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중

연구분야 : A000000 인문학

클래스 : 인간(역할)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1209

한자 : 聽衆

a01-06-03 인간(역할)

성별

[성별구분없음]

연령

[연령구분없음]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플라톤 대화편에 나타난 문답법의 윤리적 의미와 ‘감정’의 문제

Die ethische Bedeutung der Dialektik und das Problem des Gefühls in Platonischen Dialogen

동서철학연구 | 55 | 2010 | 철학

플라톤 대화편에 나타난 문답법의 윤리적 의미와 ‘감정’의 문제

Die ethische Bedeutung der Dialektik und das Problem des Gefühls in Platonischen Dialogen

동서철학연구 | | 55 | 2010 | 철학

고대 연설에 나타난 설득의 방법적 요소(pistis)에 관한 연구

Means of persuasion(pistis) in the Ancient Speech

인문과학연구 | 34 | 2012 | 기타인문학

퍼스의 프래그마티시즘 미학에서 본 예술과 삶

Art and Life from the Perspective of Esthetics of Peirce' Pragmaticism

영상문화 | 15 | 2010 | 학제간연구

퍼스의 프래그마티시즘 미학에서 본 예술과 삶

Art and Life from the Perspective of Esthetics of Peirce' Pragmaticism

영상문화 | | 15 | 2010 | 학제간연구

마가복음의 시험 모티프의 기능과 함의

The Function and Implication of the Markan Temptation Motif

신약연구 | 11 | 1 | 2012 | 신약학

부산지역 구비설화 이야기꾼의 현황과 특징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Distinct Features of Storytellers of Folk tales in the Busan Area

석당논총 | 49 | 2011 | 기타인문학

고대 연설에 나타난 설득의 방법적 요소(pistis)에 관한 연구

Means of persuasion(pistis) in the Ancient Speech

인문과학연구 | 34 | 2012 | 기타인문학

효과적인 설교를 위한 과장법 연구

The Study of the Hyperbole for the Effective Preaching

복음과 실천신학 | 22 | 2010 | 실천신학

효과적인 설교를 위한 과장법 연구

The Study of the Hyperbole for the Effective Preaching

복음과 실천신학 | 22 | | 2010 | 실천신학

프레드 크래독(Fred B. Craddock)의 설교론과 현대 설교학적 과제

The Homiletical Theory and Methodology of Fred B. Craddock and Questions for Contemporary Preaching

신학논단 | 64 | 2011 | 기타기독교신학

클래식 음악 공연의 커뮤니케이션 과정에 대한 탐색적 연구

Communication Process of Classic Music Performance

커뮤니케이션 이론 | 6 | 2 | 2010 | 신문방송학

클래식 음악 공연의 커뮤니케이션 과정에 대한 탐색적 연구

Communication Process of Classic Music Performance

커뮤니케이션 이론 | 6 | 2 | 2010 | 신문방송학

이야기판에서의 의사소통행위 양상 연구

A Study on Aspects of a Performance Arena's Communication Act

韓國古典硏究 | 23 | 2011 | 고전산문

Ein kleiner Beitrag zum ‘Publikum’ in der Rhetorik

수사학에서 청중을 위한 소고

수사학 | 15 | 2011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