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습

연구분야 : B120100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학일반

클래스 : 행위/활동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082

한자 : 演習
영어 : practice

b01-01 행위/활동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isConceptOf (개념(전체))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R] 연습 형태 () [ 練習形態 ]

isPurposeOf (목적의 대상)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연습장 () [ 演習場 ]

예비 한국어 교사의 학습지도안 구성에 대한 연구

Research on Prospective Korean Teachers’ Lesson Plan

국어국문학 | 154 | 2010 | 한국어와문학

예비 한국어 교사의 학습지도안 구성에 대한 연구

Research on Prospective Korean Teachers’ Lesson Plan

국어국문학 | | 154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관형사형 어미의 형태적 오류와 교육 방안―‘-(으)ㄹ 때/-었을 때’를 중심으로―

The Error of the Ending Prenoun Form and the Education Device

한글 | 287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관형사형 어미의 형태적 오류와 교육 방안―‘-(으)ㄹ 때/-었을 때’를 중심으로―

The Error of the Ending Prenoun Form and the Education Device

한글 | | 287 | 2010 | 한국어와문학

포괄적 안보위협 대비 다국적 연습 및 실험의 활용성 제고

The Utilization of Multinational Exercise and Experimentation Against Comprehensive Security Threats

국가전략 | 18 | 1 | 2012 | 정치외교학

기악 연주기술 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 및 교육적 적용을 위한 탐색 : 관련 연구의 문헌적 고찰에 근거하여

The Factors Influencing the Development of Instrumentalists’ Musical Performance Skills and a Search for Educational Implications: Based on Related Literature Review

교사교육연구 | 50 | 3 | 2011 | 교사교육

日帝强占期 普通學校 『朝鮮語及漢文讀本』의 性格 - 第一次 敎育令期 四學年 敎科書의 ‘練習’을 中心으로 -

Feature of 『Chosun-uh-gup-Hanmun-Dokbon』, Governmental Elementary School Textbook at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Focusing on Exercises of the Textbook for 4th Grade at 1st Educational Law Periods -

어문연구(語文硏究) | 39 | 2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