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녀

연구분야 : A020109 인문학 > 역사학 > 역사일반 > 여성사(역사학)

클래스 : 인간(성별)
인간(성향)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122

STNet ID : 1000630

한자 : 烈女
영어 : Virtuous Women
영어 : virtuous woman

a01-02-01 인간(성별)

성별3

여자

a01-05-03 인간(성향)

성별

여자

연령

장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Property (특성/속성)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절열 [ 節烈 ]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a01-05-03 인간(성향) 인간(성향)

효열 [ 孝烈 ]

N1:종류

hasKind (종류)

 

a01-02-01 인간(성별) 인간(성별)
a01-02-01 인간(성별) / a01-02-02 인간(연령) 인간(연령)
a01-02-01 인간(성별) / a01-02-02 인간(연령) / a01-05-03 인간(성향) 인간(성향)

절부 [ 節婦 ]

R1:개념적

isAffectedBy (영향요인)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유교 () [ 儒敎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2-01 문헌명 문헌명

열녀전 () [ 烈女傳 ]

RT (관련어)

 

B01 행위/행동/역할 행위/행동/역할

열행 [ 烈行 ]

RT (관련어)

 

y02-01 문헌명 문헌명

삼강행실도 () [ 三綱行實圖 ]

RT (관련어)

대응관계

a01-02-01 인간(성별) 인간(성별)
a01-02-01 인간(성별) / a01-05-03 인간(성향) 인간(성향)

열부 [ 烈夫 ]

R2:기능적

isAppliedTo (적용 대상)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정문 [ 旌門 ]

isAppliedTo (적용 대상)

 

a04-01 물품/제품/생산품 물품/제품/생산품

정려비 [ 旌閭碑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마당과부

조선후기 서북지역 여성의 지역성 -관비(官婢)와 열녀(烈女)를 중심으로-

The Locality of Women -Female slaves and Virtuous women of Northern region in the late Choson period-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20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후기 서북지역 여성의 지역성 -관비(官婢)와 열녀(烈女)를 중심으로-

The Locality of Women -Female slaves and Virtuous women of Northern region in the late Choson period-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 20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조 서사물에 나타난 기생 섹슈얼리티의 함정

The Predicament of the Kisaeng Sexuality Embedded in the Narratives of the Joseon Era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23 | 2011 | 한국어와문학

조선의 통치체제와 춘향전의 역사적 성취

Historical Accomplishments of Chunhyangjeon against the Criminal Law and Social Ideology of the Joseon State

역사비평 | 99 | 2012 | 역사학

행실도 열녀편 도상 변화의 문화적 의미 - <오륜행실도>에 나타난 변화 양상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ultural Meaning of the Virtuous Women's Images in Oryunhaengsildo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5 | 1 | 2011 | 한국어와문학

陰崖 李耔의 列女詩 硏究

Eumae Ja Lee's Poetry of Yeolnyeo

漢文敎育硏究 | 38 | 2012 | 한국어와문학

<열녀함양박씨전>에 나타난 정절의식 분석

A Study on Consciousness of Chastity in Yeolleohamyangbakssijeon

한국언어문학 | 76 | 2011 | 한국어와문학

朝鮮朝 社會相과 烈女傳의 創作意識

Social Aspect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Writing Sense of Yeolnyeojeon

국학연구론총 | 9 | 2012 | 기타인문학

열녀 생산 메커니즘에 대한 연암의 인식 -열녀에 관한 다섯 편의 산문을 중심으로-

Yeonam's Awareness of the Mechanism for Producing Virtuous Women -based on his five writings on virtuous women-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21 | 2010 | 한국어와문학

열녀 생산 메커니즘에 대한 연암의 인식 -열녀에 관한 다섯 편의 산문을 중심으로-

Yeonam's Awareness of the Mechanism for Producing Virtuous Women -based on his five writings on virtuous women-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 21 | 2010 | 한국어와문학

열녀전의 경계와 균열

Boundaries and Cracks in Stories about Faithful Women

동악어문학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열녀전의 경계와 균열

Boundaries and Cracks in Stories about Faithful Women

동악어문학 |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角色扮演與榜樣塑造 -從地方志看清代臺灣封旌女性現象的時代差異-

角色扮演과 榜樣塑造 -지방지(地方志)를 통해 본 청대(清代) 대만(臺灣) 봉정(封旌) 여성의 시대적 차이-

중국사연구 | 73 | 2011 | 동양사

<포의교집> 주인공 초옥의 反烈女적 성격

The Anti-chaste Nature of Cho-ok the Heroine of Poeuigyojip

고소설연구 | 31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