 범주와 「태양의 풍속」 이 가진 문제들 -발표작과 수록작 사이의 차이를 중심으로-
A Category of Kim Gi-rim's Early Poetry and 「The Sun's Custom」 's problems -Focusing on some differences between works released and works contained
한국학연구 |
40 |
2012 |
기타인문학
李萬敷의 『南風』에 나타난 嶺南士人의 歷史認識
A Study on the Historical Awareness of Scholars from Yeongnam Province Reflected in "Nam Pung" by Lee Man Bu
동양한문학연구 |
32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초목신화에 담긴 역사인식: A. S. 바이어트의 『소유』를 중심으로
The Sense of History in the Vegetation Myth: A. S. Byatt's Possession
현대영미소설 |
17 |
3 |
2010 |
영어와문학
초목신화에 담긴 역사인식: A. S. 바이어트의 『소유』를 중심으로
The Sense of History in the Vegetation Myth: A. S. Byatt's Possession
현대영미소설 |
17 |
3 |
2010 |
영어와문학
신석정 시의 문체 연구 -‘푸르다’와 ‘멀다’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tyle of writing in Sin Suk-jung's poetry quantative research about 'far image' and 'green image'
열린정신 인문학 연구 |
11 |
2 |
2010 |
기타인문학
신석정 시의 문체 연구 -‘푸르다’와 ‘멀다’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tyle of writing in Sin Suk-jung's poetry quantative research about 'far image' and 'green image'
열린정신 인문학 연구 |
11 |
2 |
2010 |
기타인문학
통감부의 초등학교 역사교육정책과 역사인식
Education Policy of the Japanese Residency-General in Korea and its History Education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39 |
2011 |
역사학
일본 중학교 역사교과서의 古代史像과 歷史認識 -2011년도 검정합격본을 중심으로-
The illustration of the ancienthistory and the perspective of the recognition on the historical facts in Japanese junior high school’s history textbooks
역사교육논집 |
47 |
2011 |
역사학
1763 계미통신사행과 한일 관계의 변화 탐색 -충돌과 갈등 양상을 중심으로-
The Kyemi Journey of Tongsinsa(the delegation to Japan) in 1973 and The Investigation on Changing Rel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focused on aspects of conflicts and discord-
동아시아문화연구 |
49 |
2011 |
기타인문학
한국 현대역사학의 3分科制度 형성과 역사인식·역사연구방법
A Study on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Three Divisional System and History Recognition of the Korean Modern Historical Studies
동방학지 |
149 |
2010 |
기타인문학
한국 현대역사학의 3分科制度 형성과 역사인식·역사연구방법
A Study on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Three Divisional System and History Recognition of the Korean Modern Historical Studies
동방학지 |
|
149 |
2010 |
기타인문학
‘언어문제’에서 본 한국 근대사 -교육 정책과 언어운동의 측면에서-
Modern History of Korea through the ‘Language Problems’: from the viewpoints of Education Policy and Language Movement
한국학연구 |
22 |
2010 |
기타인문학
‘언어문제’에서 본 한국 근대사 -교육 정책과 언어운동의 측면에서-
Modern History of Korea through the ‘Language Problems’: from the viewpoints of Education Policy and Language Movement
한국학연구 |
|
22 |
2010 |
기타인문학
정치의식의 탈경계 문화 충돌 -남북한 이주 갈등과 역사 인식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Trans-boundary Cultural Clashes of Political Consciousness -With a Focus on the Correlation between Migration Conflict and Historical Recognition-
한중인문학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정치의식의 탈경계 문화 충돌 -남북한 이주 갈등과 역사 인식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Trans-boundary Cultural Clashes of Political Consciousness -With a Focus on the Correlation between Migration Conflict and Historical Recognition-
한중인문학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러시아 대학의 역사학 교재와 중등학교 역사교과서에 나타난 한국전쟁 인식
The Russian View on the Korean-War in School and University History Textbooks
역사교육 |
117 |
2011 |
역사학
해방 후 본토로 돌아간 일본인의 경성 인식 - 경성 태생 요시오카 마리코(吉岡万里子)의 사례를 중심으로 -
敗戦の後日本に引揚た日本人の 「京城」 認識 - 京城で生まれた吉岡万里子の事例を中心に -
서울과 역사 |
79 |
2011 |
역사학
일제강점기 안동인의 역사저술과 역사인식
Historical Description and Perception of Andonger in Japanese colonial era
국학연구 |
20 |
2012 |
기타인문학
冠巖 洪敬謨의 歷史・地理 認識
Historic and Geographic Understanding of Kwan-Am, Hong, Kyeong-Mo
한국인물사연구 |
14 |
2010 |
역사학
冠巖 洪敬謨의 歷史・地理 認識
Historic and Geographic Understanding of Kwan-Am, Hong, Kyeong-Mo
한국인물사연구 |
|
14 |
2010 |
역사학
역사교육 개념어의 용례 검토 - 역사적 사고, 역사해석, 역사인식, 역사의식 -
An Investigation on Used Examples of History Education Terminology - Historical Thinking, Historical Interpretation, Historical Cognition and Historical Consciousness -
역사교육 |
113 |
2010 |
역사학
역사교육 개념어의 용례 검토 - 역사적 사고, 역사해석, 역사인식, 역사의식 -
An Investigation on Used Examples of History Education Terminology - Historical Thinking, Historical Interpretation, Historical Cognition and Historical Consciousness -
역사교육 |
|
113 |
2010 |
역사학
‘망각’에서 ‘성찰’ 그리고 ‘마주 보기’로 - 공동역사교재의 제작을 중심으로 ㅡ
「忘却」から「省察」, そして「向かい合い」- 歴史共同教材の作成を中心に -
역사교육 |
116 |
2010 |
역사학
‘망각’에서 ‘성찰’ 그리고 ‘마주 보기’로 - 공동역사교재의 제작을 중심으로 ㅡ
「忘却」から「省察」, そして「向かい合い」- 歴史共同教材の作成を中心に -
역사교육 |
|
116 |
2010 |
역사학
최인훈 <춘향뎐>의 패러디 담론과 역사 인식
Parodied Discourse of by In-hoon Choi and His Historical Perspective
한국문학논총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최인훈 <춘향뎐>의 패러디 담론과 역사 인식
Parodied Discourse of by In-hoon Choi and His Historical Perspective
한국문학논총 |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천황제 인식논리와 역사인식의 현재 ―기억의 공동체로서의 천황제인식―
A Study on the paradigm of “Kindai-Tennousei” and the situation of history recognition
일본근대학연구 |
30 |
2010 |
일본문화학
근대천황제 인식논리와 역사인식의 현재 ―기억의 공동체로서의 천황제인식―
A Study on the paradigm of “Kindai-Tennousei” and the situation of history recognition
일본근대학연구 |
|
30 |
2010 |
일본문화학
김춘수 초기 시의 역사 인식 문제
Kim Chun-Soo’s Early Poems and Their Historical Awareness
민족문학사연구 |
45 |
2011 |
한국어와문학
일본 문학의 ‘번역’에서 보이는 역사인식 고찰 ― 역사소설『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중심으로―
Study on Korean Historical Perception towards Japanese Literature: An analysis of the novel ‘Tokugawa Ieyasu’
아시아문화연구 |
18 |
2010 |
기타인문학
일본 문학의 ‘번역’에서 보이는 역사인식 고찰 ― 역사소설『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중심으로―
Study on Korean Historical Perception towards Japanese Literature: An analysis of the novel ‘Tokugawa Ieyasu’
아시아문화연구 |
18 |
|
2010 |
기타인문학
일본의 '전후처리'와 식민지 문제
日本の 「戰後處理」 と植民地問題
한일관계사연구 |
36 |
2010 |
역사학
일본의 '전후처리'와 식민지 문제
日本の 「戰後處理」 と植民地問題
한일관계사연구 |
|
36 |
2010 |
역사학
『매천야록』에 나타난 황현의 역사인식
Hwang Hyun's Historical View Suggested in Maecheonyarok
한국근현대사연구 |
55 |
2010 |
역사학
『매천야록』에 나타난 황현의 역사인식
Hwang Hyun's Historical View Suggested in Maecheonyarok
한국근현대사연구 |
|
55 |
2010 |
역사학
儒學의 양면적 歷史認識
Ambivalent Recognition of History in Confucianism
동양문화연구 |
7 |
2011 |
기타인문학
식민지 근대화 논쟁과 역사교육의 방안
Controversy over Colonial Modernization and Plans for History Education
역사교육연구 |
12 |
2010 |
역사교육
식민지 근대화 논쟁과 역사교육의 방안
Controversy over Colonial Modernization and Plans for History Education
역사교육연구 |
|
12 |
2010 |
역사교육
중국의 지도부 교체와 동아시아 영토. 역사 문제
China’s Leadership Change and Territory and History Problems in East Asia
중소연구 |
36 |
2 |
2012 |
사회과학
이명박 정부의 역사인식과 역사교육정책
Lee Myung Park Government’s Historical Awareness and Policies on History Education
역사비평 |
96 |
2011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