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계성

연구분야 : B120000 사회과학 > 교육학

클래스 : 기질/품질/형질/성향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006

한자 : 連繫性
영어 : articulation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LT:참조용어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d01-02 원칙/법칙 원칙/법칙

계열성 () [ 系列性 ]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d01-02 원칙/법칙 원칙/법칙

계속성 [ 繼續性 ]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d03-02 분석방법 분석방법

연계성 분석 [ 連繫性分析 ]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연계 교육 () [ 連繫敎育 ]

개정 교육과정 ‘문법’ 영역의 7학년 교과서 구현 양상 연구

A study on the aspect of 7th grade Korean Textbook published by the 7th Korean education curriculum(revised version) of the grammar domain

국제언어문학 | 21 | 2010 | 기타동양어문학

개정 교육과정 ‘문법’ 영역의 7학년 교과서 구현 양상 연구

A study on the aspect of 7th grade Korean Textbook published by the 7th Korean education curriculum(revised version) of the grammar domain

국제언어문학 | | 21 | 2010 | 기타동양어문학

3⋅4세 유치원교육과정, 5세 누리과정, 초등 1학년 교육과정 언어교육내용의 연계성 분석

Analysis on the Continuity and Sequence of the Educational Contents in the National Language Curricula for Young Children

유아교육학논집 | 16 | 4 | 2012 | 교육학

중국 신재생에너지법제의 현황과 문제점

The current State and Problems of Legislation on New Renewable Energy in China

중앙법학 | 13 | 2 | 2011 | 법학

중등학교 문법 학습 내용의 연계성 연구 -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equence of Korean grammar's Learning Contents in Secondary School - Focused on Revision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우리말연구 | 27 | 2010 | 한국어와문학

중등학교 문법 학습 내용의 연계성 연구 -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equence of Korean grammar's Learning Contents in Secondary School - Focused on Revision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우리말연구 | | 27 | 2010 | 한국어와문학

수학 내적 연결성에 관한 형식적 측면 연구

A Study on the Tactical Aspect of Mathematical Internal Connections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15 | 3 | 2012 | 교육학

2009 개정 교육과정상 법 관련 내용의 연계성 분석

An Analysis on the Connection of Law-related Contents in 2009 Revised Curriculum

법교육연구 | 6 | 2 | 2011 | 기타교육학

기본 교육과정 실과와 초등학교 실과 교과의 구성 체제 및 교육내용의 연계성 분석

Analysis on the Relation between the Framework and Contents of Practical Arts of Basic Curriculum and of Practical Arts of the Elementary School

특수교육학연구 | 45 | 1 | 2010 | 교육학

기본 교육과정 실과와 초등학교 실과 교과의 구성 체제 및 교육내용의 연계성 분석

Analysis on the Relation between the Framework and Contents of Practical Arts of Basic Curriculum and of Practical Arts of the Elementary School

특수교육학연구 | 45 | 1 | 2010 | 교육학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중학교『한문 1 』교과서의 본문 삽화 오류 분석

Analysis of Illustration Errors in Middle School Sino-Korean I Textbooks under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漢文敎育硏究 | 36 | 2011 | 한국어와문학

국어과 교육과정의 통합성 연구

A Study on Integration of Korean Language Arts Curriculum

새국어교육 | 85 | 2010 | 국어교육

국어과 교육과정의 통합성 연구

A Study on Integration of Korean Language Arts Curriculum

새국어교육 | | 85 | 2010 | 국어교육

‘읽기·토론·쓰기’ 통합 교육의 효율성 제고 - 『명저읽기와 글쓰기』 강좌를 통해서 -

The Plans of Heightening Efficiency of Integrative Education of ‘Reading·Discussion·Writing’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59 | 2011 | 한국어와문학

2007 개정 초등 사회과 교과서 경제 단원 내용 구성의 적합성 - 교육과정과의 연계성 분석을 중심으로 -

The Analysis of Connectedness between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the Contents of Economics-related Units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경제교육연구 | 18 | 1 | 2011 | 경제교육

음운, 발음, 표기 교육의 연계 연구

A Study on the Linkage Plan in Phonological, Pronouncing, Orthographic Educations

어문학 | 108 | 2010 | 한국어와문학

음운, 발음, 표기 교육의 연계 연구

A Study on the Linkage Plan in Phonological, Pronouncing, Orthographic Educations

어문학 | | 108 | 2010 | 한국어와문학

‘2007年 改定 漢文科 敎育課程’에 따른 高等學校 '漢文Ⅱ'의 散文 敎育 方向에관한 一考

The Studying of Teaching Classical Chinese Prose on ≪HanmunⅡ≫ according to ‘The New Curriculum for Classical Chinese Class in 2007’

漢字漢文敎育 | 1 | 26 | 2011 | 한문교육

2009 개정 영어과 선택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On the proficiency standards for the elective courses in the 2009 Revised National English Curriculum

중등영어교육 | 5 | 2 | 2012 | 영어교육학

어머니와 교사의 유아기의 발달에 대한 기대와 교육목표에 대한 인식

The Mothers' and Teachers' Expectation of Developmental Tasks and Perception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oals

미래유아교육학회지 | 18 | 1 | 2011 | 교육학

2009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내용 적정화 연구 - 7∼10학년 일반사회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levance of Contents in General Social Studies at Secondary Level

중등교육연구 | 59 | 2 | 2011 | 교육학

초등 저학년 통합 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 -‘사회생활’ 영역을 중심으로-

A Critical Review on the Integrated Curriculum for Lower Grades in Elementary School -Focusing on 'Social Life' Area-

시민교육연구 | 44 | 3 | 2012 | 교육학

중등학교 ‘말하기’ 교육의 내용 체계 연구 -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ntents System of the Speaking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

석당논총 | 48 | 2010 | 기타인문학

중등학교 ‘말하기’ 교육의 내용 체계 연구 -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ntents System of the Speaking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

석당논총 | | 48 | 2010 | 기타인문학

대중교통 네트워크의 연계성 평가모형

A Model for Evaluating Connectivity in Transit Networks

교통연구 | 17 | 1 | 2010 |

대중교통 네트워크의 연계성 평가모형

A Model for Evaluating Connectivity in Transit Networks

교통연구 | 17 | 1 | 2010 |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실과(기술·가정) 교과의 초·중·고등학교 학년 간 연계성 분석 -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을 중심으로 -

nalysis on Articulations of the domain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in the subject of Practical Arts(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24 | 1 | 2012 | 교육학

2008년 개정 특수학교 기본 교육과정 초등실과 교과서와 중등직업 교과서의 연계성 분석

A Connection Analysis on the 'Practical Arts' contents in elementary school and 'Vocation Education' contents in secondary school to Revised Basic Curriculum for Special School in 2008

한국실과교육학회지 | 23 | 1 | 2010 | 교육학

2008년 개정 특수학교 기본 교육과정 초등실과 교과서와 중등직업 교과서의 연계성 분석

A Connection Analysis on the 'Practical Arts' contents in elementary school and 'Vocation Education' contents in secondary school to Revised Basic Curriculum for Special School in 2008

한국실과교육학회지 | 23 | 1 | 2010 | 교육학

Coh-Metrix를 이용한 중학교 1학년과 2학년 개정 영어교과서 읽기 자료의 코퍼스 언어학적 연계성 분석

A Corpus-based Analysis of the Continuity of the Reading Materials in Middle School English 1 and 2 Textbooks with Coh-Metrix.

언어과학연구 | 56 | 2011 | 언어학

초등 실과와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의 연계성을 고려한 초등 실과 기술 영역의 내용 선정과 조직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the Contents of Technology Part of Practical Arts in Elementary School for Consideration of Articulation with Technology・Home Economic Subject in Middle School

한국실과교육학회지 | 23 | 2 | 2010 | 교육학

초등 실과와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의 연계성을 고려한 초등 실과 기술 영역의 내용 선정과 조직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the Contents of Technology Part of Practical Arts in Elementary School for Consideration of Articulation with Technology・Home Economic Subject in Middle School

한국실과교육학회지 | 23 | 2 | 2010 | 교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