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초기의 ‘征伐’: 천명, 시계, 달력, 그리고 화약무기
The Logic of Zhengfa: Warfare, Calendar, Clock, and Firearm Weapon in 15th-Century Chosŏn
역사와 문화 |
21 |
2011 |
문화사(역사학)
중근세 일본인의 조선에 대한 경계인식 고찰
A Study on Japanese cognition of boundary sector about Joseon in the Medieval age and the Modern age
한일관계사연구 |
39 |
2011 |
역사학
아시아 속의 제주도 문화 — 일본의 민속학․민족학 논고의 궤적을 찾아 —
アジアの中の濟州島文化 —日本の民俗學․民族學の論考を追いながら—
탐라문화 |
38 |
2011 |
기타인문학
고려후기 거제 지역사회의 변동과 巨濟縣의 이동
The change of Geoje Community and the movement of GeojeHyeon(巨濟縣) in the late Coryeo Dynasty
석당논총 |
46 |
2010 |
기타인문학
고려후기 거제 지역사회의 변동과 巨濟縣의 이동
The change of Geoje Community and the movement of GeojeHyeon(巨濟縣) in the late Coryeo Dynasty
석당논총 |
|
46 |
2010 |
기타인문학
元明 교체기 포은 정몽주의 華夷觀과 領域 인식
Poeun Jeong Mong-ju's World View & Territory Understanding
포은학연구 |
6 |
2010 |
기타인문학
元明 교체기 포은 정몽주의 華夷觀과 領域 인식
Poeun Jeong Mong-ju's World View & Territory Understanding
포은학연구 |
6 |
|
2010 |
기타인문학
14세기 후반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변화와 고려-원/명-일본 관계
Study on the Change in World Order in East Asia and Relationships among Korea, Japan and China in the Late 14th Century
진단학보 |
114 |
2012 |
역사학
朝鮮時代『行實圖』에 나타난 日本의 表象
The Image of Japan in "Haengsildo" of the Joseon dynasty
한일관계사연구 |
37 |
2010 |
역사학
朝鮮時代『行實圖』에 나타난 日本의 表象
The Image of Japan in "Haengsildo" of the Joseon dynasty
한일관계사연구 |
|
37 |
2010 |
역사학
조선통신사 사행록 연구 - <海東諸國紀>와 <和國志>의 同異点 분석 -
A study on the Sahaengrok of the Joseon Tongsinsa - The analysis of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and -
인문과학연구 |
30 |
2011 |
기타인문학
고려 후기 漕運制의 운영과 변화
A Management of “the Shipping System of Grain Paid as a Tax” and Its Changes in the Latter Period of the Goryeo Dynasty
동방학지 |
151 |
2010 |
기타인문학
고려 후기 漕運制의 운영과 변화
A Management of “the Shipping System of Grain Paid as a Tax” and Its Changes in the Latter Period of the Goryeo Dynasty
동방학지 |
|
151 |
2010 |
기타인문학
南冥 曺植의 일본 인식
Nammyeong(南冥) Jo Shik(曺植)'s Perception of Japan
한국사상과 문화 |
52 |
2010 |
한국어와문학
南冥 曺植의 일본 인식
Nammyeong(南冥) Jo Shik(曺植)'s Perception of Japan
한국사상과 문화 |
|
52 |
2010 |
한국어와문학
高麗 末期 倭寇의 침입과 기근에 따른 民生
The effect of Whegoo’s invasion and famine toward the livelihoods of the public in the end of the Koryeo
서울과 역사 |
76 |
2010 |
역사학
高麗 末期 倭寇의 침입과 기근에 따른 民生
The effect of Whegoo’s invasion and famine toward the livelihoods of the public in the end of the Koryeo
서울과 역사 |
|
76 |
2010 |
역사학
무로마치 왜구와 조선의 대(對)왜인 정책 -평화와 공존을 위한 조선의 선택-
The Muromatsi Wakou and the Policy Changes of Joseon Kingdoms -The Decision of Joseon Kingdoms for the Peace of East Asia-
일본연구 |
18 |
2012 |
일본어와문학
조선전기 한일관계사 연구의 학설사적 검토
A Study on the Historiography of Korean-Japanese Relations in Early Joseon Dynasty
전북사학 |
38 |
2011 |
역사학
이색의 유교교화론과 일본 인식 - 새로 발견된 대책문을 중심으로 -
Yi Saek’s Argument of Confucian Enlightenment and His View of Japan
한국문화 |
49 |
2010 |
기타인문학
이색의 유교교화론과 일본 인식 - 새로 발견된 대책문을 중심으로 -
Yi Saek’s Argument of Confucian Enlightenment and His View of Japan
한국문화 |
|
49 |
2010 |
기타인문학
고려와 조선 전기 왜인 집단거주지의 형성과 운영
Kindom and the early Joseon Kingdom
역사와 담론 |
56 |
2010 |
역사학
고려와 조선 전기 왜인 집단거주지의 형성과 운영
Kindom and the early Joseon Kingdom
역사와 담론 |
|
56 |
2010 |
역사학
조선전기 왜관의 설치와 기능
Establishment and Function of Waegwan in Early Chosun Dynasty
인문과학연구 |
32 |
2012 |
기타인문학
중・근세 조선인의 島嶼 경영과 경계인식 고찰
The management of islands and boundary perception of medieval and modern Joseon
한일관계사연구 |
39 |
2011 |
역사학
중세 왜구의 경계침탈로 본 한・일 관계
The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based on the boundary disseisin of Wakou in the medieval age
한일관계사연구 |
42 |
2012 |
역사학
明初(洪武~永樂期) 동아시아 해역에서의 倭寇
東アジア海域のなかの明初(洪武~永樂期)倭寇
명청사연구 |
35 |
2011 |
역사학
왜구 문제를 통해 본 고려 사람들과 일본인들의 교류의 역사-<왜구와 고려․일본 관계사>에 대한 서평
book review
한국학 |
35 |
3 |
2012 |
기타인문학
『해동제국기』를 통해 본 15세기 조선지식인의 동아시아관 ― 약탈의 시대에서 공존ㆍ공생의 시대로 ―
The View of East Asia of the intellectual in Chosun Dynasty in 15th Century via - From the Period of Pillage to the Era of Coexistence & Symbiosis -
사림 |
41 |
2012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