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금

연구분야 : G020301 예술체육 > 음악학 > 음악사학 > 한국음악사

클래스 : 도구/수단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1177

한자 : 大笒

a04-06 도구/수단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a04-06 도구/수단 도구/수단

삼죽 () [ 三竹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a04-06 도구/수단 도구/수단

관악기 () [ 管樂器 ]

R1:개념적

isCausedBy (원인)

 

d02-03 경제경영제도 경제경영제도

청산 거래 [ 淸算去來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김성진 () [ 金星振 ]

R2:기능적

isMethodOf (방법/기법의 대상)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대금 산조 [ 大笒 散調 ]

isMethodOf (방법/기법의 대상)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대금 정악 () [ 大笒正樂 ]

CLT:참조용어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d02-03 경제경영제도 경제경영제도

물품 대금 [ 物品代金 ]

조선 초기 향악용 악기의 종류 고찰(1)

Review on the Classification of Hyangak Instrument of the Early Chosŏn Period(1)

한국음악사학보 | 45 | 2010 | 음악학

조선 초기 향악용 악기의 종류 고찰(1)

Review on the Classification of Hyangak Instrument of the Early Chosŏn Period(1)

한국음악사학보 | | 45 | 2010 | 음악학

녹성 김성진의 대금 선율 분석 연구 - 가곡 중 우조 초수대엽, 우조 이수대엽, 언락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Melodies of Daegum Performed by Nogseong Kim Seong-jin, Part V - With the Focus on ‘Chosudaeyop in U-key’, ‘Isudaeyop in U-key’ and ‘Onrak’ of Korean Traditional Authentic Songs -

한국음악연구 | 49 | 2011 | 음악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