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대성

연구분야 : A030103 인문학 > 철학 > 철학일반 > 윤리학

클래스 : 개념(정의)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047

한자 : 連帶性
독일어 : Solidarität

d01-04 개념(정의)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c02-01 감정 감정

연대감 () [ 連帶感 ]

RT (관련어)

 

 

정치적 연대 () [ 政治的連帶 ]

민주적 법치국가에서 시민운동으로서 기독교 사회참여

Christian Social Participation as Civil Movement in Democratic State Governed by the Rule of Law

법학논총 | 24 | 2 | 2011 | 기타법학

뇌사판정과 장기이식의 윤리적 문제

The Ethical Problems on Defining Brain Death and Organ Transplantation

철학논총 | 69 | 4 | 2012 | 철학

집단책임사상의 기원과 그 현대적 변용-고대 근동의 집단책임사상과 현대 집단(법인)책임이론의 비교-

The Origin of Collective Guil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iginal Thought and Modern Corporate Criminal Liability Theory

법학연구 | 31 | 2010 | 법학교육

집단책임사상의 기원과 그 현대적 변용-고대 근동의 집단책임사상과 현대 집단(법인)책임이론의 비교-

The Origin of Collective Guil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iginal Thought and Modern Corporate Criminal Liability Theory

법학연구 | 31 | | 2010 | 법학교육

자살의 윤리적 문제

The Sucide As a Christian Ethical Issue

기독교사회윤리 | 21 | 2011 | 기독교신학

생명문화지수, 누구에게 무엇을 말할 것인가? : 측정에서 과제로

The Life Culture Index, To Whom and For What? : From Measurement to a Task

생명연구 | 18 | 2010 | 서양철학

생명문화지수, 누구에게 무엇을 말할 것인가? : 측정에서 과제로

The Life Culture Index, To Whom and For What? : From Measurement to a Task

생명연구 | 18 | | 2010 | 서양철학

자율성의 운명과 우리의 현실 - 서구 자율성 이론과 연계하여 -

The Fate of Autonomy and Our Reality - in connection with Western autonomy theory

사회와 철학 | 19 | 2010 | 철학일반

자율성의 운명과 우리의 현실 - 서구 자율성 이론과 연계하여 -

The Fate of Autonomy and Our Reality - in connection with Western autonomy theory

사회와 철학 | | 19 | 2010 | 철학일반

생명의 생태학적 의미에 대한 연구 - 니체와 쉬바이처를 중심으로

Die oekologische Bedeutung des Lebens bei F. Nietzsche und A. Schweitzer

범한철학 | 56 | 1 | 2010 | 철학

생명의 생태학적 의미에 대한 연구 - 니체와 쉬바이처를 중심으로

Die oekologische Bedeutung des Lebens bei F. Nietzsche und A. Schweitzer

범한철학 | 56 | 1 | 2010 | 철학

용산참사 되짚기: 가톨릭 사회 교리의 연대성과 보조성에서 본 한국의 도시재개발

Rethinking the Yongsan Disaster:South Korea’s Urban Redevelopment from the Perspective of Solidarity and Subsidiarity in Catholic Social Teaching

신학전망 | 173 | 2011 | 기타가톨릭신학

공공 영역과 '시민됨'의 문화적 조건

Cultural Conditions of Public Space and 'Citizenship'

사회이론 | 37 | 2010 | 사회학

공공 영역과 '시민됨'의 문화적 조건

Cultural Conditions of Public Space and 'Citizenship'

사회이론 | | 37 | 2010 | 사회학

다양성, 동감, 연대성

Pluralistic Society, Sympathy, Solidarity

사회사상과 문화 | 25 | 2012 | 사회학

바디아트에 표현된 에코디자인(Eco-Design)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co-Design expressed in Body Art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 11 | 1 | 2010 | 미용

바디아트에 표현된 에코디자인(Eco-Design)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co-Design expressed in Body Art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 11 | 1 | 2010 | 미용

현대 실천철학에서 칸트 공통감 이론의 중요성 - 자율성과 연대성을 중심으로 -

The Importance of Kant's ‘Sensus Communis’ in the Contemporary Practical Philosophy : Focused on the Relation between Autonomy and Solidarity

철학연구 | 123 | 2012 | 철학

로티의 우연적 진리관과 철학관 비판

A Critique of Rorty’s Contingent View of Truth and Philosophy

철학사상 | 44 | 2012 | 철학

대사(Indulgentia)에 관한 교회법적 규범

Canonical Norms on Indulgence

신학전망 | 173 | 2011 | 기타가톨릭신학

시민사회와 사회정의의 맥락에서 본 연대성의 위기와 그 극복 - 뒤르깽, 하버마스, 롤즈 그리고 왈쩌의 입장을 중심으로 -

The Crisis of Solidarity and its Overcome in Context of Civil Society and Social Justice - in the View of E. Durkheim, J. Habermas, J. Rawls and M. Walzer -

사회보장연구 | 27 | 4 | 2011 | 사회복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