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정보

연구분야 : B081300 사회과학 > 사회학 > 정보/과학기술사회학

클래스 : 저작(창작)물/정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1735

한자 : --情報
일본어 : デジタルじょうほう
영어 : digital information

a04-09 저작(창작)물/정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온라인 수색 () [ --搜索 ]

hasIssue (이슈/주제)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전송권 [ 傳送權 ]

hasIssue (이슈/주제)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복제권 [ 複製權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e04-02 관념적공간 관념적공간

디지털 학교 도서관 [ --學校圖書館 ]

R5:물리적

isFormOf (형태/외형의 대상개념)

 

a04-09 저작(창작)물/정보 저작(창작)물/정보

전자 지도 [ 電子地圖 ]

지상파 방송의 원격송신과 공중송신권 침해여부에 관한 사례연구

Case Study on Copyright Infringement of Remote transmission of Television Program

정보법학 | 15 | 1 | 2011 | 법학

디자인 정글의 성공적인 웹진 운영 전략 연구 - 경영, 디자인, 콘텐츠 전략을 중심으로 -

Breakthrough Strategy of the Design Jungle in the Webzine Business - Focus on Webzine Management, Content Planning, and Design Strategy

디자인학연구 | 23 | 3 | 2010 | 디자인

디자인 정글의 성공적인 웹진 운영 전략 연구 - 경영, 디자인, 콘텐츠 전략을 중심으로 -

Breakthrough Strategy of the Design Jungle in the Webzine Business - Focus on Webzine Management, Content Planning, and Design Strategy

디자인학연구 | 23 | 3 | 2010 | 디자인

디지털 증거의 압수ㆍ수색에 관한 입법론적 연구

A Legislative Study on the Searching and Seizing of Digital Evidence

원광법학 | 26 | 1 | 2010 | 기타법학

디지털 증거의 압수ㆍ수색에 관한 입법론적 연구

A Legislative Study on the Searching and Seizing of Digital Evidence

원광법학 | 26 | 1 | 2010 | 기타법학

디지털증거 수집에 관한 형사소송법 개정안에 대한 검토

A Study on the Revisionist Bills of Criminal Procedure Act about the Collecting of Digital Evidence

법학연구 | 18 | 3 | 2010 | 기초법

디지털증거 수집에 관한 형사소송법 개정안에 대한 검토

A Study on the Revisionist Bills of Criminal Procedure Act about the Collecting of Digital Evidence

법학연구 | 18 | 3 | 2010 | 기초법

디지털 정보에 대한 압수수색영장의 집행- 대법원 2011. 5. 26.자 2009모1190 결정 -

Execution of a search and seizure warrant for digital evidence

법조 | 61 | 7 | 2012 | 법학

정보영장 제도 도입방안 연구

The Study on Development of Digital Information Warrant

경찰학연구 | 11 | 3 | 2011 | 법학

디지털정보 부정사용의 형법적 규제

The Criminalization of Digital Information of its Unauthorized Use

법학연구 | 36 | 2012 | 법학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