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절

연구분야 : A020000 인문학 > 역사학

클래스 : 사회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2975

한자 : 禮節

d02-01 사회제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1:종류

hasKind (종류)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언어 예절 () [ 言語禮節 ]

N2:부분

hasBranch (분기/분과)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체례 [ 體禮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예절 교육 [ 禮節敎育 ]

조선시대 왕세자의 성균관 입학례

An Entrance Ceremony for the Crown Prince of Sungkyunkwan in the Joseon

한국사상과 문화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시대 왕세자의 성균관 입학례

An Entrance Ceremony for the Crown Prince of Sungkyunkwan in the Joseon

한국사상과 문화 |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날마다 자라는 불행”: 근세 초 잉글랜드 결투문화의 대두

“A Mischeefe that Groweth Every Day”: the Rise of Duelling Culture in Early Modern England

대구사학 | 100 | 2010 | 역사학

“날마다 자라는 불행”: 근세 초 잉글랜드 결투문화의 대두

“A Mischeefe that Groweth Every Day”: the Rise of Duelling Culture in Early Modern England

대구사학 | 100 | | 2010 | 역사학

The Transformation of Confucianism in Contemporary Korea: How it has lost most of its metaphysical underpinnings and survives today primarily as ethical rhetoric and heritage rituals

현대 한국유교의 변화: 유교의 본질적 기초의 상실과 오늘날 계승된 윤리적 설득력과 전통의식

한국학논집 | 44 | 2011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