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영화의 존재론 : 임화(林和)의 「조선영화론(1941)」을 중심으로
An Ontology of Chosun Cinema: on Im Hwa's "On Chosun Cinema (1941)"
상허학보 |
33 |
2011 |
한국어와문학
조선영화의 존재론 : 임화(林和)의 「조선영화론(1941)」을 중심으로
An Ontology of Chosun Cinema: on Im Hwa's "On Chosun Cinema (1941)"
상허학보 |
33 |
2011 |
한국어와문학
연쇄극의 정체성 논의 -총체예술론적 관점에서-
A Study On The Identity Of Yeonsegeuk(Kino-Drama)
공연문화연구 |
25 |
2012 |
기타예술일반
한국 영화 기술 발달에 관한 연구 ― 해방 전 시기를 중심으로 ―
South Kore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ilm technology - Focusing on when the liberation ago
한국사상과 문화 |
53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 영화 기술 발달에 관한 연구 ― 해방 전 시기를 중심으로 ―
South Kore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ilm technology - Focusing on when the liberation ago
한국사상과 문화 |
|
53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 영화의 ‘풍경의 발견’: 연쇄극과 공간의 전유
Discovering the Landscape in Early Korean Cinema: Yeonsoekuk(連鎖劇) and Appreciation of Space
동방학지 |
158 |
2012 |
기타인문학
조선 영화의 ‘풍경의 발견’: 연쇄극과 공간의 전유
Discovering the Landscape in Early Korean Cinema: Yeonsoekuk(連鎖劇) and Appreciation of Space
동방학지 |
158 |
2012 |
기타인문학
연극과 영상의 혼종적 텍스트, 연쇄극의 형식
The Hybrid text of Play and Image, a Form of Kinodrama
겨레어문학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연극과 영상의 혼종적 텍스트, 연쇄극의 형식
The Hybrid text of Play and Image, a Form of Kinodrama
겨레어문학 |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