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은

연구분야 : B101101 사회과학 > 지역학 > 동아시아 > 한국

클래스 : 도시/구/동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4069

STNet ID : 9007495

한자 : 報恩

x01-03 도시/구/동명

위치

충청북도 (忠淸北道)

면적_t

584.26

인구_t

34358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치악산 꿩(까치) 보은(報恩) 완형담의 의미 고찰

A Study on the Theme of a Pheasant(Magpie) Requital Narrative

고전문학과 교육 | 19 | 2010 | 인문학

치악산 꿩(까치) 보은(報恩) 완형담의 의미 고찰

A Study on the Theme of a Pheasant(Magpie) Requital Narrative

고전문학과 교육 | | 19 | 2010 | 인문학

대승불교의 복지사상

大乗仏教の福祉思想

철학논총 | 63 | 1 | 2011 | 철학

아쿠타가와 류노스케(芥川龍之介)의 『地獄變』 론 -원숭이의 보은을 통해서 본 예술적 구원-

A study of "ZIGOKUHEN" by Akutagawa Ryunosuke -Through the save the gratitude of the monkey art-

일본근대학연구 | 37 | 2012 | 일본문화학

栗谷이 受容 繼承 전개한 공자의 효사상(中)

Thought of Confucius Filial Piety Adopted and Developed by Yulgok(Ⅱ)

한국사상과 문화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栗谷이 受容 繼承 전개한 공자의 효사상(中)

Thought of Confucius Filial Piety Adopted and Developed by Yulgok(Ⅱ)

한국사상과 문화 |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숙향전> - ‘버려진 딸’에 대한 기억의 장

Sukhyangjeon(숙향전) : Memories of An Abandoned Daughter

고전문학연구 | 39 | 2011 | 한국어와문학

중국 조선족 설화에 나타난 두꺼비 보은 설화의 변이양상

The Aspect of Variation of Korean Toad Gratitude Folktale in Chinese-Korean's Folktales

한국언어문학 | 72 | 2010 | 한국어와문학

중국 조선족 설화에 나타난 두꺼비 보은 설화의 변이양상

The Aspect of Variation of Korean Toad Gratitude Folktale in Chinese-Korean's Folktales

한국언어문학 | | 72 | 2010 | 한국어와문학

유교와 불교의 효사상

Hyo[孝] Thought of Confucianism and the Buddhism

동아시아불교문화 | 7 | 2011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두꺼비 보은>型 민담의 유형분류와 해석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f Type

비교민속학 | 46 | 2011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