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실 수업

연구분야 : B120300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수이론/교육방법/교수법

클래스 : 교수/학습법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4182

STNet ID : 1002560

한자 : 敎室授業
영어 : classroom instruction

d04-03 교수/학습법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isPhenomenonOf (현상의 대상개념)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교실 평가 [ 敎室評價 ]

RT (관련어)

 

d04-03 교수/학습법 교수/학습법

교수 학습 방법 () [ 敎授學習方法 ]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b01-01 행위/활동 / b02-03 개혁(개편/재편/혁신) 개혁(개편/재편/혁신)

교실 수업 개선 [ 敎室授業改善 ]

RT (관련어)

 

B01 행위/행동/역할 행위/행동/역할

교실연구 [ 敎室硏究 ]

다문화 학부모의 시각으로 바라 본 미국 공립학교의 교육 사례 고찰

Case Study on Public School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From the Perspective of Foreign Parents

사회과교육 | 49 | 4 | 2010 | 교육학

다문화 학부모의 시각으로 바라 본 미국 공립학교의 교육 사례 고찰

Case Study on Public School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From the Perspective of Foreign Parents

사회과교육 | 49 | 4 | 2010 | 교육학

수업참여 관점에서 바라 본 수업지도안 분석 연구

An analysis on the lesson plans from the class-participation point of view

초등교육연구 | 23 | 1 | 2010 | 교육학

수업참여 관점에서 바라 본 수업지도안 분석 연구

An analysis on the lesson plans from the class-participation point of view

초등교육연구 | 23 | 1 | 2010 | 교육학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in Building a School Community, Centered on Improving Classroom Instruction and Teacher Professional Collegiality: An Action Research Project of An Urban Public Elementary School in Korea

교실수업과 전문적 교사동료성의 개선을 통한 학교공동체 형성의 가능성과 한계: 한국의 대도시 공립초등학교 현장연구 사례

비교교육연구 | 20 | 3 | 2010 | 교육학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in Building a School Community, Centered on Improving Classroom Instruction and Teacher Professional Collegiality: An Action Research Project of An Urban Public Elementary School in Korea

교실수업과 전문적 교사동료성의 개선을 통한 학교공동체 형성의 가능성과 한계: 한국의 대도시 공립초등학교 현장연구 사례

비교교육연구 | 20 | 3 | 2010 | 교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