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연

연구분야 : A020203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전기사

클래스 : 문화/생활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512

한자 : 外宴
영어 : royal banque

c03-03 문화/생활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외진연 [ 外進宴 ]

R1:개념적

RT (관련어)

 

 

연향 [ 宴享 ]

의미범위와 의미정보의 상관성에 대하여

Relation Between the Meaningful Scope and Semantic Information

한국어 의미학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의미범위와 의미정보의 상관성에 대하여

Relation Between the Meaningful Scope and Semantic Information

한국어 의미학 | 32 | | 2010 | 한국어와문학

공시태와 공시적 음운 기술의 대상으로서 진행 중인 변화

Sychrony and on-going change as the object of synchronic phonological description

국어국문학 | 157 | 2011 | 한국어와문학

<춘향전> 외연의 한 양상 —한문본 <春香新說> 및 일본어본 <鷄林情話春香傳>을 중심으로

The extended narrative of Chunhyang-jeon

열상고전연구 | 34 | 2011 | 기타국문학

영화의 색온도와 내포 : SF 「에이리언」을 중심으로

La température de couleur du film et sa connotation : une étude de l'Alien, film de science-fiction

한국프랑스학논집 | 74 | 2011 | 프랑스어와문학

시각문화미술교육에서 외연과 내포 개념을 통한 이미지 해석력 교육

A Study about Interpreting Images with Barthers’ Denotation and Connotation in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미술교육논총 | 24 | 3 | 2010 | 미술

시각문화미술교육에서 외연과 내포 개념을 통한 이미지 해석력 교육

A Study about Interpreting Images with Barthers’ Denotation and Connotation in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미술교육논총 | 24 | 3 | 2010 | 미술

‘X]vst+어요’ 충남방언형의 외연(外緣)과 특징

The Edge and Features of a Dialect Form of the Chungnam Area, ‘X]vst+어요[Əyo]’

방언학 | 11 | 2010 | 한국어와문학

‘X]vst+어요’ 충남방언형의 외연(外緣)과 특징

The Edge and Features of a Dialect Form of the Chungnam Area, ‘X]vst+어요[Əyo]’

방언학 | | 11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조 외연의 가객 공연도

A study on the pictures of Singing Visitors' performances at the Royal Banquet in Chosun Dynasty period.

시조학논총 | 36 | 2012 | 한국어와문학

조선조 외연의 <가자와 금슬>

'Kaja(歌者) and Keumseul(琴瑟)' at the Royal Banquet in Chosun Dynasty

한국시가연구 | 31 | 2011 | 한국어와문학

카르납의 의미론에 대한 역사-비판적 분석

Historico-critical Analysis on Carnap's Semantics

철학연구 | 122 | 2012 | 철학