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문학

연구분야 : A150200 인문학 > 영어와문학 > 영문학

클래스 : 분과학문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178

한자 : 英文學
영어 : English literature

d01-03 분과학문

해당국가

영국 (英國)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BranchOf (분기의 기준 개념)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문학 () [ 文學 ]

N1:종류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중세 영문학 [ 中世英文學 ]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르네상스 영문학 () [ --英文學 ]

N2:부분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영미 비교 문학 [ 英美比較文學 ]

이양하(李敭河)의 글쓰기 환경 연구 - 교육체험과 세계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Yi, Yang-ha’s circumstances of writing - Focused on his education experience and world view -

작문연구 | 10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양하(李敭河)의 글쓰기 환경 연구 - 교육체험과 세계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Yi, Yang-ha’s circumstances of writing - Focused on his education experience and world view -

작문연구 | | 10 | 2010 | 한국어와문학

‘아라리’ 구음의 보편성과 한국적 독자성

The Universality and Korean Identity of the Sound Arari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20 | 2 | 2012 | 기타인문학

D. H. 로렌스의 「목사의 딸들」과 『처녀와 집시』에 나타난 두 자매 모티프

The Two-sisters Motif in D. H. Lawrence’s “Daughters of the Vicar” and The Virgin and the Gipsy

D.H. 로렌스 연구 | 19 | 2 | 2011 | 영어와문학

1930년대 최재서의 문화 기획 연구

A Study on Choi, Jae Seo's ideas of Culture in 1930's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1930년대 최재서의 문화 기획 연구

A Study on Choi, Jae Seo's ideas of Culture in 1930's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식민지 작가 박태원의 외국문학 체험과 ‘조선어’의 발견―영문학 수용과 번역 작업을 중심으로

Park Tae-won's Experience Reading Foreign Literature and Rediscovering the 'Korean language(朝鮮語)'

대동문화연구 | 70 | 2010 | 기타인문학

식민지 작가 박태원의 외국문학 체험과 ‘조선어’의 발견―영문학 수용과 번역 작업을 중심으로

Park Tae-won's Experience Reading Foreign Literature and Rediscovering the 'Korean language(朝鮮語)'

대동문화연구 | | 70 | 2010 | 기타인문학

Erinnerungen an den Holocaust - Zu den Autobiografien von Philomena Franz und Ceija Stojka

홀로코스트에 대한 기억. 필로메나 프란츠와 챠이야 스토이카의 자서전에 관하여

독일어문화권연구 | 19 | 2010 | 기타인문학

Erinnerungen an den Holocaust - Zu den Autobiografien von Philomena Franz und Ceija Stojka

홀로코스트에 대한 기억. 필로메나 프란츠와 챠이야 스토이카의 자서전에 관하여

독일어문화권연구 | | 19 | 2010 | 기타인문학

포스트 사회주의 동유럽의 새로운 집시 대중문화: 그 가능성과 한계

Post-Socialist Eastern Europe and New Gypsy Counterculture

역사와 문화 | 19 | 2010 | 문화사(역사학)

포스트 사회주의 동유럽의 새로운 집시 대중문화: 그 가능성과 한계

Post-Socialist Eastern Europe and New Gypsy Counterculture

역사와 문화 | | 19 | 2010 | 문화사(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