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총

연구분야 : A020602 인문학 > 역사학 > 고고학 > 한국선사고고학

클래스 : 자연적공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4835

STNet ID : 1002563

한자 : 貝塚

e04-03 자연적공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Era (시대)

 

x02-01 시대 시대

선사 시대 () [ 先史時代 ]

hasProperty (특성/속성)

 

 

퇴적층 [ 堆積層 ]

S:동의

UF (비우선어)

 

 

조개더미

UF (비우선어)

 

 

조개무지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유적 [ 遺跡 ]

R1:개념적

RT (관련어)

 

c03-04 경제/경영/무역 경제/경영/무역

채집 경제 [ 採集經濟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연평도 조개무지

hasInstance (사례)

 

 

창원 성산 패총

hasInstance (사례)

 

 

부산동삼동패총 ()

가야의 국가형성시기에 관한 고찰

A study for state building period of the gaya

백산학보 | 87 | 2010 | 역사학

가야의 국가형성시기에 관한 고찰

A study for state building period of the gaya

백산학보 | | 87 | 2010 | 역사학

중부 서해안지역 신석기시대 유적의 입지 고찰

A Study on the location of Neolithic sites in the midwest costal zone

숭실사학 | 25 | 2010 | 기타역사일반

중부 서해안지역 신석기시대 유적의 입지 고찰

A Study on the location of Neolithic sites in the midwest costal zone

숭실사학 | | 25 | 2010 | 기타역사일반

보성 금평 유적 출토 원삼국시대 토기의 압흔 연구

Pottery Impressions of Rice and Red Bean from the Geumpyeong site, South Korea

호남고고학보 | 34 | 2010 | 역사학

보성 금평 유적 출토 원삼국시대 토기의 압흔 연구

Pottery Impressions of Rice and Red Bean from the Geumpyeong site, South Korea

호남고고학보 | 34 | | 2010 | 역사학

신석기시대 도토리저장공에 대한 검토 - 창녕 비봉리유적 도토리저장공을 대상으로-

영남고고학 | 52 | 2010 | 역사학

신석기시대 도토리저장공에 대한 검토 - 창녕 비봉리유적 도토리저장공을 대상으로-

영남고고학 | | 52 | 2010 | 역사학

쿠로시오(黑潮)와 남해안지방 신석기문화

Kurosio and Neolithic Age Culture at South Coastal Area

한국신석기연구 | 21 | 2011 | 역사학

同位元素 分析을 이용한 新石器時代의 食生活과 貝塚 遺蹟의 占有 季節性 硏究

Reconstructing the Neolithic diet and seasonality, Korea, using stable isotopic analysis

동방학 | 21 | 2011 | 기타인문학

동물유존체 출토 유적 및 유구 조사방법론 - 패총유적 및 가축매납수혈유구 관련 척추동물유존체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nvestigation Methodology of Sites and Features Yielding Animal Remains - With focus on vertebrate remains from shell middens and pits where livestock was intentionally buried -

야외고고학 | 9 | 2010 | 고고학

동물유존체 출토 유적 및 유구 조사방법론 - 패총유적 및 가축매납수혈유구 관련 척추동물유존체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nvestigation Methodology of Sites and Features Yielding Animal Remains - With focus on vertebrate remains from shell middens and pits where livestock was intentionally buried -

야외고고학 | | 9 | 2010 | 고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