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심보감

연구분야 : A070300 인문학 > 유교학 > 유교교육학

클래스 : 문헌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4278

한자 : 明心寶鑑

y02-01 문헌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P:개념속성연관

hasCreator (창작자)

 

 

범입본

S:전후

PT (이전명)

 

 

명심보감초

R1:개념적

RT (관련어)

 

y02-01 문헌명 문헌명

동몽선습 [ 童蒙先習 ]

정보통신윤리의식에 대한 명심보감 학습의 효과

The Effect of Myungsimbogam Lessons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16 | 2 | 2012 | 컴퓨터교육학

<明心寶鑑>과 二宮尊德의 권선사상 비교

<明心寶鑑>と二宮尊德の勸善思想考察

퇴계학논총 | 19 | 2012 | 기타인문학

동아시아 佛者들의 『明心寶鑑』 수용 양상

The aspect of how East asia Buddhists accept Myoungsimbogam

영남학 | 47 | 2010 | 유교학

동아시아 佛者들의 『明心寶鑑』 수용 양상

The aspect of how East asia Buddhists accept Myoungsimbogam

영남학 | | 47 | 2010 | 유교학

「명심보감」 서문의 불교사상 고찰

The Study of Myongshimbogam's Buddhist Thought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 18 | 1 | 2012 | 응용불교학

日本の<明心宝鑑>受容の研究 - 特に五山僧を中心として - 

일본의 『명심보감』 수용의 연구

퇴계학논총 | 16 | 2010 | 기타인문학

日本の<明心宝鑑>受容の研究 - 特に五山僧を中心として - 

일본의 『명심보감』 수용의 연구

퇴계학논총 | | 16 | 2010 | 기타인문학

東亞思想史上的『明心宝鉴』-与中国、朝鲜、日本相关联-

東亞思想史上의『明心宝鉴』

중국과 중국학 | 12 | 2010 | 지역학일반

東亞思想史上的『明心宝鉴』-与中国、朝鲜、日本相关联-

東亞思想史上의『明心宝鉴』

중국과 중국학 | 12 | | 2010 | 지역학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