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연구분야 : G090200 예술체육 > 영화 > 영상매체/매체기술

클래스 : 저작(창작)물/정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191

한자 : 映像
일본어 : えいぞう
영어 : image

a04-09 저작(창작)물/정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e01-05 공연예술 공연예술

뮤직비디오 [music video]

N1:종류

hasKind (종류)

 

a04-09 저작(창작)물/정보 저작(창작)물/정보

사진 영상 [ 寫眞 映像 ]

hasKind (종류)

 

a04-09 저작(창작)물/정보 저작(창작)물/정보

영상 컨텐츠 [ 映像-- ]

hasKind (종류)

 

a04-09 저작(창작)물/정보 저작(창작)물/정보

위성 영상 [ 衛星映像 ]

hasKind (종류)

 

a04-09 저작(창작)물/정보 저작(창작)물/정보

동영상 [ 動映像 ]

hasKind (종류)

 

a04-09 저작(창작)물/정보 저작(창작)물/정보

입체 영상 [ 立體 映像 ]

R1:개념적

isCausedBy (원인)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영상 매체 기술 [ 映像媒體技術 ]

isConceptOf (개념(전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영상 언어 [ 映像言語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d03-02 분석방법 분석방법

영상 분석 () [ 映像分析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영상 디자인 [ 映像--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영상 혁명 [ 映像革命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영상 정책 [ 映像政策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영상 처리학 [ 映像處理學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영상 인류학 [ 映像人類學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영상학 [ 映像學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영상 문학 [ 映像文學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영상 정보 시대 [ 映像情報時代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영상 음악 [ 映像音樂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영상 미학 [ 映像美學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영상 문화 [ 映像文化 ]

resultsIn (산물/결과)

 

B01 행위/행동/역할 행위/행동/역할

영상 커뮤니케이션 [ 映像-- ]

RT (관련어)

 

 

영상 이미지 [ 映像-- ]

R2:기능적

isMethodOf (방법/기법의 대상)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영상 재현 [ 影像再現 ]

R5:물리적

isFormOf (형태/외형의 대상개념)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영상민속지 [ 映像民俗誌 ]

매체미학적 관점에서 본 춤 환영성 연구

A Study on Dance Illusionism from the Perspective of Media Aesthetics

무용예술학연구 | 33 | 33 | 2011 | 무용

무선 영상보안시스템 구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wireless video security system

벤처창업연구 | 7 | 1 | 2012 | 창업/벤처기업

타이포그래피 해석의 영상적 구조

Kinetic structure of Typography Interpretation

한국영상학회논문집 | 9 | 3 | 2011 | 예술일반

드라마 영상 품질의 제작자 인식과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방송미술 제공자와 방송미술 활용자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V Producers’ Perception of Video Quality : Focusing on the Visual Art of Dramas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 11 | 2 | 2010 | 신문방송학

드라마 영상 품질의 제작자 인식과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방송미술 제공자와 방송미술 활용자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V Producers’ Perception of Video Quality : Focusing on the Visual Art of Dramas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 11 | 2 | 2010 | 신문방송학

영화 의 역상을 통한 캐릭터 형성과정

character development through inverse image of unbreakable

디자인학연구 | 24 | 1 | 2011 | 디자인

연극과 영상의 혼종적 텍스트, 연쇄극의 형식

The Hybrid text of Play and Image, a Form of Kinodrama

겨레어문학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연극과 영상의 혼종적 텍스트, 연쇄극의 형식

The Hybrid text of Play and Image, a Form of Kinodrama

겨레어문학 |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춤추는 몸의 영화적 전달 - 숨 무브먼트의 작업을 중심으로

Cinematic Communication of Dancing Body - Analyzing Dance Performances of Soom Movement

무용역사기록학 | 20 | 0 | 2010 | 무용

춤추는 몸의 영화적 전달 - 숨 무브먼트의 작업을 중심으로

Cinematic Communication of Dancing Body - Analyzing Dance Performances of Soom Movement

무용역사기록학 | 20 | 0 | 2010 | 무용

텔레비전 뉴스의 영상점화효과 -환경이슈를 중심으로

Visual Priming Effect of Television News-Focusing on the Environmental Issue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 18 | 2010 | 정치커뮤니케이션

텔레비전 뉴스의 영상점화효과 -환경이슈를 중심으로

Visual Priming Effect of Television News-Focusing on the Environmental Issue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 | 18 | 2010 | 정치커뮤니케이션

영상작품에 나타난 시간성과 존재에 대한 연구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A Study on Time and Being in Video Art -Based on My Own Works

한국영상학회논문집 | 8 | 4 | 2010 | 예술일반

영상작품에 나타난 시간성과 존재에 대한 연구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A Study on Time and Being in Video Art -Based on My Own Works

한국영상학회논문집 | 8 | 4 | 2010 | 예술일반

비디오 저널리스트(VJ)의 방송 장르별 영상구성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ideo Journalists’ Perception of Image Reconstruction by Program Genre

방송통신연구 | 76 | 2011 | 신문방송학

텔레비전 뉴스의 시각적 요소가 수용자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Visual Cues in TV Environmental News on the Viewer's Approval Rating of 4 Major-Rivers Project : Focusing on the Priming & ELM theory

미디어와 공연예술 연구 | 5 | 3 | 2010 | 기타신문방송학

텔레비전 뉴스의 시각적 요소가 수용자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Visual Cues in TV Environmental News on the Viewer's Approval Rating of 4 Major-Rivers Project : Focusing on the Priming & ELM theory

미디어와 공연예술 연구 | 5 | 3 | 2010 | 기타신문방송학

이미지 시대의 교육학: 그림과 영상의 교육적 연관성에 관하여

Pädagogik im visuellen Zeitalter: Zur Betrachtung des Zusammenhanges von Bild und Bildung

교육철학연구 | 50 | 2010 | 교육학

이미지 시대의 교육학: 그림과 영상의 교육적 연관성에 관하여

Pädagogik im visuellen Zeitalter: Zur Betrachtung des Zusammenhanges von Bild und Bildung

교육철학연구 | | 50 | 2010 | 교육학

아이트랙킹을 통한 효과적 스토리텔링

Effective Storytelling through Eye tracking

디자인학연구 | 23 | 4 | 2010 | 디자인

아이트랙킹을 통한 효과적 스토리텔링

Effective Storytelling through Eye tracking

디자인학연구 | 23 | 4 | 2010 | 디자인

피드백효과를 이용한 영상표현의 연구 -개인전 ‘빛으로부터’를 중심으로-

A Study of Video Expression through Feedback Effect -Case study: Solo Exhibition, From Light-

한국영상학회논문집 | 9 | 4 | 2011 | 예술일반

텔레비전 뉴스의 영상과 음향의 미디어효과 - 4대강사업 관련 뉴스를 중심으로 -

Media Effect of Imagery and Sound of TV News - Focused on 4 Major-Rivers Project News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 36 | 2011 | 정보디자인

영상을 통한 개별 정서의 활성호와 광고의 정적/동적 프레이밍의 상호작용

Impact of the Interaction of Evoked Emotions and Active/Calm Framing of Advertisements on Attitudinal Responses

한국언론학보 | 54 | 4 | 2010 | 신문방송학

영상을 통한 개별 정서의 활성호와 광고의 정적/동적 프레이밍의 상호작용

Impact of the Interaction of Evoked Emotions and Active/Calm Framing of Advertisements on Attitudinal Responses

한국언론학보 | 54 | 4 | 2010 | 신문방송학

미장센 측면에서의 디지털 영상의 가능성과 한계

Possibility and Limit of Digital Film Image in terms of Mise-en-scène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 32 | 2010 | 정보디자인

미장센 측면에서의 디지털 영상의 가능성과 한계

Possibility and Limit of Digital Film Image in terms of Mise-en-scène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 32 | | 2010 | 정보디자인

고고학에서 영상의 자원화와 영상커뮤니케이션

Making Resource Reference of Visual Media and Visual Communication in Archaeology

호남고고학보 | 37 | 2011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