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엄종

연구분야 : A080300 인문학 > 불교학 > 화엄학

클래스 : 학파/종파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3413

한자 : 華嚴宗

y06-03 학파/종파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BranchOf (분기의 기준 개념)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교종 [ 敎宗 ]

isBranchOf (분기의 기준 개념)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중국 불교 [ 中國佛敎 ]

R1:개념적

isConceptOf (개념(전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성기설 [ 性起設 ]

X: 제외

isOppositionOf (대항/억제)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구산선문 [ 九山禪門 ]

고려 재조대장경 ‘외장’의 사상사적 의의

Jaejo Daejanggyeong andthe meaning of its ‘Oejang’

불교학연구 | 27 | 2010 | 불교학

고려 재조대장경 ‘외장’의 사상사적 의의

Jaejo Daejanggyeong andthe meaning of its ‘Oejang’

불교학연구 | 27 | | 2010 | 불교학

고대 한국불교와 남도육종의 전개

Early Korean Buddhism and Nanto Buddhism in Japan

동방학 | 23 | 2012 | 기타인문학

月庵堂 正大 大宗師의 理事無碍的 삶 硏究

A study on Lisamuae - oriented life of Jungdae Daejongsa in Walamdang(月庵堂)

禪文化硏究 | 11 | 2011 | 기타불교학

11세기 한국불교계의 선종(禪宗) 상황과 특징

The Characteristics and Situations of Seon Schools of Korean Buddhism during the 11th Century

불교학보 | 56 | 2010 | 기타불교학

11세기 한국불교계의 선종(禪宗) 상황과 특징

The Characteristics and Situations of Seon Schools of Korean Buddhism during the 11th Century

불교학보 | | 56 | 2010 | 기타불교학

義湘의 行路와 사상적 변화에 대한 고찰

Study on Uisang (義湘)'s Path of Life and His Ideological Change

불교학보 | 59 | 2011 | 기타불교학

포은 정몽주의 불교와의 교류

A study on the Poeun(圃隱) Jung MongJoo(鄭夢周)’s intercourse with a Buddhist group

포은학연구 | 9 | 2012 | 기타인문학

中国华严宗派的宗趣再探 -以『法界观门』为中心-

중국화엄종의 성립과 법계관문

불교학보 | 59 | 2011 | 기타불교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