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어

연구분야 : A110105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어학 > 어휘론(국어학)

클래스 :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088

한자 : 連語
영어 : collocation
독일어 : Kollokation
기타 : コロケーション
기타 : 콜로케이션
영어 : Collocations

e03-01 언어/문자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e03-01 언어/문자 / x03-06-01 통합/결합/제휴 통합/결합/제휴

결합 관계 [ 結合關係 ]

N1:종류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어휘적 연어 () [ 語彙的連語 ]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다국어 연어 [ 多國語連語 ]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연어핵 [ 連語核 ]

R1:개념적

isCausedBy (원인)

 

d03-02 분석방법 분석방법

코퍼스 분석 () [ --分析 ]

강조를 위한 부사 사용에 대한 비교 분석: 현대 한 ․ 중 코퍼스를 대상으로

A Contrastive Corpus-based analysis of Intensifiers: Semantic prosody in Korean and Chinese

언어와언어학 | 55 | 2012 | 언어학

말뭉치에 나타난 부사 ‘더’와 ‘덜’의 의미 연구

A Corpus-based Approach to Antonymous Relations of Korean degree adverb the(‘more’) and thel(‘less’)

한국어 의미학 | 34 | 2011 | 한국어와문학

공기 명사에 기초한 의미/개념 연관성의 네트워크 구성

Constructing Networks of Related Concepts Based on Co-occurring Nouns

한국어 의미학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공기 명사에 기초한 의미/개념 연관성의 네트워크 구성

Constructing Networks of Related Concepts Based on Co-occurring Nouns

한국어 의미학 | 32 | | 2010 | 한국어와문학

전문어 학습사전의 구조와 특징에 관한 연구 - 『프랑스 경영용어 학습사전(DAFA)』을 중심으로

Etudes sur la structure et les caractéristiques du dictionnaire d'apprentissage du français langue spécialisée(FLS) - Autour du Dictionnaire d'apprentissage du français des affaires

불어불문학연구 | 84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전문어 학습사전의 구조와 특징에 관한 연구 - 『프랑스 경영용어 학습사전(DAFA)』을 중심으로

Etudes sur la structure et les caractéristiques du dictionnaire d'apprentissage du français langue spécialisée(FLS) - Autour du Dictionnaire d'apprentissage du français des affaires

불어불문학연구 | | 84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사전 메타 용어 선정을 위한 연구-‘꼴’, ‘따위’의 의미를 중심으로-

Study for selecting meta words in dictionaries-focus on the meaning of ‘kkol’ and ‘ttawi’-

한국어 의미학 | 35 | 2011 | 한국어와문학

영어 유의어 형용사 연어에 대한 고등학생의 이해에 관한 연구

A Study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Collocation Knowledge of English Synonymous Adjectives

언어과학 | 17 | 3 | 2010 | 언어학

영어 유의어 형용사 연어에 대한 고등학생의 이해에 관한 연구

A Study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Collocation Knowledge of English Synonymous Adjectives

언어과학 | 17 | 3 | 2010 | 언어학

관련어 네트워크를 활용한 유의어 분석* - ‘책, 서적, 도서’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synonyms using related word network: ‘chaek’, ‘seojeok’ and ‘doseo'

한국어 의미학 | 37 | 2012 | 한국어와문학

EFL 학습자의 어휘학습 전략과 연어 능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and Collocational Competence among Korean EFL Learners

코기토 | 69 | 2011 | 기타인문학

외국어교육에서 어휘다발 분석을 위한어구색인 프로그램의 소개와 비교

Review of concordance programs for analyzing lexical bundles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Foreign Languages Education | 19 | 1 | 2012 | 언어학

한국어 교육에서의 연어 교육 양상 연구 -연세대 교재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Pattern of Korean Collocation of Korean Teaching

언어학 연구 | 16 | 2010 | 기타언어학

DaF 수업의 코퍼스 언어학적 접근방안에 대한 고찰

Korpuslinguistische Ansätze im DaF-Unterricht

독일언어문학 | 52 | 2011 | 독일어와문학

의존명사 ‘것’의 연어 관계에 대한 고찰 ― 문법교육 교수 모형을 위하여

A Study on the Collocation of the Bound Noun ‘keos’

한국언어문화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의존명사 ‘것’의 연어 관계에 대한 고찰 ― 문법교육 교수 모형을 위하여

A Study on the Collocation of the Bound Noun ‘keos’

한국언어문화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The Use of Verbs in Spoken Corpus of EFL Learners

EFL 학습자의 구어 코퍼스에서의 동사의 사용

영어영문학 | 17 | 2 | 2012 | 영어와문학

영어 아동영화의 코퍼스 기반 초등영어 어휘 및 연어 분석과 자료집 개발

An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English vocabulary and collocations based on the corpus from the children movies in English and the development of a practical source book

초등영어교육 | 18 | 1 | 2012 | 영어교육

연어 사용에 대한 표본 모형적 접근

Rethinking Collocational Use of Non-Native Speakers of English: From the Perspective of Exemplar Model

외국학연구 | 14 | 2 | 2010 | 기타인문학

연어 사용에 대한 표본 모형적 접근

Rethinking Collocational Use of Non-Native Speakers of English: From the Perspective of Exemplar Model

외국학연구 | 14 | 2 | 2010 | 기타인문학

The Communicative Method and B Language Acquisition: Problems and Solutions

소통적 접근방법과 B언어 습득 ―문제와 해결책

통번역학연구 | 14 | 2 | 2011 | 통역번역학

한국어 교육을 위한 정형표현 찾기: 잦은 명사 결합을 중심으로

응용언어학 | 27 | 2 | 2011 | 언어학

Effective Free-Talking Methods in a Korean University Setting

현대영어교육 | 12 | 4 | 2011 | 영어교육

연어를 이용한 편의식품 포장디자인 개발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Package Design for Convenience foods of Salmon

조형미디어학 | 15 | 2 | 2012 | 기타미술

프랑스어 서술명사 «colère»와 한국어의 대응어 구문

Les constructions du substantif prédicatif «colère» et leurs constructions équivalentes en coréen

프랑스문화예술연구 | 36 | 2011 | 프랑스문화학

A Corpus-based Approach to Scalar Approximators

수량근접사에 대한 코퍼스적 접근

외국어교육연구 | 25 | 2 | 2011 | 외국어교육학

A Corpus-based Analysis of bear, stand, endure, and tolerate

언어학 연구 | 20 | 2011 | 기타언어학

일본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어휘적 연어 학습 방안

이중언어학 | 44 | 2010 | 언어학

일본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어휘적 연어 학습 방안

이중언어학 | | 44 | 2010 | 언어학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학습자용 사전 분석 - 연어를 중심으로

Analyse von Lernerwörterbüchern Deutsch als Fremdsprache im Hinblick auf Kollokationen

독어독문학 | 53 | 1 | 2012 | 독일어와문학

Korean Language Learners' Collocational Word Association and Its Implication for Classroom Teaching

한국어 학습자들의 연어 연상 패턴과 연어 학습 활동 개발 방안 연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 35 | 2010 | 한국어와문학

Korean Language Learners' Collocational Word Association and Its Implication for Classroom Teaching

한국어 학습자들의 연어 연상 패턴과 연어 학습 활동 개발 방안 연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 35 |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어 어미적 연어의 필요성과 목록 선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ecessity of Korean ending-like collocation and the selection of its inventory

한국언어문화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어 어미적 연어의 필요성과 목록 선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ecessity of Korean ending-like collocation and the selection of its inventory

한국언어문화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finish 와 end의 의미와 연어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Verbs finish and end and their Collocations

현대문법연구 | 62 | 2010 | 영어와문학

finish 와 end의 의미와 연어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Verbs finish and end and their Collocations

현대문법연구 | | 62 | 2010 | 영어와문학

대학수학능력시험 외국어영역에 나타난 Make, Get, Take의 코퍼스 기반 연어 분석

A corpus based study of Make, Get, and Take collocations on the Korean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of English

인문학연구 | 38 | 4 | 2011 | 기타인문학

명시적․암시적 연어 지도가 학습자들의 수용적․표현적 연어 지식 습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xplicit and Implicit Collocation Instruction on Learners’ Acquisition of Receptive and Productive Collocation Knowledge

영어영문학연구 | 52 | 1 | 2010 | 영어와문학

명시적․암시적 연어 지도가 학습자들의 수용적․표현적 연어 지식 습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xplicit and Implicit Collocation Instruction on Learners’ Acquisition of Receptive and Productive Collocation Knowledge

영어영문학연구 | 52 | 1 | 2010 | 영어와문학

한국어 연어 연구의 전개와 쟁점에 대하여

On the Development and Issues of Korean Collocation Studies

國語學 | 61 | 2011 | 한국어와문학

어휘적 결합 표현의 유형 연구

A Study on Expression Category through a Construction of Lexical Collocations

문법 교육 | 14 | 2011 | 국어교육

한국 대학생의 영어 연어능력에 관한 연구: 형용사 유의어를 중심으로

현대문법연구 | 62 | 2010 | 영어와문학

한국 대학생의 영어 연어능력에 관한 연구: 형용사 유의어를 중심으로

현대문법연구 | | 62 | 2010 | 영어와문학

용언형 연어의 문법범주

The grammatical categories of verbal collocations in Korean.

한국어학 | 49 | 2010 | 한국어와문학

용언형 연어의 문법범주

The grammatical categories of verbal collocations in Korean.

한국어학 | 49 |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