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美)

연구분야 : A030500 인문학 > 철학 > 미학/예술학

클래스 : 기질/품질/형질/성향
개념(정의)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3948

한자 : 美
영어 : beauty
프랑스어 : beauté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d01-04 개념(정의)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아름다움 ()

N1:종류

hasKind (종류)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공간미 [ 空間美 ]

hasKind (종류)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예술미 [ 藝術美 ]

hasKind (종류)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자연미 [ 自然美 ]

hasKind (종류)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산수미 [ 山水美 ]

hasKind (종류)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비장미 [ 悲壯美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심미 교육 () [ 審美敎育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c01-07 감각 감각

심미관 () [ 審美觀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미학 () [ 美學 ]

R2:기능적

isAppliedTo (적용 대상)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심미안 [ 審美眼 ]

김유정 문학의 향토성 재고(再考)-30년대 향토 담론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Reconsideration on the Locality Expressed in Kim Yu Jung’s Literature-Focused on comparison with discourse on locality in the 1930’s-

현대문학의 연구 | 41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유정 문학의 향토성 재고(再考)-30년대 향토 담론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Reconsideration on the Locality Expressed in Kim Yu Jung’s Literature-Focused on comparison with discourse on locality in the 1930’s-

현대문학의 연구 | | 41 | 2010 | 한국어와문학

봉현리(鳳峴里)의 지명

The Place Names in Bonghyeon-ri

언어학 연구 | 16 | 2010 | 기타언어학

봉현리(鳳峴里)의 지명

The Place Names in Bonghyeon-ri

언어학 연구 | | 16 | 2010 | 기타언어학

Transformation of Metaphysics and New Education in the Era of Globalization

국제화 시대에 있어 형이상학의 전환과 새로운 교육

동아시아불교문화 | 10 | 2012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피치노의 사랑론과 예술적 영감

Ficino’s Theory of Love and the Artistic Inspiration

중세근세영문학 | 21 | 2 | 2011 | 영어와문학

번역, 그 후

After the Translation

코기토 | 72 | 2012 | 기타인문학

고골의 『아라베스크(Арабески)』와 자볼로츠키의『컬럼(Столбцы)』 비교 : 그로테스크 기법에 나타난 ‘미’의 개념 연구

A Study on the Comparison between Gogol's and Zabolotsky's : on the Basis of 'Grotesque' in Their Esthetics

노어노문학 | 22 | 1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고골의 『아라베스크(Арабески)』와 자볼로츠키의『컬럼(Столбцы)』 비교 : 그로테스크 기법에 나타난 ‘미’의 개념 연구

A Study on the Comparison between Gogol's and Zabolotsky's : on the Basis of 'Grotesque' in Their Esthetics

노어노문학 | 22 | 1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니체의 ‘자연’ 사유에 대한 소고

A Study on the Nietzschean Thoughts of ‘Nature’

니체연구 | 19 | 2011 | 철학

상상의 도덕교육적 함의

Implication of the Idea of Imagination for Moral Education

도덕교육연구 | 23 | 2 | 2011 | 교육학

숭고의 탈경계성 - 김유정 소설의 ‘아내 팔기’ 모티프를 중심으로 -

Trans-boundaries of the Sublime - Focused on the motif of ‘selling wife’ in the novel of Kim, Yu-Jeong-

한국문예비평연구 | 38 | 2012 | 한국어와문학

La notion de nature dans les oeuvres de Charles Baudelaire selon Yves Bonnefoy

이브 본느프와의 관점에서 본 샤를르 보들레르 작품들에서의 자연개념

비교문학 | 54 | 2011 | 인문학

미와 추의 변증법 - 숭고와 코믹

Dialektik vom Schönen und Hässlichen: das Komische und das Erhabene

헤세연구 | 23 | 2010 | 독일어와문학

미와 추의 변증법 - 숭고와 코믹

Dialektik vom Schönen und Hässlichen: das Komische und das Erhabene

헤세연구 | | 23 | 2010 | 독일어와문학

댄스스포츠에 있어서 음악적 미

Musical Aesthetics in Dance Sport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 20 | 1 | 2012 | 체육

쉴러의 미적 교육론에서 의무와 경향성의 조화

Harmony between Duty and Inclination in Schiller’s Aesthetic Education Theory

윤리연구 | 1 | 76 | 2010 | 학제간연구

쉴러의 미적 교육론에서 의무와 경향성의 조화

Harmony between Duty and Inclination in Schiller’s Aesthetic Education Theory

윤리연구 | 1 | 76 | 2010 | 학제간연구

退溪 讀書詩에 나타난 ‘樂’의 層位와 그 性格

The Layers and the Qualities of 'Rak' in Toegye's Book-report Poems

영남학 | 17 | 2010 | 기타인문학

退溪 讀書詩에 나타난 ‘樂’의 層位와 그 性格

The Layers and the Qualities of 'Rak' in Toegye's Book-report Poems

영남학 | | 17 | 2010 | 기타인문학

‘신학적 미학’에 대한 선교신학적 연구: 헤라르두스 판 데어 레이유(Gerardus van der Leeuw)의 <성과 속의 아름다움: 예술 속의 성스러움>을 중심으로

A Missiological Study on the ‘Theological Aesthetics’: Focusing on the Gerardus van der Leewu’s Sacred and Profane Beauty: the Holy in Art

신학논단 | 64 | 2011 | 기타기독교신학

아르헨티나탱고의 미학적 탐색

Study on Aesthetics of Argentine Tango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 18 | 3 | 2010 | 체육

아르헨티나탱고의 미학적 탐색

Study on Aesthetics of Argentine Tango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 18 | 3 | 2010 | 체육

‘소비자 미추구성향(Consumer’s Aesthetic Seeking Tendency)’ 척도개발 및 타당화 연구

The Consumer’s Aesthetic Seeking Tendency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 12 | 4 | 2011 | 심리과학

솔로비요프(В. C. Соловьев)의 미학 이론

Эстетические теории Вл. Соловьева

러시아연구 | 20 | 2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솔로비요프(В. C. Соловьев)의 미학 이론

Эстетические теории Вл. Соловьева

러시아연구 | 20 | 2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쉴러의 미적 경험의 도덕교육적 함의

Implications of the Aesthetical Experience on Moral Education

교육철학연구 | 33 | 1 | 2011 | 교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