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담집에서의 이경류 이야기의 전개와 그 의미
The Unfolding and its Meaning of Lee Kyungryu Stories in Yadam Anthologies
한국문학논총 |
61 |
2012 |
한국어와문학
老妓의 경제 현실과 섹슈얼리티
Economic Reality and Sexuality of an old Kisaeng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23 |
2011 |
한국어와문학
19세기 전반 가곡 가집『詩歌曲』의 특성과 계보
The Characteristics and Genealogy of Sigagok(詩歌曲), Gagok Anthology in the beginning of 19th Century
한국시가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19세기 전반 가곡 가집『詩歌曲』의 특성과 계보
The Characteristics and Genealogy of Sigagok(詩歌曲), Gagok Anthology in the beginning of 19th Century
한국시가연구 |
29 |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어문전』의 문법기술과 품사구분 -문화소통의 관점에서 다시 보기-
Description de Grammaire et Parties du Discours dans la Grammaire Coréenne -Une Perspective de Communication Interculturelle-
프랑스학연구 |
56 |
2011 |
프랑스어와문학
高靈 古建築의 性格과 齋室建築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Architecture and Jae-sil Buildings of Go-Ryung
영남학 |
46 |
2010 |
유교학
高靈 古建築의 性格과 齋室建築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Architecture and Jae-sil Buildings of Go-Ryung
영남학 |
|
46 |
2010 |
유교학
高靈 古建築의 性格과 齋室建築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Architecture and Jae-sil Buildings of Go-Ryung
영남학 |
46 |
2010 |
유교학
高靈 古建築의 性格과 齋室建築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Architecture and Jae-sil Buildings of Go-Ryung
영남학 |
|
46 |
2010 |
유교학
<옥루몽> 한글원작설 변증 -정유본 <옥련몽>을 중심으로-
About an original letter of -focused on JeonYuBon(丁酉本) -
고소설연구 |
31 |
2011 |
한국어와문학
오스만제국 근대 개혁기 군주의 역할 : 셀림 3세에서 압뒬하미드 2세에 이르기까지
Sultan's Role in the Ottoman Reforms : From Selim III to Abdülhamid II
역사학보 |
208 |
2010 |
역사학
오스만제국 근대 개혁기 군주의 역할 : 셀림 3세에서 압뒬하미드 2세에 이르기까지
Sultan's Role in the Ottoman Reforms : From Selim III to Abdülhamid II
역사학보 |
|
208 |
2010 |
역사학
陸用鼎의 記夢 연작 연구
A study on the Gi-mong serial works written by Yuk Young-jeong
韓國古典硏究 |
22 |
2010 |
고전산문
陸用鼎의 記夢 연작 연구
A study on the Gi-mong serial works written by Yuk Young-jeong
韓國古典硏究 |
|
22 |
2010 |
고전산문
<옥루몽> 한글원작설 변증 -정유본 <옥련몽>을 중심으로-
About an original letter of -focused on JeonYuBon(丁酉本) -
고소설연구 |
31 |
2011 |
한국어와문학
오스만제국 근대 개혁기 군주의 역할 : 셀림 3세에서 압뒬하미드 2세에 이르기까지
Sultan's Role in the Ottoman Reforms : From Selim III to Abdülhamid II
역사학보 |
208 |
2010 |
역사학
오스만제국 근대 개혁기 군주의 역할 : 셀림 3세에서 압뒬하미드 2세에 이르기까지
Sultan's Role in the Ottoman Reforms : From Selim III to Abdülhamid II
역사학보 |
|
208 |
2010 |
역사학
조선후기 춤문화의 연행 양상 -19세기 중인계층의 문화공간을 중심으로-
The Aspects of Performing Dance-Culture in the Late Choseon Dynasty -Focused on the Cultural Space of Middle Class in the 19th Century-
동양예술 |
15 |
2010 |
기타미술
조선후기 춤문화의 연행 양상 -19세기 중인계층의 문화공간을 중심으로-
The Aspects of Performing Dance-Culture in the Late Choseon Dynasty -Focused on the Cultural Space of Middle Class in the 19th Century-
동양예술 |
|
15 |
2010 |
기타미술
여성 이야기를 통해 본 20세기 초 소설 시장의 변모 -이해조 <원앙도>·<모란병>을 중심으로-
A change of the novel market in the first part of the 20th century in terms of woman-narratives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22 |
2011 |
한국어와문학
보들레르의 사실주의 연구 I (전기前期)
L'Etude du réalisme de Baudelaire I
불어불문학연구 |
87 |
2011 |
프랑스어와문학
전근대라는 이름의 덫에 물린 19세기 조선 과학의 역사성
Historicizing Nineteenth-Century Korean Science in the Trap of Pre-Modernity
한국문화 |
54 |
2011 |
기타인문학
西陂 柳僖의 江西詩派 수용 양상에 대하여
In Regard to the Acceptance Phase of Jiangxishipa of Seopa Ryu-Hee
漢文古典硏究 |
20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西陂 柳僖의 江西詩派 수용 양상에 대하여
In Regard to the Acceptance Phase of Jiangxishipa of Seopa Ryu-Hee
漢文古典硏究 |
20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沈遠悅 산문의 公安派 受容樣相 연구
Shim Won Yeol(沈遠悅) prose's reception of Kong-An-Pa(公安派)
漢字漢文敎育 |
1 |
24 |
2010 |
한문교육
沈遠悅 산문의 公安派 受容樣相 연구
Shim Won Yeol(沈遠悅) prose's reception of Kong-An-Pa(公安派)
漢字漢文敎育 |
1 |
24 |
2010 |
한문교육
19세기 疫病 체험의 문학적 형상
Literary embodiment of the experience of the plagues in the 19th century
동악어문학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19세기 疫病 체험의 문학적 형상
Literary embodiment of the experience of the plagues in the 19th century
동악어문학 |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슈토름의 『통장이 바슈』에 나타난 소도시 문화의 양상
Kleinstädtische Kultur in Theodor Storms Bötjer Basch
카프카 연구 |
26 |
2011 |
독일어와문학
홍경래란을 바라보는 시선
The different point of views in Hong Gyeong Rae's rebellion
동악어문학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홍경래란을 바라보는 시선
The different point of views in Hong Gyeong Rae's rebellion
동악어문학 |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19세기 소설의 ‘지식’ 구성의 한 양상과 ‘지식’의 성격 ― <두껍전>에 나타난 ‘지식’ 향유 양상을 중심으로 ―
One Aspect in ‘Knowledge’ Composition and the Character in ‘Knowledge’ of 19C Novel - Centering on Aspect of Enjoying ‘Knowledge’ Shown in -
동악어문학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19세기 소설의 ‘지식’ 구성의 한 양상과 ‘지식’의 성격 ― <두껍전>에 나타난 ‘지식’ 향유 양상을 중심으로 ―
One Aspect in ‘Knowledge’ Composition and the Character in ‘Knowledge’ of 19C Novel - Centering on Aspect of Enjoying ‘Knowledge’ Shown in -
동악어문학 |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19세기 朝鮮에서의 段玉裁 학문에 대한 인식 및s說 『文解字注』 수용 양상
Aspects of Recognition of the learning Duan-yucai(段玉裁) and acceptance of Shuowenjiezizhu(說文解字注) in Joseon(朝鮮) in the 19th century
우리어문연구 |
39 |
2011 |
한국어와문학
19세기 소설 속 餘談의 성격
The Character of Digression in 19th Century Novel
고전과 해석 |
11 |
2011 |
국문학사
<吳後姜傳>의 서사방식과 인물 형상 연구
A study on narritive method and person shape of
민족문화논총 |
51 |
2012 |
기타인문학
열녀전의 경계와 균열
Boundaries and Cracks in Stories about Faithful Women
동악어문학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열녀전의 경계와 균열
Boundaries and Cracks in Stories about Faithful Women
동악어문학 |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19세기 경북지역 석가여래후불도 연구
A Study on Sakyamuni Platform Paintings in Northern Kyungsang Province During 19 Century
문물연구 |
20 |
20 |
2011 |
역사학
소선 태자의 이방 체험으로 본 <육미당기>
The Experience of a Foreign Land and a Foreign Existence Depicted in the Novel Yukmidanggi
韓國古典硏究 |
25 |
2012 |
고전산문
19세기 소설사의 쟁점과 전망
The Central Issues and Prospective Consideration in the History of the 19th Century Novels
韓國古典硏究 |
23 |
2011 |
고전산문
19세기 하동 지역 性齋 門人의 학문 성향 - 澗翠堂 鄭瑀贇과 尼谷 河應魯를 중심으로 -
The Academic Propensity of Seongjae Literary Men in the Hadong Area during the 19th Century - Focusing on Ganchuidang Jung Wu-yun and Nigok Ha Eung-ro -
南冥學硏究 |
32 |
2011 |
철학
<吳後姜傳>의 서사방식과 인물 형상 연구
A study on narritive method and person shape of
민족문화논총 |
51 |
2012 |
기타인문학
琴仙, 사회적 관계망과 정체성 찾기
Social Identity and Daily Thinking of Keumsun(琴仙), Gisaeng lived in Haejoo in the 19th century
동양한문학연구 |
30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琴仙, 사회적 관계망과 정체성 찾기
Social Identity and Daily Thinking of Keumsun(琴仙), Gisaeng lived in Haejoo in the 19th century
동양한문학연구 |
30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19세기 如來圖에 융합된 觀音菩薩의 新圖像 硏究
A Study on the new icon of the Bodhisattva Avalokiteśvara with the painting of Buddha in the 19thcentury.
문물연구 |
18 |
18 |
2010 |
역사학
19세기 如來圖에 융합된 觀音菩薩의 新圖像 硏究
A Study on the new icon of the Bodhisattva Avalokiteśvara with the painting of Buddha in the 19thcentury.
문물연구 |
18 |
18 |
2010 |
역사학
「한양가」에 나타난 공간의 의미 탐색
Exploration on the Meaning of Space Appeared in Hanyangga
한어문교육 |
26 |
2012 |
국어교육
19세기 詞문학 유행의 배경에 대하여
Regarding "SA(詞)" literature vogue in 19th century
韓國古典硏究 |
23 |
2011 |
고전산문
‘錯綜’의 관점에서 본 19세기 소설 속 서사 흐름에 대한 인식
Recognition on the Flow of Description in 19th Century Novel Seen in Viewpoint of ‘Complication’
고소설연구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朴文逵의 集句詩集 天游集古 연구
A Study on Chenyou Cento Poetry written by Mun-Gyu Park
한국한시연구 |
19 |
2011 |
한국어와문학
19세기 漢文小說에 나타난 ‘忠ㆍ孝ㆍ烈’의 구현양상 연구
A study on ‘chung(loyalty)ㆍhyo(filial piety)ㆍyeol(devotion)’ showed in sino-chinese koren novels in the 19th century
동악어문학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19세기 漢文小說에 나타난 ‘忠ㆍ孝ㆍ烈’의 구현양상 연구
A study on ‘chung(loyalty)ㆍhyo(filial piety)ㆍyeol(devotion)’ showed in sino-chinese koren novels in the 19th century
동악어문학 |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19세기 한글통속소설의 서사문법과 독서경험 -여성이야기를 중심으로-
The narrative grammars and the reading experiences of the Hangeul popular novel in 19th centuries -thru the analysis of women-narratives-
고소설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19세기 한글통속소설의 서사문법과 독서경험 -여성이야기를 중심으로-
The narrative grammars and the reading experiences of the Hangeul popular novel in 19th centuries -thru the analysis of women-narratives-
고소설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19세기 지장보살도에 보이는 선악동자 도상 연구
A Study of the Priestling Image Pair on the Kshitigarbha Paintings in the 19th Century
문물연구 |
20 |
20 |
2011 |
역사학
19세기 如來圖에 융합된 觀音菩薩의 新圖像 硏究
A Study on the new icon of the Bodhisattva Avalokiteśvara with the painting of Buddha in the 19thcentury.
문물연구 |
18 |
18 |
2010 |
역사학
19세기 如來圖에 융합된 觀音菩薩의 新圖像 硏究
A Study on the new icon of the Bodhisattva Avalokiteśvara with the painting of Buddha in the 19thcentury.
문물연구 |
18 |
18 |
2010 |
역사학
19세기 소설사의 쟁점과 전망
The Central Issues and Prospective Consideration in the History of the 19th Century Novels
韓國古典硏究 |
23 |
2011 |
고전산문
19세기 詞문학 유행의 배경에 대하여
Regarding "SA(詞)" literature vogue in 19th century
韓國古典硏究 |
23 |
2011 |
고전산문
첩 소재 노래에 나타난 여성의식 —<큰어머니>노래를 중심으로—
Feminine Consciousness Shown in a Song with Material of Concubine—Centering on a Song Titled
韓國古典硏究 |
23 |
2011 |
고전산문
19세기 한강 이북 도읍의 문학적 형상화와 의미
The literary figuration of capitals on the north of the Han river in the nineteenth century and its meaning
동방학 |
24 |
2012 |
기타인문학
19세기 朝鮮에서의 段玉裁 학문에 대한 인식 및s說 『文解字注』 수용 양상
Aspects of Recognition of the learning Duan-yucai(段玉裁) and acceptance of Shuowenjiezizhu(說文解字注) in Joseon(朝鮮) in the 19th century
우리어문연구 |
39 |
2011 |
한국어와문학
<一夕話>의 인물 형상과 서사 구도의 양상
The form of characters in 〈Il-seok-wha(一夕話)〉and epic structure
한국학논집 |
48 |
2012 |
기타인문학
19세기 소설의 ‘지식’ 구성의 한 양상과 ‘지식’의 성격 ― <두껍전>에 나타난 ‘지식’ 향유 양상을 중심으로 ―
One Aspect in ‘Knowledge’ Composition and the Character in ‘Knowledge’ of 19C Novel - Centering on Aspect of Enjoying ‘Knowledge’ Shown in -
동악어문학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19세기 소설의 ‘지식’ 구성의 한 양상과 ‘지식’의 성격 ― <두껍전>에 나타난 ‘지식’ 향유 양상을 중심으로 ―
One Aspect in ‘Knowledge’ Composition and the Character in ‘Knowledge’ of 19C Novel - Centering on Aspect of Enjoying ‘Knowledge’ Shown in -
동악어문학 |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열녀전의 경계와 균열
Boundaries and Cracks in Stories about Faithful Women
동악어문학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열녀전의 경계와 균열
Boundaries and Cracks in Stories about Faithful Women
동악어문학 |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19세기 조선의 출판문화 - 관찬서(官撰書)의 간행을 중심으로 -
The Culture of Publication in Joseon in the 19th century - Study of the books published by the government -
한국문화 |
54 |
2011 |
기타인문학
‘錯綜’의 관점에서 본 19세기 소설 속 서사 흐름에 대한 인식
Recognition on the Flow of Description in 19th Century Novel Seen in Viewpoint of ‘Complication’
고소설연구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李花實傳>의 인물 형상과 그 의미
A study on character form of and the meaning
인문과학연구논총 |
33 |
2 |
2012 |
기타인문학
朴文逵의 集句詩集 天游集古 연구
A Study on Chenyou Cento Poetry written by Mun-Gyu Park
한국한시연구 |
19 |
2011 |
한국어와문학
19세기 소설 속 餘談의 성격
The Character of Digression in 19th Century Novel
고전과 해석 |
11 |
2011 |
국문학사
19세기 하동 지역 性齋 門人의 학문 성향 - 澗翠堂 鄭瑀贇과 尼谷 河應魯를 중심으로 -
The Academic Propensity of Seongjae Literary Men in the Hadong Area during the 19th Century - Focusing on Ganchuidang Jung Wu-yun and Nigok Ha Eung-ro -
南冥學硏究 |
32 |
2011 |
철학
19세기 조선의 서화수장(書畵收藏)과 중국서화의 유입
A Survey of the Collecting of Chinese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in the Nineteenth Century, Joseon
규장각 |
38 |
2011 |
기타인문학
시민적 공간의 해체와 그 기록 -빌헬름 라베의 <포겔장의 서류들> 연구-
Auflösung von bürgerlichen Räumen und deren Dokumentieren -Überlegungen zu Wilhelm Raabes Die Akten des Vogelsangs-
독어교육 |
54 |
54 |
2012 |
독일어와문학
<李花實傳>의 인물 형상과 그 의미
A study on character form of and the meaning
인문과학연구논총 |
33 |
2 |
2012 |
기타인문학
19세기 漢文小說에 나타난 ‘忠ㆍ孝ㆍ烈’의 구현양상 연구
A study on ‘chung(loyalty)ㆍhyo(filial piety)ㆍyeol(devotion)’ showed in sino-chinese koren novels in the 19th century
동악어문학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19세기 漢文小說에 나타난 ‘忠ㆍ孝ㆍ烈’의 구현양상 연구
A study on ‘chung(loyalty)ㆍhyo(filial piety)ㆍyeol(devotion)’ showed in sino-chinese koren novels in the 19th century
동악어문학 |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양가」에 나타난 공간의 의미 탐색
Exploration on the Meaning of Space Appeared in Hanyangga
한어문교육 |
26 |
2012 |
국어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