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양

연구분야 : B120100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학일반

클래스 : 행위/활동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3873

한자 : 涵養
영어 : cultivation

b01-01 행위/활동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RT (관련어)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양육 [ 養育 ]

RT (관련어)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경 사상 () [ 敬思想 ]

주자 공부론에서 함양(涵養)의 의미: 메타프락시스적 접근

The Meaning of Mind-Cultivation in Chu Hsi's Theory of Education: A Metapractical Perspective

도덕교육연구 | 22 | 2 | 2011 | 교육학

소학 저술이전 시기 주자의 소학론

The theory of xiaoxue of Zhuzi before Xiaoxue writing

퇴계학보 | 131 | 2012 | 유교학

임진왜란 시기 咸陽 守令의 전란대처 - 『孤臺日錄』을 중심으로 -

Hamyang Suryeong's Way to Deal with Imjin War - Focusing on 『Godae Il’lok』 -

진단학보 | 110 | 2010 | 역사학

임진왜란 시기 咸陽 守令의 전란대처 - 『孤臺日錄』을 중심으로 -

Hamyang Suryeong's Way to Deal with Imjin War - Focusing on 『Godae Il’lok』 -

진단학보 | | 110 | 2010 | 역사학

주희 공부론의 구조

The Structure of Chu Hsi's Theory of Self-cultivation

도덕교육연구 | 23 | 2 | 2011 | 교육학

주희의 공부론 : 불교 수행론과의 관련

Chu Hsi's Theory of Self-Cultivation in Relation to the Theory of Buddhist Practice

도덕교육연구 | 21 | 2 | 2010 | 교육학

주희의 공부론 : 불교 수행론과의 관련

Chu Hsi's Theory of Self-Cultivation in Relation to the Theory of Buddhist Practice

도덕교육연구 | 21 | 2 | 2010 | 교육학

涵養論과 교육과정으로 본 조선성리학의 개성

The character of Joseon(Choson)-dynasty Korean Confucianism as seen through its theory of self-cultivation and educational curriculum

퇴계학보 | 128 | 2010 | 유교학

涵養論과 교육과정으로 본 조선성리학의 개성

The character of Joseon(Choson)-dynasty Korean Confucianism as seen through its theory of self-cultivation and educational curriculum

퇴계학보 | | 128 | 2010 | 유교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